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water (3:1) extract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3초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의 면역증가 및 뼈 건강 효과 (Immunostimulatory and Bone Health-Promoting Activities of Litsea japonica Fruit Extract)

  • 박성진;강준철;이다영;조주현;윤민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4-289
    • /
    • 2020
  • 본 연구는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이 대식세포인 RAW264.7세포에서의 면역증가 효능과 조골세포인 MC3T3-E1 세포에서 뼈건강 효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면역증가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까마귀쪽나무열매 열수추출물(LJF-W)과 70% 에탄올추출물(LJF-70E)을 저농도(10 ㎍/mL), 중농도(100 ㎍/mL) 및 고농도(1,000 ㎍/mL)로 각각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홍삼 진세노사이드(Rg1+Rb1+Rg3 5.5 mg/g)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열수추출물(LJF-W)과 70%에탄올추출물(LJF-70E) 처리군에서 NO 생성량이 무처리구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염증성 cytokine인 TNF-α, IL-6, IL-1β의 생성량은 열수추출물(LJF-W)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70% 에탄올추출물(LJF-70E)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뼈건강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까마귀쪽나무열매 추출물에 의한 조골세포인 MC3T3-E1세포의 세포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열수추출물과 70%에탄올추출물 처리군에서 조골세포 증식능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까마귀쪽나무열매 열수추출물(LJF-W)이 면역증가와 뼈건강에 대한 효능성분으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파 부위별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Diverse Parts of Welsh Onion)

  • 한인화;김지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6-434
    • /
    • 2017
  • 대파를 잎, 줄기, 뿌리로 나누어 부위별로 물과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를 포함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과 80% 에탄올 추출물 모두 대파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80% 에탄올의 경우 대파의 뿌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의 경우 대파 잎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은 두 추출물 모두 대파의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OD 유사 활성은 뿌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pase 저해 활성과 알코올 분해능의 경우도 80%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모두 대파의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의 경우 80% 에탄올 추출물은 부위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물 추출물의 경우 대파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람 양성균인 B. ce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파 잎과 줄기에서 그람 음성균인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DPPH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파 잎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나 대파의 부위 중 대파 잎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lipase 저해 활성으로 나타나는 비만 억제 효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으로 나타나는 항당뇨 효과, 알코올 분해능 및 항균 활성도 대파의 잎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대파의 부위 중 잎이 기능성 소재로서 가장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목단피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Moutan Radicis Cortex)

  • 박선민;전동화;박춘희;장진선;박성규;고병섭;김보중;최수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2-477
    • /
    • 2004
  • 한의학에서 당뇨병(소갈) 처방으로 사용되는 육미지황환의 성분 중의 하나인 목단피의 혈당 강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목단피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XAD-4 column으로 분획하여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키고 ${\alpha}-glucoamylase$ 활성을 억제하는 분획층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3T3-L1 지방세포에서 소량의 인슐린(1 ng/mL)의 존재하에서 20, 40, 60% 메탄올 분획층은 인슐린 작용을 증가시켜 포도당 흡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20, 40, 60, 80% 메탄올 분획층에는 ${\alpha}-glucoamyl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말토즈와 dextrin의 ${\alpha}-glucoamylase$ 결합이 분해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In vivo에서 실험동물에게 목단피의 70%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후 말토즈와 dextrin로 경구부하 검사를 하였을 때 dextrin만이 투여하였을 때에 대조군인 셀룰로즈에 비해 혈당의 상승이 현저하게 낮았고 이것은 dextrin의 소화 흡수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효과가 있는 분획층을 더 분리하여 인슐린 민감성 물질과 ${\alpha}-glucoamyl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유효성분을 분리하고자 한다.

고지방식이 비만마우스에서 월비가출탕(越婢加朮湯)이 식이효율과 내장지방에 미치는 영향 (WBCEx1 Reduces Feeding Efficiency Ratio and Visceral Obesity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 안정란;강연경;장동호;이인선;신순식;정해경;이희영;이혜림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2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verify the effects of Wolbigachul-tang1(WBCEx1) on obesity using high fat diet-induced male mice and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Methods : 8-week old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lean control, obese control, WBCEx1, 2, 3. After mice were treated with WBCEx1(water extract), 2(30% ethanol extract), 3(water extract; Ephedra sinica Stapf., Gypsum fibrosum) for 12 weeks, body weight gain, feeding efficiency ratio, plasma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the messenger RNA(mRNA)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PPAR)$\alpha$ target genes were measured. In addition, $PPAR{\alpha}$ target gene expression was examined in liver, white adipose tissue and skeletal muscle. Results : 1. WBCEx1-treated mice had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gain and feeding efficiency ratio. 2. Consistent with the effects on body weight gain, WBCEx1 decreased the weights of epididymal and retroperitoneal white adipose tissue, inguinal subcutaneous adipose tissue, and brown adipose tissue. 3. WBCEx1 significantly decreased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4. The size of adipocyt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WBCEx1, whereas the adipocyte number per unit area was increas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was decreased by WBCEx1. 5. WBCEx1 did not affect the mRNA expression of $PPAR{\alpha}$ target genes in liver, adipose tissue, and skeletal muscle. 6. Plasma aspar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blood urea nitrogen(BUN) and creatine concentrations were in the physiological range. Liver and kidney weights were significantly lower following WBCEx treatment compared with obese controls, indicating that WBCEx does not show any toxic effects on liver and kidne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WBCEx1-induced body weight reduction is associated with appetite control and mediated by a mechanism other than the activation of $PPAR{\alpha}$.

