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extraction

검색결과 1,124건 처리시간 0.033초

구기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ycium chinense Extracts)

  • 김현구;나경민;예수향;한호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2-357
    • /
    • 2004
  • 구기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구기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구기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은 water 추출액에서 5.0 $^{\circ}$Brix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액의 탁도는 50$\%$ ethanol 추출 시 가장 높았고, 75$\%$ ethanol 추출 시 가장 낮았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ethanol 함량이 감소할수록 산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당의 함량은 fructose 4.53$\~$5.22 mg$\%$, glucose2.79$\~$4.40 mg$\%$, sucrose 0.35$\~$l.18 mg$\%$ 로 나타났으며, water 추출액이 다른 추출 용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폴리페놀의 추출 용매별 함량은 50$\%$ ethanol 추출액에서 2.9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water 추출액이 75$\%$ ethanol 추출액 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구기자추출액은 50$\%$ ethanol에서 66.97$\%$로 나타나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37.3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명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 나경민;한호석;예수향;김현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9-505
    • /
    • 2004
  • 결명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결명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결명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공노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0.08{\sim}0.11mg%$, glucose $0.09{\sim}0.32%$, sucrose $0.08{\sim}1.26mg%$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에서 2.0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75% ethanol 추출액은 0.02%로 다른 용매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50% ethanol에서 66.,39%로 나타나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50.5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만가닥 버섯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Lyophyllum ulmariu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현구;최맑음;김미옥;김공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74-580
    • /
    • 2003
  • 만가닥 버섯 추출물의 수율 및 전자공여작용, 총폴리페놀 함량, tyrosinase 저해작용, 갈색도,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만가닥 버섯의 경우 수율은 에탄올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전자공여작용의 경우 에탄올 농도가 높고 microwave power가 높은 조건에서 높은 추출률을 나타내었다. 갈변도 및 tyrosinase 저해작용의 경우 에탄을 농도가 증가할수록 microwave power가 증가할수록 더욱 크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 작용의 경우 에탄을 농도와 추출시간의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을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폭이 크고, microwave power가 증가할수록 추출물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가닥버섯의 최적 추출조건 범위는 microwave power 60.15~102.75 watt, ethanol 농도 53.20~64.01%, 추출시간 7.77분으로 예측되었다.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by Gelidium elegans Using Alternative Drying and Extraction Conditions in 3T3-L1 and RAW 264.7 Cells

  • Jeon, Hui-Jeon;Choi, Hyeon-Son;Lee, OK-Hwan;Jeon, You-Jin;Lee, Boo-Y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22-128
    • /
    • 2012
  • Gelidium (G.) elegans is a red alga inhabiting intertidal areas of North East Asia. We examined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 elegans, depending on drying and extraction conditions, by determin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in 3T3-L1 and RAW 264.7 cells. Extraction yields of samples using hot air drying (HD) and far-infrared ray drying (FI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using natural air drying (ND). The 70% 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compared to other extracts (0, 30, and 50% ethanol) under tested drying conditions. The scavenging activity on 2,2-diphenyl- 1-picrylhydrazyl (DPPH) and nitrite correlated with total phenol or flavonoid content in the extracts. The greatest DPPH scavenging effect was observed in 70% ethanol extract from FID and HD conditions. The production of ROS and NO in 3T3-L1 and macrophage cells greatly decreased with the 70% ethanol extraction derived from FID. This study suggests that 70% ethanol extraction of G. elegans dried by FID is the most optimal condition to obtain efficiently antioxidant compounds of G. elegans.

어육단백질(魚肉蛋白質)(Fish Flour)의 실용화(實用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TMA 및 지방(脂肪)의 제거(除去)-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Fish Flour -Part 1. Removal of TMA and Lipids from raw Cololabis Saira-)

  • 유인덕;김동순;양륭;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12-218
    • /
    • 1976
  • 생선(生鮮)으로 부터 생선(生鮮) 냄새를 효과적(效果的)으로 제거(除去)하기 위한 기초작업(基礎作業)으로서 ethanol과 물을 추출용매(抽出溶媒)로 사용(使用)하여 꽁치로 부터 생선(生鮮) 냄새의 주성분(主成分)인 trimethylamine과 변패(變敗)의 원인(原因)이 되며 직접간접(直接間接)으로 불쾌취(不快臭)를 조성(造成)하는 지방(脂肪)을 제거(除去)할 목적(目的)으로 실험(實驗)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꽁치중(中)의 trimethylamine은 추출시(抽出時)의 ethanol의 최종농도(最終濃度)가 $40{\sim}55%$ 수준이었을 때 가장 추출(抽出)이 잘되었다. 2. 꽁치를 boiling absolute ethanol로서 연속추출(連續抽出)을 행(行)할 때 추출(抽出)은 서로 다른 두 단계로 진행(進行)되었다. a) 추출(抽出)의 첫 단계에선 생선(生鮮)의 탈수(脫水)와 동시(同時)에 trimethylamine이 주(主)로 추출(抽出)되었으며 b) 생선(生鮮)이 탈수(脫水)된 그다음 단계에서 지방(脂肪)이 효율적(?率的)으로 추출(抽出)되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팽이버섯의 microwave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for Flammulina velutipe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현구;김미옥;최맑음;김공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22-228
    • /
    • 2003
  • 팽이버섯 추출물의 수율 및 전자공여작용, 총폴리페놀함량, tyrosinase 저해작용, 갈색도,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추출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팽이버섯 추출물의 수율변화는 에탄올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갈변도는 microwave power 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경우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microwave power가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작용의 경우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폭이 컸고, microwave가 증가할수록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microwave power가 클수록 추출물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에탄올 농도가 추출시 중요한 공정인자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tyrosinase 저해 작용의 경우 에탄올 농도보다는 microwave power에 영향을 받았는데 power가 작을수록 그 값은 크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팽이버섯의 최적 추출조건 범위는 microwave power $47.21{\sim}76.05$ watt, ethanol 농도 $10.25{\sim}43.56%$, 추출시간 5.72분으로 예측되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미숙사과 추출물의 유용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 (Effective Component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Unripe Apple by Extraction Methods)

