•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remova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 of the Addition and Removal of Various Cryoprotectants on the Nuclear Maturation and ATP Content of Immature Porcine Oocytes

  • Tsuzuki, Y.;Nozawa, K.;Ashizaw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328-335
    • /
    • 200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posure and removal of four different cryoprotectants (CPAs) on the ATP content of cumulus cell-enclosed (COs) and cumulus cell-denuded (DOs) immature porcine oocytes. The in vitro nuclear maturation of the COs, exposed to and removed from the CPAs was also assessed. Both COs and DOs were exposed to 1.5 M concentrations of each CPA (ethylene glycol (EG); propylene glycol (PG); dimethyl-sulfoxide (DMSO); and glycerol (G)) for durations of 5, 15, and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23.5{\pm}1.5^{\circ}C$), and immersed in physiological saline supplemented with 20% (v/v) fetal bovine serum for 5 minutes ($39^{\circ}C$) to remove each CPA. Before, during and after exposure to each CPA, the ATP content of both the COs and the DOs was measured. After removal from each CPA an aliquot of the COs was matured for 44${\pm}$2 h, and their nuclear maturation rates were measured up to the metaphase stage of the second meiotic division (the M-II stage). The maturation rates up to the M-II st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ll the groups that were exposed to each CPA for 5 minutes. For 15 and 30 minute exposures, the maturation rates of the COs exposed to PG, DMSO and EG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control groups; however, the rates of G group exposed for 15 and 30 minute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groups were also found to have a decrease in the ATP content of COs and DOs during and after exposure for the same periods (p<0.05). In addition, although the ATP contents of the COs after exposure to EG for any period were the same as the controls, the ATP content of the DOs exposed to EG for any period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ose of the controls. When the ATP content of the COs and DOs of each CPA were compared, the DOs exposed to PG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greater level (p<0.05) than DOs exposed to G for any duration. In addition, the ATP content of DOs exposed to PG for 30 min and removal was also higher (p<0.05) than when exposed to DMSO for the same perio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G may be a useful CPA for the cryopreservation of immature porcine oocytes.

유류오염토의 마이크로파 처리 시 토양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BTEX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TEX Removal Efficiency for Variation of Moistures by Microwave Process)

  • 하상안;염혜경;유미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2호
    • /
    • pp.65-71
    • /
    • 2007
  • 토양복원의 기술로 마이크로파를 이용할 시 휘발성물질((PAH)s 등)) 및 준휘발성((PCB)s 등) 물질 등을 처리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 물질인 BTEX를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수분변화 및 전력변화에 따른 제거특성을 연구하였다. 10%, 20%, 30%, 50%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BTEX 제거율은 20%일 때가 제거율이 가장 높음을 제거상수를 통해 도출할 수 있었으며, 전력의 변화에 따른 BTEX 제거율 및 제거율에 도달하는 시간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다른 함수율이 마이크로파 처리 시 한계함수율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한계함수율에 도달하는 시간은 함수율이 10%, 20%, 30%일 때는 2 kW와 4 kW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함수율이 50%일 경우는 한계함수율에 도달하는 시간이 4kW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함수율에 따른 최적전력을 도출하면 수분함량이 $10{\sim}30%$ 시 2 kW가 경제적으로 나타났으며, 함수율이 50% 일 경우는 전력이 4 kW일 때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촉매 일체형 시스템의 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Ox Characteristics of Corona/Catalyst Hybrid System)

  • 장홍기;최창식;신중욱;지영연;홍민선;정윤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99-707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corona/catalyst hybrid $DeNO_x$ proces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multi-staged pin-to-hole type corona reactor which is enable to control the pin-to-hole gap and to insert the catalyst. Also, used for this study, were catalysts which commercially used Pt, Pd and $TiO_2$, and oxygen and hydrocarbon ($C_2H_4$) as reagents. In the syn-gas test, at high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100{\sim}200^{\circ}C$, the corona-only $DeNO_x$ process did not reduce the $NO_x$ concentration effectively. However in the presence of ethylene and oxygen as reagents, the $NO_x$ removal efficiency was better at these high temperatures than corona-only $DeNO_x$ process. In addition, coronal catalyst hybrid process with $TiO_2$ showed more efficiency of $NO_x$ removal than Pt and Pd catalyst, because the $TiO_2$ catalyst was more active than Pt and Pd catalyst to converse the $NO_2$ to $HNO_3$. Furthermore, at the condition of real diesel exhaust gas, the $DeNO_x$ efficiency of corona/catalyst hybrid process was not good at higher reaction temperature and plasma density.