품종에 따른 국내산 누에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Silkworm Cultivars)

  • 박종우;이창훈;정찬영;강상국;주완택;김성완;김남숙;권해용;김기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10-1018
    • /
    • 2021
  • 최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누에는 다양한 품종이 생산되고 있지만, 품종에 따른 기능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는 누에의 품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특화 품종으로서의 육성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비교를 위하여 백옥잠, 골든실크, 연녹잠 및 한생잠 등 4개 품종을 사육하고 5령 유충기 3일째 및 7일째 누에에 대하여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물을 이용한 5령 3일째의 골든실크에서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이 나타냈으나 총 페놀화합물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령 3일째 연녹잠의 물 추출물(86.11±4.04 ㎍/mg of gallic acid equivalent) 및 70% (v/v) 에탄올 추출물(46.70±2.81 ㎍/mg quercetin equivalent)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에서 백옥잠과 연녹잠이 최대 78%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연녹잠의 IC50 값은 11.94±1.93 ug/ml이었다. 연녹잠의 최대 SOD 유사 활성은 약 47%로 백옥잠 보다 높았으며, 비타민 C 40 ㎍/ml 농도의 SOD 유사 활성 45%와 유사했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 pH 1.2 조건에서 백옥잠과 연녹잠이 8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3.0에서는 백옥잠이 25%, 연녹잠이 20%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연녹잠 추출물 48 ㎍/ml 농도의 환원력은 0.7 abs 수준으로 gallic acid 3.6 ㎍/ml 농도의 환원력과 유사한 수준으로 4개 품종 중 가장 우수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항산화 활성 지표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보인 5령 3일째의 연녹잠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품종으로 육성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처방인 승마갈근탕(升摩葛根湯)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eungmakalgeuntang)

  • 이진영;배호정;박태순;김태완;문두환;권오준;손준호;이창언;박근혜;김한혁;안봉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13-20
    • /
    • 2010
  • 복합처방인 승마갈근탕을 이용하여 화장품 및 식품에 응용하고자 항산화 및 항균효과를 검토하였다. 승마갈근탕의 전자공여능은 모든 추출물 100 ppm에서 5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초임계 추출물의 경우 500 ppm에서 88%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승마갈근탕 1,000 ppm에서 50% 이하의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그 중 에탄올과 초임계 추출물의 경우 각각 46, 45의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의 경우 초임계 추출물 1,000 ppm에서 76%로 대조군인 vitamin C의 39%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승마갈근탕의 지방산패 억제능을 측정하기 위해 산화촉진제인 $Fe^{2+}$, $Cu^{2+}$ 이온을 첨가하여 측정한 결과 초임계 추출물의 $Cu^{2+}$ 첨가 시 500 ppm에서 68%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Fe^{2+}$를 첨가 시 100 ppm에서 60%의 지방산패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승마갈근탕의 clear zone 형성을 관찰한 결과, 추출물 모두 Escherichia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해서 항균 효과가 나타내었다. Staphylococcus aureus와 Propionibacterium acnes의 경우 4 mg/disc에서 초임계 추출물에서는 1.45, 2.10 cm로 가장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고,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이 1.82 cm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Amylocolatosis sp.가 생산하는 항암물질의 정제 및 구강암 모델에 미치는 항암 효과 (Purification of Materials Produced by Amylocolatosis sp. and Anticancer Effect in Oral Cancer Model)

