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nography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3초

서비스경험데이터의 에스노그라피 방식 수집에 대한신뢰성과 타당성 연구 - I know you_AI 서비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llection of the Ethnography Method of Service Experience Data - Focusing on I know You_AI Service -)

  • 안진호;이정선
    • 서비스연구
    • /
    • 제10권4호
    • /
    • pp.43-55
    • /
    • 2020
  • 최근 경험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데이터사이언스적 관점으로 경험데이터를 다루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빅데이터와 같은 수치적으로 계량화하려는 정량(quantitative)적 조사 방식의 수집방식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경험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 대한 폭넓은 해석이 어려울 뿐 아니라 비용,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고, 개인정보 침해의 위험으로 분석에 한계가 있다. 하지만, 정성(qualitative)적 조사 기반의 경험데이터 수집 절차인 에스노그라피(ethnograpy)는 사용자라는 관점에서 미래 고객의 자연스러운 실제 환경에서 주로 실시되기 때문에 적은 표본으로도 고객이 직면한 본질을 확인할 수 있고, 경험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맥락적 차원의 관계를 해석하기에도 용이하다. 에스노그라피 방식의 경험데이터 수집이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라고 하여도 데이터의 수집 과정에 대한 과학적 절차의 미흡은 문제가 될 수 있기에, 수집과정의 오차를 줄이는 것은 중요하다. 에스노그라피 방식의 경험데이터 수집에 대한 올바른 측정 도구를 사용했느냐에 대한 타당성 확보와 측정대상을 정확하게 선정하여 타당성 있는 측정 도구와 방법을 사용했느냐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에스노그라피 방식의 경험데이터 수집에 대한 올바른 측정 방법과 도구개발을 위해 타당성을 확보하고 측정대상을 명확하게 선별하는 연구방법의 신뢰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스노그라피 방식의 경험데이터 수집에 기반하여 자영업자의 고객경험을 분석해주는 'I know you_AI' 서비스의 데이터와 방법론 사례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검증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 결과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2세 영아 학급에서의 글쓰기와 문해의 발현 과정 :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y of Emergent Writing and Literacy of Two-year-old Toddlers in Classroom)

  • 김미숙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67-285
    • /
    • 2005
  • This ethnography explored, the emergent writing and literacy of two-year-old children in classroom. Th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focuses on toddler's text appropriation from text environment and on soci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oddlers. The result showed that toddlers appropriated writing signs or words from their own text-environment and used it as the instrument fo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y initiated social interaction by giving messages of their appropriated signs to adults as teachers, who were easily capable of communication. This led to all toddlers' involvement in message exchange in the classroom. Toddlers' marks of scribbles were also consisted of different kinds of lines and circles. Those marks have different meaning and. symbolic systems: drawing and writing graphics. Even though drawing and writing graphics developed as different symbol systems in toddlers' marks, each system helped to extend each other.

  • PDF

수학교사의 신념과 교실 규범 연구를 위한 Ethnography

  • 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349-361
    • /
    • 2001
  • 최근 수학교육에서 수학교사의 신념과 교실 규범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배경에는 수학 교수-학습의 개혁은 교사의 신념과 교실 규범의 형태가 이러한 개혁의 비젼과 일치될 때 일어날 것이라 믿기 때문이라고 보아진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교사의 신념과 교실 규범의 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기 위하여 문화기술 연구법 (Ethnography)에 대하여 고찰하고, 수학교육 연구에서의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리서치를 위한 에스노그래피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Ethnography for User-centered Design Research)

  • 김현정;이건표;리우훈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23
    • /
    • 1999
  • 제품이 가지는 감성적이고 사회적인 기능이 디자이너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면서, 제품 디자인은 제품 자체를 분석하고 개선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제품 사용상황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숨겨진 니즈를 파악하여 새로운 사용상황을 제안하는 적극적인 관점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중략)

  • PDF

사용행태 분석에 의한 냉장고 사용편의성 개선 (Improvement of usability of the refrigerator through behavioral analysis)

