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rogen activity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4초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초대 배양 간세포의 Vitellogenin합성에 미치는 Bisphenol A의 영향 (Effects of Bisphenol A on Vitellogenin Synthesis in the Hepatocyte Primary Culture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여인규;최미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0-185
    • /
    • 2000
  • 플라스틱의 원재료로 이용되는 bisphenol-A (BPA)가 vitellogenin (VTG)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넙치의 간세포를 초대 배양하여 조사하였다. 간세포는 2일간 사전 배양을 하였으며, estradiol-$17\beta(E_2)$ 및 BPA를 배양액에 동시 첨가하였다. 간세포는 6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SDS-PAGE로 분석하였다. BPA는 농도 의존적으로 총 단백질에 대한 VTG 비율은 증가하였으며, $10^{-6}M$$10^{-5}M$의 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특히, BPA $10^{-5}M$의 농도에서의 총 단백질에 대한 VTG 비율은 26.36%로 $E_2$만을 첨가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E_2$와 BPA를 단독 또는 동시에 첨가하여 유도된 VTG합성은 배양액에 tamoxifen$(10^{-6}M)$을 첨가함으로서 $E_2$를 첨가한 대조군의 약 80%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그리고, in vivo에서 $E_2$에 의해 유도된 VTG합성은 in vitro에서 간세포를 6일간 배양함에 따라 $E_2$를 첨가한 대조군의 약 22%까지 억제되었다. 이러한 감소효과는 BPA의 농도 의존적으로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넙치에서의 BPA는 $E_2$ receptor와의 반응을 통한 에스트로겐 작용에 의해 VTG합성을 유도하고, 난황형성기에서의 VTG 합성을 장시간 지속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miR-4463 regulates aromatase expression and activity for 17β-estradiol synthesis in response to follicle-stimulating hormone

  • Lee, Su-Yeon;Kang, Youn-Jung;Kwon, Jinie;Nishi, Yoshihiro;Yanase, Toshihiko;Lee, Kyung-Ah;Koong, Mi K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7권3호
    • /
    • pp.194-206
    • /
    • 2020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croRNAs (miRNAs) related to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responsiveness using miRNA microarrays and to identify their target genes to determine the molecular regulatory pathways involved in FSH signaling in KGN cells. Methods: To change the cellular responsiveness to FSH, KGN cells were treated with FSH receptor (FSHR)-specific small interfering RNA (siRNA) followed by FSH. miRNA expression profiles were determined through miRNA microarray analysis. Potential target genes of selected miRNAs were predicted using bioinformatics tools, and their regulatory function was confirmed in KGN cells. Results: We found that six miRNAs (miR-1261, miR-130a-3p, miR-329-3p, miR-185-5p, miR-144-5p and miR-4463)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after FSHR siRNA treatment in KGN cells. Through a bioinformatics analysis, we showed that these miRNAs were predicted to regulate a large number of genes, which we narrowed down to cytochrome P450 family 19 subfamily A member 1 (CYP19A1) and estrogen receptor alpha (ESR1) as the main targets for miR-4463. Func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miR-4463 is a regulatory factor for aromatase expression and function in KGN cell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miRNAs related to FSH responsiveness. In particular, upregulation of miR-4463 expression by FSHR deficiency in human granulosa cells impaired 17β-estradiol synthesis by targeting CYP19A1 and ESR1. Therefore, our data might provide novel candidates for molecular biomarkers for use in research into poor responders.

