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al communication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4초

정보통신윤리지수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Index Model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 이재운;한건우;이영준;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9-29
    • /
    • 2007
  • 국가 경제성장에만 집중되어 추진된 정보화 정책은 기술과 사회문화 간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심각한 연기능 현상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의 정보통신윤리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지수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선행 연구물을 근거로 연구진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정보통신윤리지표의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지표로서의 타당성과 대표성을 높이고 계층분석법에 의해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또한 정보이용자와 정보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설문결과를 단순평균방식으로 지수 구성요소들의 가중치 산정에 반영하였다.

  • PDF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터넷 윤리의식 비교 (Comparison of Internet Ethics between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이재호;이강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1호
    • /
    • pp.71-80
    • /
    • 2019
  •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터넷이 학생들에게 일상화되어 역기능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발견하고 다각도에서 인터넷 윤리의식을 비교하여 향후 영재교육은 물론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의 정보통신윤리지수가 일반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통신윤리지수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농어촌에 비해 도시지역이,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일수록 낮은 지수를 나타냈다. 셋째, 유해콘텐츠 접촉 경험에 대해 10% 내외의 학생들이 경험이 있었으며, 사이버 가해 경험에 대해 1% 내외의 학생들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 고학년 단계에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함으로 학교폭력예방, 정보통신문화 개선, 미래 직업윤리 강화 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컨설팅 실행기업의 조직특성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조기업 M사 생산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nsulting-recipient Company'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on Consulting Performance)

  • 김정기;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139-155
    • /
    • 2013
  • 본 연구는 HR 컨설팅을 받은 제조기업 M사의 생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받은 기업의 조직특성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컨설팅 성과는 해당 기업이 HR 컨설팅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착안하여 인사제도 개선여부와 조직구성원 인식변화를 중점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HR효과성과 조직몰입의 두 가지 차원의 변수로써 확인 하였다. 분석결과, 조직특성을 나타내는 친밀성, 권한위임, 윤리경영, 의사소통, 공유가치의 모든 하위 변수들이 유의수준 P<.05에서 HR 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HR 효과성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도 긍정적으로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특성의 모든 하위 변수들이 전체 컨설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산직 종사자들에 대한 컨설팅 성과 즉, HR 효과성과 조직몰입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가족과 같은 분위기의 친밀한 조직을 만들어주고, 적절한 권한위임이 되도록 규정과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며, 기업이 윤리경영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마지막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 활동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초등 정보과학영재들의 정보화 역기능 실태와 개선방안 (A Study on the Status of Information Dysfun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formation Science)

  • 류근성;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41-248
    • /
    • 2004
  •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고 있지만, 지식기반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시대정신은 갖추지 못하여 이로 인한 부정적인 현상은 점점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최근 교육기관과 사회공공 기관에서 역기능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는 하지만, 지식기반사회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인재인 정보과학영재들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통신윤리교육은 미미한 상태이다. 교육은 대상자의 수준에 맞게 이루어져야 효과적이다. 따라서 정보과학영재들에게는 그들에게 맞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논문에서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들의 인터넷 이용실태를 분석한 후 초등 정보과학영재들을 위한 정보통신윤리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신문의 유전자 연구 프레임 비교 분석: 조선일보, 국민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Human Genome Frames of Korean Press: The Analysis of Chosunilbo, Gukminilbo, and Hangurae Newspapers' Editorial and Column)

  • 정재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5권
    • /
    • pp.135-162
    • /
    • 2004
  • 본 논문은 과학보도에서 언론이 과학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구성하여 독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에서 한국 언론, 특히 신문들이 신문사들이 지향하고 있는 이념적 지형에 따라 유전자 연구에 대해 어떻게 현실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신문 프레임 연구 방법은 통해 밝힌다. 특히, 한국 언론의 유전자 연구에 대한 현실 구성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해 봄으로써 유전자 연구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 해결은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분석결과, 배아복제 실험과 같은 유전자 연구의 윤리적, 경제적 이슈가 담긴 문제들에 대해서는 신문사들이 지향하는 이념적 지형에 따라 상이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전자 연구에 대해 칼럼 집필자들 역시 다망한 입장들을 표명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신문사토의 이념적 지형에 부합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프레임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신문은 유전자 연구의 법적, 윤리적 이슈들에 대한 사회적 합의점을 찾아내기 위해 공론장으로의 역할과 생명과학의 대중화 노력을 보다 적극적으로 담당해야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 PDF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기대가치 구성 요인 (Study on the Components of Social Media Users' Value Expectation)