  • 홍정진;설희경;오주열;정은호;장영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4-18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extraction method suitable for the availability of biological activities in unripe apples known to be rich in functional components. Unripe apples 'Hongro' picked on May 28th, 2019 were extracted by various extraction methods (hot water, ethanol, enzymatic pre-treatment, ultrasonic wave, and subcritical water) and their extracts were investigated yield, effective compone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verall, the yields by the extraction solvent were higher in water than in organic solvent(ethanol) because water-soluble compounds were eluted from a polar solvent.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ultrasonic wave (ethano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6 times than hot water extract. Contents of flavonoid were highest in the ethanol extract at 29.14 mg QE/g. Contents of tannin and ursolic acid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ltrasonic wave (ethanol) extract. The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he strongest in the ultrasonic wave (ethanol) extract. Correlation between effe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as high in the total phenol content with ABTS and the ursolic acid content with DPPH (p<0.01).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ultrasonic wave (ethanol) extract of unripe apples has the potential to act as a functional material.

구기자 추출물의 최적 항산화 추출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for optimum antioxidant extraction condition of Gugija (Lycium chinensis Mill) extract)

  • 김학윤;이기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51-460
    • /
    • 2017
  • 본 연구는 구기자 항산화 성분의 최적 추출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건조 구기자의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X_1$, 0~80%) 및 추출 시간($X_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9066, 0.9859, 0.8645, 0.9464로 1~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가용성 고형분 수율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8.25%에서 4.22 hr 추출한 것(23.12%)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79.98%에서 3.06 hr 추출한 것(흡광도 1.43)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02%에서 3.37 h 추출한 것($3,100{\mu}g/100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9.81%에서 1.67 h 추출한 것(96.93%)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에탄올 농도 70% 및 추출 시간 2,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은 1.0080(흡광도) 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145{\mu}g/100g$,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97%로써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안토시아닌 0.4652(흡광도), 플라보노이드 $1,633{\mu}g/100g$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87%)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초임계 $CO_2$를 이용한 대두 Genistein의 추출 (Supercritical $CO_2$ Extraction of Genistein from Soybean)

  • 부성준;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90-494
    • /
    • 1999
  • 보조용매가 포함되지 않은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온도 및 압력, 유속 등을 변경시켜도 genistein은 추출되지 않았다. 유기용매로 soaking한 결과를 보면 1mL ethanol로 soaking한 경우, 7.8%의 추출수율을 보였으며 함량도 약 7.8%정도를 나타내었다. Methanol로 soaking한 경우 더 낮은 수율과 함량을 보였다. 보조용매가 포함되지 않은 초임계이산화탄소로 추출한 결과 추출이 되지 않아서 보조용매를 이용하였다. 동일한 온도 압력 하에서 추출한 결과를 보면, ethanol이 methanol보다 효과가 우수하였다. 보조용매를 이용할 때 온도의 영향은 ethanol을 보조 용매로 사용한 경우, 압력 300bar일 때에 75$^{\circ}C$에서 56.4%의 최대수율을 나타내었고 함량은 55$^{\circ}C$일 때가 가장 높았다. 온도 35$^{\circ}C$조건에서 9%의 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여 압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00bar에서 genistein은 48.1%의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함량은 200bar일 때가 가장 높았지만 300bar와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할 때 초임계이산화탄소 유량에 대한 영향은 유량이 증가할수록 추출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함량도 약간 증가하였다. 온도 35$^{\circ}C$, 압력 275bar에서 ethanol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ethan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추출량도 증가하였으나 19%이후부터는 증가율이 둔화되었다. 보조용매를 첨가한 초임계유체를 이용하여 genistein을 추출하였을 때에 ethyl ether를 사용하여 추출했을 때와 비교해서 35$^{\circ}C$, 300bar, 30분간의 추출에서 genistein은 71% 추출수율과 31.5%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백련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Assessment of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lower Extracts from White Lotus)

  • 임명희;박용서;조자용;허북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0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basic data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lower extracts from 4 cultivars of white lotus to promote the increase of public consumption. Four cultivars of white lotus: c.v. 'Garam', 'Choeue', 'Baekhwageonryeon', and 'Seungdal' were harvested on 14, August, 2007, an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lower extracts obtained by hot water extraction and ethanol extraction were examined. Total 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Garam' flower hot water extracts, $144.2{\mu}g{\cdot}mL^{-1}$, and lowest in the 'Seungdal' flower ethanol extracts, $63.4{\mu}g{\cdot}mL^{-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at 2,000ppm flower extract of 'Garam' obtained by hot water extraction and ethanol extraction of 90.9% and 83.0%,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 in the flower extracts of 'Garam' obtained by hot water extraction and ethanol extraction showed the highest levels at $34.1{\mu}g{\cdot}mL^{-1}\;and\;33.9^{\mu}g{\cdot}mL^{-1}$, respectivel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t 1,000ppm flower extract was highest in 'Garam'. Extracts obtain by hot water and ethanol showed 91.3% and 80.4% activity,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as observed among the cultivars or as a result of extraction method. Overall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lower extracts was slightly higher in 'Garam' than in the other cultiv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