  • 변재형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245-2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냉장고의 레이아웃(layout)이 우리의 식생활문화와 차이가 있다는 가정 하에, 국내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비디오 에쓰노그래피(Video Ethnography : 비디오를 이용한 문화기술학, 흑은 민족지학)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냉장고 사용행태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우리의 식생활문화에 적합한 새로운 냉장고 레이아웃을 제안하여 사용편의성을 개선하는 것을 중심으로 논의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냉장고는 고내 선반의 레이아웃(layout)이 국내 사용자들의 식생활 문화에 따른 사용행태와는 맞지 않는 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재의 냉장실 세번째 단과 제일 하단인 야채실의 위치를 맞바꾸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을 통해 냉장고 각 부위에 적합한 용도를 지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장고와 같이 생활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의 내재하는 문제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그 제품과 관련된 생활 문화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비디오 촬영를 통한 사용행태 분석 방법이, 미리 예상하지 못한 문제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는 점에서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부자가족복지시설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부자가족아버지의 경험을 중심으로 (An Ethnographic Study on a Welfare Facility for Single Father Familie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Single Fathers)

  • 김기화;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6호
    • /
    • pp.15-33
    • /
    • 2015
  • The present study conducted ethnography of a welfare facility for single-father families. The participants were 13 single-fathers living in a welfare facility. To explore life within the welfare facilit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ethnography was used with Spradley's developmental research sequence (DR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me was 'finding a way to overcome the crisis: the facility is a lifeline.' For fathers, choosing to enter a facility meant enduring a social stigma, but the decision was made with the hope of achieving successful parenting and economic independence amidst pressing difficulties. The category of living in the facility was represented by the theme 'build the family: preparing for independence through living in a welfare facility.' The fathers achieved psychological recovery through the decrease in parenting stress, improvements in their economic situation brought by living in a facility, and used this time as the foundation to gain independence and build a stable life. The event of departure from the facility was seen as 'incomplete preparation for departure' by the single fathers. The fathers with infants or younger children admitted to being anxious about leaving the facility, which involved the burden of raising the children on their own. There are practical and policy-relate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회교공동체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신문화 기술지 연구 (A New Ethnography Study on Immigrant Wokers of Muslem Community)

  • 김영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2호
    • /
    • pp.109-132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무슬림공동체에 대한 연구로서 무슬림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사회에서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연구주제에는 신문화 기술지 연구 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에는 10명의 무슬림 이주노동자들과 6명의 한국인들이 참여했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비참여 관찰기록을 토대로 구성했다.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시한 발전식 연구단계 (Developmental Research Sequence)모형에 근거하여 분석했다. 분석결과 이주노동자들의 상호작용을 총섭하는 문화적 주제는 "세속의 길에서 종교의 길로", "초민족적 종교로의 재구성"으로 나타났다.

  • PDF

Thick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장례서비스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uneral service focused on Thick Data Analysis)

  • 안진호;이정선
    • 서비스연구
    • /
    • 제10권1호
    • /
    • pp.85-96
    • /
    • 2020
  •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중인 아시아 지역에서는 장례 서비스 산업이 발달하며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장례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장례서비스는 상조회사를 중심으로 죽음 직후의 장례식 중심의 편향적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선진 장례서비스 사례들을 비교해 볼 때 장례식만이 아닌, 사람을 중심으로 고인의 가족과 주변의 지인들을 케어해주는 서비스가 발전하고 있기에 우리나라도 이와 같은 연구가 본격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사이언스적 관점에서 서비스의 주체인 상주(유가족)과 조문객을 중심으로 하여 장례서비스의 미래방향성을 질적 데이터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장례서비스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들은 일반적으로 빅데이터들의 수집, 가공, 해석의 과정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렵고,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 분석 방식은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와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에 기반한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를 위하여 실제 상주와 조문객의 에스노그라피와 사용자경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향후 10년 후의 구체적인 상주와 조문객의 모습을 페르소나(persona) 방식으로 도출하고, 상주와 조문객 중심의 장례서비스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