세정제에 의한 복합오염토양으로부터의 중질유 및 중금속 탈착 특성 (Desorption of Heavy Petroleum Oils and Heavy Metals from Soils by Flushing Agents)

  • 윤성미;김길란;임희준;김한승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3호
    • /
    • pp.94-103
    • /
    • 2014
  • In this study washing efficiency and desorption isotherms for heavy petroleum oil (HPO), Zn, and Pb bound to complex contaminated soils were examined using various soil flushing agents. Sodium dodecyl sulfate (SDS), methanol,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and citric acid were selected as soil flushing agents. 3% (w/v) and 4% SDS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for HPO,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us, 3% SDS was chosen as the best soil flushing agent for HPO. In the case of heavy metals, 0.1-M EDTA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ies. But 0.05-M citric acid was selected due to its economic and eco-friendly strengths. The desorption isotherms obtained using Freundlich and Langmuir models indicated that the maximum desorption characteristics ($K_F$ and $Q_{max}$) of HPO with 4% SDS and 90% methanol and heavy metals with 0.1-M EDTA and 0.1-M citric acid, respectively, were markedly lower than in other cases. In addition, when 4% SDS and 90% methanol were used for HPO in the range of $C_e$ higher than 600 mg/L, and when 0.1M citric acid and 0.1M EDTA were used for Zn and Pb in the range of $C_e$ higher than 300 and 100 mg/L,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constant converged to certain levels. Thus, constant values of $K_U$ and $K_L$ were determined. It was found that these constants represent the maximum desorption capacity and they can be used as distribution coefficients of desorption equilibrium for the flushing ag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selection of the best agents as well as for the process design and operation of soil washing/soil flushing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lk and Mulberry/Silk Papers

  • Lee, Ki-Hoon;Kang, Gyung-Don;Oh, Han-Jin;Ki, Chang-Seok;Kim, Jong-Wook;Park, Young-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3권1호
    • /
    • pp.45-50
    • /
    • 2006
  • Papers were prepared from cut cocoons and mulberry branches, which are byproducts from sericulture industry. The long filament of silk should be cut into appropriate length in order to prepare paper and this was achieved by chemical method. By a mixture of sodium hydroxide and sodium carbonate solution, the silk filaments were cut into short fibers (less than 1 mm in length). Since the short silk fibers (sSf) could not bind each other by itself, starch and poly(ethylene oxide)(PEO) were added as a bonding agent. When starch and PEO were used in a ratio of 3:7, the silk papers had optimum mechanical properties for paper. Fibers from the skin of mulberry branches (MBF) were added to sSf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ure silk paper. Bleaching of MBF was performed with a mixture of hydrogen peroxide and sodium silic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greatly enhanced and the optimum blend ratio of MBF and sSf were 7:3. The mulberry/silk paper has good absorption property against formaldehyde, and therefore, the paper could be applied as a wall paper for preventing the sick house syndrome.

Gallium Nitride 기판의 Mechanical Polishing시 다이아몬드 입자 크기에 따른 표면 Morphology의 변화 (Influence of the Diamond Abrasive Size during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on the Surface Morphology of Gallium Nitride Substrate)

  • 김경준;정진석;장학진;신현민;정해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32-37
    • /
    • 2008
  • Freestanding hydride vapor phase epitaxy grown GaN(Gallium Nitride) substrates subjected to various polishing method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surface and subsurface conditions, Although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is one of the best approaches for reducing scratches and subsurface damages, the removal rate of Ga-polar surface in CMP is insignificant($0.1{\sim}0.3{\mu}m$/hr) as compared with that of N-polar surface, Therefore, conventional MP(Mechanical Polishing) is commonly used in the GaN substrate fabrication process, MP of (0001) surface of GaN has been demonstrated using diamond slurries with different abrasive sizes, Diamond abrasives of size ranging from 30nm to 100nm were dispersed in ethylene glycol solutions and mineral oil solutions, respectively. Significant change in the surface roughness ($R_a$ 0.15nm) and scratch-free surface were obtained by diamond slurry of 30nm in mean abrasive size dispersed in mineral oil solutions. However, MP process introduced subsurface damages confirmed by TEM (Transmission Electronic Microscope) and PL(Photo-Luminescence) analysis.

습포제를 이용한 석조문화재의 페인트 오염물 제거기법 연구 (Removal Methods of Paint Pollutants on the Stone Cultural Heritage using Poultices)

  • 이주완;함철희;김사덕;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1-430
    • /
    • 2009
  • 이 연구는 2007년에 발생된 삼전도비(사적 제101호)의 페인트 낙서에 대한 긴급 보존처리에 관한 것이다. 오염물 제거 앞서 삼전도비에 사용된 락카페인트를 분석한 결과, 전색제인 알키드 수지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적색안료로 사용되는 $Pb_3O_4$가 첨가된 일반 시판용 스프레이 락카로 판명되었다. 페인트오염물의 제거를 위한 예비실험은 레이저를 이용한 오염물 제거법 등 여러 방법을 수행하였으나,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 유기용제를 이용한 습포법이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예비실험에 사용된 페인트 보다 현장의 페인트는 시간경과로 상당히 경화가 진행되어 실험상황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새로운 실험결과, 페인트 제거제인 시판용 리무버의 주성분인 유기용제 디클로로메탄에 메틸셀룰로오즈를 혼합한 습포제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페인트의 주성분인 알키드 수지와 니트로셀룰로오즈를 용해시켜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은 라포나이트($Laponite^{(R)}$ RD)를 사용하였다.