골담초 열수 추출물의 갱년기 이후 지질 및 당질 대사 개선 효능 (Effects of a Caragana sinica Water Extract on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이상철;정수임;강미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2-538
    • /
    • 2016
  • 난소의 노화에 의해 폐경이 시작되면 에스트로겐 분비가 중단되어 여러 폐경 증상들을 겪게 되는데 이것으로 인해 발병되는 성인병 질환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난소절제술을 통해 폐경을 유도한 흰 쥐 모델에서 골담초 열수 추출물의 체내 물질 대사 관련 여부 및 개선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Sprague-Dawley 암컷 쥐30마리를 비절제난소군(SHAM), 난소제거군(OVX) 그리고 골담초 추출물을 급여한 OVX-CS군으로 각각 10리씩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체중 및 체중증가량 그리고 지방조직무게는 OVX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OVX-CS 군에서 감소하였다.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혈장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수준은 골담초 추출물 급여에 따라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 수준은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산 합성 관련 효소 활성도인 ME는 간조직에서는 OVX-C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G6PD 활성은 OVX 군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당신생합성 관련 효소인 G6pase 활성은 골담초 추출물 섭취에 따라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아디포카인 측정 결과 렙틴 농도는 OVX-CS군이 정상군 수치만큼 감소하였으며, 아디포넥틴도 정상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난소제거를 통해 폐경이 유도된 흰쥐모델에서 골담초 추출물 급여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체중증가를 억제하고, 지질 및 당질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건강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며, 추후 골담초의 구체적인 생활성물질을 추적하여 그 과학적 기전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임신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 Bisphenol A의 양수 내 농도와 임신결과와의 상관관계 (Amniotic Fluid Bisphenol A Level and Its Relationship with Pregnancy Outcomes)

  • 윤정미;권자영;윤용달;김세광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2호
    • /
    • pp.95-100
    • /
    • 2012
  • Bisphenol A(BPA)는 약한 estrogen 활성도를 보이는 화학물질로서 착상 전 배아나 태아에 영향을 미쳐, 출생 후 그들의 신체발달에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인체에서 임신 중기에 양수 내 BPA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농도에 따라 임신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신 15주에서 20주 사이에 유전학적 적응증으로 양수천자 검사를 시행 받았던 120명의 임신부 양수를 연구대상으로 ELISA 방법으로 농도를 측정하였다. 양수천자의 가장 많은 적응증은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부였다. BPA는 모든 양수에서 검출이 가능하였으며, 그 농도는 최저치 0.89 ng/mL부터 최고치 37.13 ng/mL까지의 분포를 보였고, 평균치는 7.24 ng/mL이었다. 양수 내 BPA 농도가 여러 임신결과들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임신부 나이 35세 이상 대 미만, 남자 태아 대 여자 태아, 분만 당시 재태 연령 37주 이상 대 미만, 출생 당시 신생아 체중 2.5 kg 이상 대 미만으로 각각 나누어, 두 군간에 농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임신부를 대상으로 최초로 양수 내 BPA 농도에 관한 보고이다. 본 연구결과 BPA 농도는 임신부 나이나 태아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산이나 저체중아의 발생과도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산전 BPA 노출이 배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 문준성;원규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19-30
    • /
    • 2008
  • 골다공증은 골밀도와 골의 질로 구성되는 골의 강도가 손상됨으로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는 골격질환이며, 최근 유병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임상적으로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며 방사선학적 검사인 단순 방사선 검사, 골 스캔, CT, MRI 등이 골밀도 및 골절의 진단에 유용하다. 골밀도의 정량적 검사로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이 사용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WHO 기준에 따라 T-score가 -2.5 이하일 경우 진단할 수 있다. 그 외에 생화학적 골표지자들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흡수억제제와 골형성자극제(formation stimulator)로 나눌 수 있는데 골흡수억제제로는 칼슘, 에스트로겐, 칼시토닌,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비타민 D 등이 있으며 골량을 증가시키는 골형성자극제로는 현재 부갑상선 호르몬이 유일하며 최근 strontium ranelate가 추가되었다. 일일 1200 mg의 칼슘과 800 IU 의 비타민 D 섭취가 권장되고 있으며,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이 효과가 입증되었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통증에는 칼시토닌이 효과가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 및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에 대해 FDA의 승인을 받았다.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에 사용되는 SERM은 골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골절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골형성자극제인 부갑상선 호르몬이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strontium은 최근에 개발된 약제로 3상 연구에서 골절 위험율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갱년기 유도 흰쥐에서 감태 추출물이 골 대사 지표물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s on Bone Turnover Markers in Ovariectomized Rats)