  • 김철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79-59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기대가치 구성 요소를 타당성 있게 유목화 하여,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들과의 소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적, 관리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있다. 선행 연구로서의 2차 자료 검토, 질적 조사로서의 심층 인터뷰, 양적 조사로서의 사전조사와 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기대가치는 실용적, 쾌락적, 관계적, 자아 확인적, 윤리 법제적, 시스템 기능적, 참여적, 자기 과시적, 자기 숨김적 관점으로 범주화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제적 융합적 측면에서 볼 때, 커뮤니케이션, 심리, 마케팅, 미디어 등 관련 분야를 통합적으로 조망하고 있다는 점, 실용적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기대가치를 세분화, 유목화 하여 정리하였다는 점, 전략적 측면에서, 향후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태도를 예측, 확인, 관리할 수 있는 토대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구축된 기대가치 구성 요인을 변인으로 한, 소셜 미디어 소비자 태도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미디어 효과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교사의 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 이상수;김대현;송연주;오정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82-39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observ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For the study, a survey about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was conducted on 91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orking at Busan and Ulsan.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s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was shown b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eacher's resilience is the variable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but organization is more important variables. Therefore, it suggests to establish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for active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광주광역시 치과위생사의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분석 (Priority analysis of NCS based vocational core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in Gwangju)

  • 홍남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7-346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d the priority of vocational core competency factors in dental hygienists in Gwangju. Methods: Expert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applied to evaluate the weighting factors. First, we established the vocational core competency defined in NCS as AHP analysis model. The vocational core competency has 10 categories and 34 sub-categories. Secondly, AHP survey was conducted by 195 dental hygienists in Gwangju. Finally, the weights representing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were calculated by using AHP method. Results: The AHP analysis on 10 categories showed that the weighting of interpersonal skills(0.165) was higher than any other categories while that of numeracy(0.035) was at the bottom, and the analysis on sub-categorie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ach categories included the teamwork skills(interpersonal skills), problem-solving capability(problem-solving skills), listening skills(communication skills), ethical community(professional ethics), ability to understand business(ability to underst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pplicable technical skills(technical skills), self-management skills(self-development cap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information capacity), ability to manage time(resourc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basic math skills(numeracy). Conclusions: The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시술 부위에 따른 성형외과의 비포 앤 애프터 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before and after technique in cosmetic surgery advertisement by kind of surgery)

  • 이현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29-54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potential problem of before and after technique in cosmetic surgery advertisements. This study would draw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n executing before and after technique by segmenting the surgical part(eyes, nose, and breast). And this study compared before and after technique with after technique and doctor(expert) endorser.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are advertisement technique(before and after/after/doctor) and the kind of surgery(double eyelid surgery/ rhinoplasty/mastoplasty).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are general attitude toward advertising, hospital believability, ethical judgement toward advertising, intention to cosmetic surgery. This study is run as $3{\times}3$factorial design with 30 subjects per cell, resulting in a total sample size of 270.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advertising technique in cosmetic surgery advertisement important variable to mediate the effect. This study found that before and after technique wa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techniques.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kind of surgery variabl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xecution of cosmetic surgery advertisement. Therefor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kind of surgery and advertisement technique should be spontaneously considered by cosmetic surgery clinic and advertising regulation organizations for the effective communication way and consumer protection.

의료분야에서 인공지능 현황 및 의학교육의 방향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care and Medical Education)

  • 정진섭
    • 의학교육논단
    • /
    • 제22권2호
    • /
    • pp.99-114
    • /
    • 2020
  •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cluding deep learning,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at may assist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prediction of disease risk and prognosis, health index monitoring, drug development, and healthcar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However, in order for AI technology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care, technical problems and the efficacy of algorithms should be evaluated in real clinical environments rather than the environment in which algorithms are developed. Further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whether these models can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care and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regulatory systems to secure the safety of AI medical technology, the ethical and legal issues related to the proliferation of AI technology, and the impacts on the relationship with patients also need to be addressed. Systematic training of healthcare personnel is needed to enable adaption to the rapid changes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An overall review and revision of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is required to enable extraction of significant information from rapidly expanding medical information, data science literacy, empathy/compassion for patients, and communication among various healthcare providers. Specialized postgraduate AI education programs for each medical specialty are needed to develop proper utilization of AI models in clinical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