  • PDF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 처리에서 중금속 추출특성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Metal-contaminated Soil by Soil Washing)

  • 황선숙;이노섭;남궁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72-1080
    • /
    • 2005
  • 과거 납제련소 부지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EDTA, citrate, HCl의 세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토양세척법으로 처리한 경우 중금속의 추출특성에 대하여 중금속의 추출율과 화학적 결합형태별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EDTA를 이용한 토양세척실험에서 중금속의 추출은 Pb에 특히 효과적이었다. EDTA/HM의 물비가 증가할수록 Pb의 제거율도 증가하였고 EDTA/HM의 몰비 6.5에서 효율적인 제거가 가능하였다. Citrate를 이용한 토양세척실험에서 중금속의 추출은 다른 중금속들 보다 Zn의 추출에 효과적이었다. HCl은 모든 중금속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으며 0.3N 농도에서 가장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하였다. EDTA로 토양세척법 처리 전후 중금속의 결합형태별 변화는 교환성과 탄산염 형태와 같이 결합력이 약한 형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이 대부분 추출되었다. Citrate와 HCl 처리 후 중금속의 결합형태별 변화는 네가지 중금속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Pb은 처리 전보다 처리 후에 교환가능성 형태가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Citrate 처리시 중금속 추출효율은 비결정성 형태의 함량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EDTA와 HCl을 이용한 경우는 중금속 추출효율과 중금속의 결합형태의 비교결과 Zn을 제외한 나머지 중금속의 경우 비잔류성 형태의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었다. 처리 후 토양의 TCLP 결과는 EDTA로 처리한 경우에 Pb의 USEPA 기준인 5 mg/L를 만족시켰다.

수침고목재의 흑화 원인과 제거방법에 관하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Removal the Cause of Blacken Effect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 양석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413-430
    • /
    • 2007
  • 우리나라 저습지에서 출토되는 목제유물은 대부분 흑갈색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매장 환경의 주체인 토양성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주 동림동 저습지 유적과 창녕 송현동 고분군 내의 토양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유적 모두 Si, AI, Fe 등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난 바가 있다. 또한 신안선과 광주 동림동 및 창녕 송현동 고분 출토 목재의 무기물 분석에서도 모두 토양의 주성분인 Si보다 Fe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성분과 함유량에 있어서도 유사함을 보였다. 출토지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Fe 함량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장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 중 Fe는 목재의 열화로 생성된 타닌과 반응하여 타닌산 제I철이 되고, 산소와 결합하여 타닌산 제II철이 되므로 흑색을 띠게 된다. 이러한 목재흑화의 주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Fe은 EDTA를 사용하여 킬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제거가 가능하다. EDTA를 통해 흑화된 목재에서 Fe을 제거하는 실험을 한 결과 EDTA-2Na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72시간 동안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다시 EDTA와 반응시켜 Fe을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흑화현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삼중블록 고분자 계면활성제의 재유화 억제 기능을 이용한 지속내수성 O/W 에멀젼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개발 (Development of Water-Resistant O/W Emulsion-Typed Sunscreening Cosmetics through Triblock Polymeric Surfactant-Mediated Re-emulsification Inhibition)

  • 이지현;홍성윤;이진용;안소연;이효진;김성용;이준배;김진웅;신경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9-208
    • /
    • 2019
  • 본 연구는 poly(ethylene glycol)-poly(${\varepsilon}$-caprolactone)-poly(ethylene glycol) (PEG-PCL-PEG) 삼중블록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우수한 사용감과 선택적인 클렌징 효과를 갖는 수중유(O/W) 에멀젼 타입의 내수성 자외선 차단 제형에 관한 것이다. 수영, 등산 등 다양한 야외 레저 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는 물이나 땀에 지워지지 않아야하기 때문에 대부분 유중수(W/O) 에멀젼 제형으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W/O 에멀젼 제형은 오일리한 사용감과 클렌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O/W 에멀젼 제형은 사용감이 우수하고, 클렌징도 용이하지만, 물과의 재유화가 쉽기 때문에 내수성 특성을 갖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O/W 에멀젼 제형의 HLB 값(~ 10)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계면장력을 가짐으로써 재유화에 강한 삼중블록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도입하였고, 이를 통해 O/W 에멀젼형 지속내수성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외선 차단제는 우수한 사용감과 지속내수성, 그리고 폼 클렌저와의 선택적인 클렌징 효과를 보여준다. 향후 사용감이 다양화된 새로운 O/W 에멀젼형 자외선 차단제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