  • 강성림;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41-1846
    • /
    • 2009
  • 갱년기의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골 손실의 증가 등으로 골다공증질환의 발병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갱년기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호르몬 대체 요법으로 치료를 하고 있으나 유방암과 자궁암 등의 부작용에 대한 논쟁의 여지가 있어 갱년기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양면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쉽게 섭취 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없는 해조류인 감태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해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군들에서 전체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난소절제 후 감태 추출물을 투여에 의한 체중 감소는 나타나지 않아 감태 추출물이 체중 감소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소절제 시(OVX-CON)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bone turnover가 증가되어 비 난소절제(SHAM)군에 비해 혈장 중의 ALP의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난소 절제 후 감태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것은 난소 절제 후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되는데 반해 감태 추출물 투여가 에스트로겐 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난소절제로 인한 골 손실 정도를 완화시켜 준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골 용해 지표인 혈액 중의 CTx는 난소절제군이 비 절제군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여 난소 절제군에 있어 골 용해가 증가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반면 감태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CTx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EC-200군의 경우 SHAM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난소절제로 인해 bone turnover가 증가된 상태에서 감태 추출물의 투여로 bone turnover가 감소하여 골 흡수 저해 효과를 타나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은 난소절제로 인하여 감소하였으나, 감태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estrogen 부족으로 인한 골 손실의 예방에 감태가 유익한 효과를 가지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식품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여성 호르몬이 무릎의 느슨함(laxity)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male Hormone on Knee Joint Laxity)

  • 박상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9-106
    • /
    • 2009
  • 연구의 목적은 여성 호르몬 변화가 무릎의 느슨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23명의 여성피험자들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각 피험자의 호르몬 주기 중에 세 차례에 걸쳐 에스트라디올과 프로제스트론을 혈액들 통해서 산출되었다. 첫 번째 측정은 호르몬주기의 초기 중 3일과 7일 사이에, 두 번째 측정은 배란측정기를 통해서 에스트로겐의 최고치 측정 후 24시간에서 48시간 후인 배란기에 실시되었다. 세 번째 측정은 28일의 평균 호르몬주기를 기준으로 두 번째 측정 후 약 7일이 지난 후에 실시되었다. 무릎 관절의 느슨함 정도가 측정기기(KT-2000)를 통해서 호르몬 수치와 함께 동시에 측정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호르몬의 수치와 무릎의 느슨함 정도가 각 시기별로 비교되었다. 호르몬의 수치들은 세 차례의 시기 간에 차이가 있었다. 무릎의 느슨함은 각각 호르몬 배란기 동안에 증가를 나타내었다. 다중 회귀방정식을 통해서 20lb좌 30lb의 부하 수준에서 77.9%에서 80.9%4의 예측수준을 나타내었고 두 호르몬 간에 관계가 관절의 느슨함에 상호 상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르몬의 수치가 무릎의 느슨함을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개인의 호르몬 수치의 프로파일을 통해서 관절의 느슨함과 같은 관절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서 스포츠 상황에서의 관절상해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겠다.

Isoproterenol에 의한 자궁근 이완의 기전 : 4-aminopyridine-sensitive K+ 채널의 개방 (Mechanism of isoproterenol-induced relaxation of the rat uterine smooth muscle: Activation of 4-aminopyridine-sensitive K+ channels)

  • 김기하;이영재;조명행;이문한;전보권;류판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3-91
    • /
    • 1996
  • Activation of $K^+$ channels induces relaxation of smooth muscles by reducing electrical excitability and cytosolic free $Ca^{2+}$ level. ${\beta}$-adrenergic agonist isoproterenol is known to induce relaxation of the uterine smooth muscle by membrane hyperpolarization and $K^+$ efflux. Rec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 activity of $Ca^{2+}$-activated $K^+$ channel was increased by isoproterenol in the uterine myocytes isolated from myometrium of the pregnant rat. However, the type of $K^+$ channel mediating the relaxant effect of isopreterenol in the tissue level has not yet studied. In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type of $K^+$ channels involved in the isoproterenol-induced relaxation of uterine smooth muscle by measuring the integrated insometric tension of the estrogen-treated isolated nonpregnant rat uterus. Contraction of uterine tissue was induced by oxytocin (0.2nM, 2~3 contractions/min) or high KCl(20~80mM).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Isoproterenol($10^{-10}{\sim}10^{-4}M$) inhibited oxytocin-induced contraction of isolated rat uterus($EC_{50}=1.17{\times}10^{-10}M$). 2. Isoproterenol($10^{-10}{\sim}10^{-4}M$) effectively inhibited uterine contraction induced by low KCl(20~40mM) but little those induced by high KCl(60~80mM). 3. Relaxant effect of isoproterenol($10^{-10}{\sim}10^{-4}M$) on 0.2nM oxytocin-induced contraction was effectively reduced by 4-aminopyridine(3, 10mM) but little by TEA(10~30mM), $Ba^{2+}$($1{\sim}30{\mu}M$) and glibenclamide($100{\mu}M$). Our data suggest that the relaxant effect of isoproterenol is mediated by the $K^+$ channel(s) which can be blocked by 4-aminopyridine.