  • 김정;박영민;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14
    • /
    • 2003
  • 각종 토양시료로부터 M배지와 AMP배지에서 생육하는 500여종의 방선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중 전배양배지(GMY 배지)에서 가장 뛰어난 항암활성능을 소유한 균주를 불리하고 배양하여 세포외 항암성물질을 분리하여 이 물질을 완전정제하고 MTT 정량분석을 실시하여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검사를 실시하였다. 1. 정제는 배양한 균체를 완전히 제거하고 동량의 ethylacetate를 처리하여 배양액중의 항암성분을 추출하고 무수 magnesium sulfate로 건조 후 농축, ethanol로 용해, 10배량의 water을 첨가하여 $4^{\circ}C$에서 overnight 시킨 후 추출액을 원심분리(12,000 rpm, 30분)하여 methylene chloride로 용해시켜 silica gel 60 column(${\phi}35{\times}600mm$, Merck Co.), methylene chloride-ethanol(96:4) 용매로 용출하고 sephadex LH-20 column(${\phi}15{\times}300mm$, Pharmacia LKB)에서 100% methanol로 용출하여 HPLC(Waters, ODS)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완전 정제하였다. 2. Compound는 Gram(+) 세균(6균주), Gram(-) 세균(11균주), 효모(2균주), 곰팡이(1균주)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3. 완전 정제된 물질에 대한 항암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실험 암세포에 대해서 뛰어난 항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rotein성 물질은 아닌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마늘 추출물이 Nitrosamine 생성반응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Garlic Extracts on the Nitrosation)

  • 임경재;박동기;이문수;이중근;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10-115
    • /
    • 2000
  • 마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과 항산화 효과 및 nitrosamine 생성 억제 작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마늘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두 pH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pH가 높을수록 소거작용이 떨어졌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시 pH 1.2에서 89.6%의 뛰어난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이들 마늘 추출물은 전자공여작용에도 높은 호과를 나타내었는데,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 보다 높았으며, linoleic acid의 항산화 효과도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Nitrosation 반응에서는 에탄올 추출물 첨가시 pH 1.2 및 3.0에서 80% 이상, 그리고 pH 6에서는 29.9%의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반응 pH에 따라 억제효과의 차이가 컸다.

  • PDF

Propolis 수용성분말 제조 및 이를 첨가한 빵의 저장 중 품질변화 (Preparation of Water Soluble Powder of Propolis and the Quality Changes of its Bread during Storage)

  • 송효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905-913
    • /
    • 2006
  • The properties of water soluble powder of propolis(WSP), made with different levels(0, 20, 40, 60, 80%) of ethanol extract of propolis(EEP) and hydrocolloid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quality changes of its bread after 7 days' of storage at $30^{\circ}C$ The yield of WSP containing 40% EEP treated at $160^{\circ}C$ was the highest at 59.3% and the brown color of all the powders tended to be darkened with increasing EEP content. The turbidity of WSP treated at higher temperature was decreased in its aqueous solution (10%, w/w), and this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presence of minute nonsoluble particles.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were the lowest in WSP treated at $140^{\circ}C$, while those of the WSP samples prepared at 160 and $180^{\circ}C$ were as high as that of WSP containing more than 40% EEP, regardless of EEP concentration. The propolis breads with added WSP made at $160^{\circ}C$ were selected as the most desirable powder for subsequent study. Bread with WSP40 was the heaviest while the volume loss of WSP80 was the greast after baking.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propolis bread were drastically decreased until 3 days' of storage, but it was thought that WSP might be in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moisture loss. The pH of breads without EEP was decreased after 3 days' of storage, while that of the WSP breads remained almost unchanged until 5 days' of storage. Total bacterial counts also exhibited decay levels during the storage. In conclusion, water soluble powder of propolis is useful as a natural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material in various types of food.

Cytotoxic Effect and Constituent Profile of Alkaloid Fractions from Ethanolic Extract of Ficus septica Burm. f. Leaves on T47D Breast Cancer Cells

  • Nugroho, Agung Endro;Akbar, Fiki Fatihah;Wiyani, Anggie;Sudarsono, Sudarson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337-7342
    • /
    • 2015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file of alkaloids in two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s, namely fractions A and B from an ethanolic extract of Ficus septica leaves and cytotoxic effect on T47D breast cancer cells. Preparation of both fractions involved maceration of leaves with 70% (v/v) ethanol, filtration with $Al_2O_3$, precipitation with 0.1 N HCl, Mayer reagent, and 0.1 N NaOH, and also partition with ethyl acetate. Qualit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ofile of alkaloids in the two fractions, using alkaloid specific reagents such as Dragendorff, sodium nitrite, and Van Urk-Salkowski. Cytotoxic effects of both fractions on T47D cells were evaluated using MTT assay with a concentration series of 1.56; 3.12; 6.25; 12.5; 25 and $50{\mu}g/mL$. The TLC test showed that fractions A and B contained alkaloids with Rx values of 0.74 and 0.80 for fraction A and 0.74, 0.84, 0.92 for fraction B with regard to yohimbine using the mobile phase of n-buthanol:glacial acetic acid:distilled water (3:1:1 v/v/v). Moreover, an indole alkaloid was detected with Rx values of 0.80 and 0.84, respectively. Fractions A and B exhibited high cytotoxic effects on T47D cells with IC50 values of 2.57 and $2.73{\mu}g/mL$, respectively. In conclusion,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ractions of Ficus septica contain alkaloids including indole alkaloid or its derivatives and possess a cytotoxic effect on T47D cells. This research supports the idea that alkaloids in F. septica have anticancer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