  • PDF

유산균 발효에 따른 볶은 아마씨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flaxseed Extracts Based on Lactic-acid Bacteria Fermentation)

  • 박예은;김병혁;윤여초;김중규;이준형;권기석;황학수;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7-554
    • /
    • 2018
  • 아마(Linum usitatissimum L.)의 종자인 아마씨(Flaxseed)는 아마인(仁)이라고도 불리며 오메가-3 지방산, 식물성 에스트로겐, 알파-리놀렌산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저해, 혈액응고 저해, 종양의 성장 억제 등 다양한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 되어있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해 발효한 아마씨의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가열 처리된(볶은) 아마씨에 4종의 유산균(NFFS ; Non-fermented flaxseed, BHN-LAB31, 126 ; Lactobacillus brevis, BHN-LAB41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3109 ; Lactobacillus casei)을 접종하여 $37^{\circ}C$에서 7일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고, 발효 후 70% 에탄올을 통해 추출하여 각 발효 유산균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발효하지 않은 아마씨(NFFS)에 비해 유산균 발효 아마씨에서 전반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약 1.5~8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약 1.2배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능은 100 ppm 농도에서 비 발효 아마씨 대비 5.6배, SOD 유사활성능은 2.3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산균을 이용한 아마씨의 발효가 가능하며, 유산균 발효가 아마씨의 항산화능 증대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난소절제 흰쥐의 골격대사에 대한 식이 칼슘과 대두 이소플라본의 섭취효과 (Effects of Dietary Calcium and Soy Isoflavones Supplementation on Bone Metabolism in the Ovariectomized Rats)

  • 김민선;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33-839
    • /
    • 2005
  • 본 연구는 난소절제 휜쥐를 이용하여 저$(0.1\%)$ 및 정상 $(0.5\%)$ 칼슘 식 이 에 대두 이소플라본 첨가수준을 달리 하여 급여했을 때 뼈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은 난소절제에 의해 증가하였고 식이 칼슘 및 대두 이소플라본의 첨가에 따른 효과는 없었다. 혈청 칼슘 농도는 난소절제, 식이 칼슘 및 대두 이소플라본에 의해 변화되지 않았으며 혈청 인의 농도는 정상 칼슘 식이 급여시 감소하였으나 정상 범위였고, 대두 이소플라본은 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ALP활성은 난소절제에 의해 증가하였는데,그 정도는 저 칼슘 식이군에서 더 높았고 대두 이소플라본은 이를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혈청 TrACP활성은 난소절제, 식이 칼슘 및 대두 이소플라본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퇴골 및 요추골의 무게 및 크기는 난소절제, 식이 칼슘, 대두 이소플라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대퇴골의 파단력은 난소절제 에 의해 변화되지 않았으나 식이 칼슘은 이를 증가시켰다. 대퇴골 및 요추 골의 칼슘과 인의 함량은 난소절제에 의해 감소하였고 대두 이소플라본 80 ppm 첨가는 이를 증가시켰다. 식이 칼슘의 영향은 요추골에서 나타나 정상 칼슘식이를 급여했을 때 요추골의 칼슘과 인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대두 이소플라본 160 ppm첨가는 뼈의 칼슘과 인의 함량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난소절제한 흰쥐에서 대두 이소플라본 80 ppm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하면 뼈의 무기질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런 효과는 식이 칼슘이 정상일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두 이소플라본의 첨가는 폐경성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유효하며 섭취하는 칼슘이 결핍되지 않을 때 그 효과가 더 높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