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radiol receptor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초

미성숙 쥐 자궁에서 Tamoxifen의 Antiestrogen 효과에 관한 연구 : I. 세포질 내 및 핵 내 Estradiol 수용체 농도의 변화에 관하여 (A Study on Antiestrogenic Effects of Tamoxifen in Immature Rat Uterus; I. Effects on Concentrations of Cytosol and Nuclear Estradiol Receptor)

  • 이효종;조충호;박무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7-195
    • /
    • 1985
  • The Present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antiestrogenic effects of tamoxifen in uteri of immature rats. Immature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llocated into 4, groups and injected with $5{\mu}g$ of estradiol-$17{\beta}$, $50{\mu}g$ of tamoxifen, a combination of both or vehicle only subcutaneously three times after an interval of 24 hours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cytosol estradiol receptor in uterus were measured by DCC method before and 1, 3, 6, 12, 24, 48 and 72 hours after the above treatments and those of nuclear estradiol were measured by protamine exchange method 72 hours and those of nuclear estradiol were measured by protamine exchange method 72 hours after the above treatment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inding affinity of tamoxifen to estradiol receptor in uterine cytosol was lower than that of estradiol-$17{\beta}$, accordingly the translocation of estradiol receptor into the nucleus was found to be delayed. 2. Tamoxifen caused the retention of estradiol receptor in nucleus over 24 hours and inhibited the replenishment of the receptor from nucleus to cytosol in uterus.

  • PDF

Effects of $17{\beta}$-Estradiol and Estrogen Receptor Antagonists on the Proliferation of Gastric Cancer Cell Lines

  • Kim, Myung-Jin;Cho, Sung-Il;Lee, Kun-Ok;Han, Hyung-Joon;Song, Tae-Jin;Park, Seong-Heum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3권3호
    • /
    • pp.172-178
    • /
    • 2013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o de scribe the expression status of estrogen receptor-${\alpha}$ and -${\beta}$ mRNAs in five gastric carcinoma cell lines; 2) to evaluate in vitro the effects of $17{\beta}$-estradiol and estrogen receptor antagonists on the proliferation of the cell lines. Materials and Methods: Detection of estrogen receptor-${\alpha}$ and estrogen receptor-${\beta}$ mRNA in five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s (AGS, KATO III, MKN28, MKN45 and MKN74) was made by th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system. To evaluate the effect of $17{\beta}$-estradiol and estrogen receptor antagonists on the proliferation of gastric cancer cell line, the cell lines which expressed both es trogen receptors were chosen and treated with $17{\beta}$-estradiol and estrogen receptor antagonists (methyl-piperidino-pyrazole and pyrazolo [1,5-a] pyrimidine). Cell proliferation was assessed with the methylthiazol tetrazolium test. Results: Estrogen receptor-${\alpha}$ and estrogen receptor-${\beta}$ mRNAs were expressed in three (KATO III, MKN28 and MKN45) and all of the five gastric cancer cell lines, respectively. At higher concentrations, $17{\beta}$-estradiol inhibited cell growth of MKN28, MKN45 and KATO III cell lines. Neither estrogen receptor-${\alpha}$ nor estrogen receptor-${\beta}$ antagonist block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17{\beta}$-estradiol.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estrogen receptor-${\beta}$ mRNAs are preferentially expressed in gastric cancers and also imply that hormone therapy rather than estrogen receptor blockers may be a useful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estrogen receptor-${\beta}$ positive gastric cancer. Its therapeutic significance in gastric cancer are, however, limited until more evidence of the roles of estrogen receptors in the gastric cancer are accumulated.

치주인대세포 배양에서 estrogen이 growth hormone receptor의 발현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trogen on growth hormone receptor express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line)

  • 홍성규;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1-452
    • /
    • 2000
  • 본 실험은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에서 에스트로겐과 growth hormone(GH)이 상호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정치료를 받고자 내원한 환자중에서 건강한 20대 여자환자들의 상하악 제1소구치를 발거하여 치근의 중간1/3부위에서 긁어모은 치주인대 조직을 배양하여 치주인대세포를 얻었다.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에 대한 $17{\beta}$-estradiol과 hGH의 효과를 평가하고, 치주인대세포에 $17{\beta}$-estradiol을 전처리한 후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에 미치는 hGH의 효과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치주인대세포에 $17{\beta}$-estradiol을 전처리 하였을 경우 치주인대세포에 서 hGH receptor치 발현 양상의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7{\beta}$-estradiol이나 humangrowth hormone의 단독처리는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종식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17{\beta}$-estradiol $10^{-12}M$로 전처리한 후 hGH를 투여한 경우 hGH의 농도에 관계없이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을 증가시킨다. 3.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에는 hGH receptor가 없으나, $17{\beta}$-estradiol $10^{-12}M$로 5시간 이상 처리하면 hGH receptor가 발현된다. 4. hGH이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의 분열증식에 미치는 효과는 hGH receptor의 발현과 관련이 있으며 $17{\beta}$-estradiol의 전처리가 치주인대세포에서의 hGH receptor의 발현에 기여함으로써 hGH이 치주인대세포에 작용할 수 있도륵 해준다.비, 상악의 대구치간 너비, 구개정 높이가 상관관계가 있었다.에서 치 아이동은 정상상태보다 촉진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따라 평균마찰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 브라켓간 거리의 변화에 대한 마찰력의 차이는 교정선의 재질에 따라 차이가 나며,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은 브라켓간 거리가 감소할 때 마찰력이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NiTi 교정선의 경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7. 브라켓내의 교정선의 이동속도에 따라 마찰력은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교정 치료동안 적정 교정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가결찰브라켓,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과 탄성모듈결찰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치료시기에 따라서 요구하는 마찰력이 다르므로 상황에 따라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군에서 $4.3\%$ 감소하였다. 7. 수술로 인한 얼굴폭의 변화는 무시할만한 것으로 판단되나 수술후 얼굴의 길이가 짧아져 상대적으로 얼굴의 폭이 넓어보일 수 있으므로 수술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 및 환자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로는 4-6세군 ($27.5\%$), 6-8세군 ($19.6\%$), 2-4세군 ($13.7\%$)이 $60\%$이상을 차지하여 초등학교 취학 전에 구순의 반흔을 제거하려 함을 알 수 있었다. 8. 비변형 교정수술시기로는 0-2세군 ($7.1\%$), 2-4세군 ($14.3\%$), 4-6세군 ($21.4\%$), 6-8세군 ($14.3\%$)으로 초등학교 취학이전이 $57.1\%$로서 최근의 조기 치료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9. 인두피판술은 평균 6세에 시행되었으며, 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고른 분포를

  • PDF

Real time-PCR을 이용한 내분비계장애 생체지표의 발현감수성 비교

  • 이철우;구자민;전성환;나진균;박광식;이문순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2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64-164
    • /
    • 2002
  • 에스트로젠을 처리한 송사리의 간으로부터 choriogenin vitellogenin estrogen receptor의 발현량을 전사수준에서 Real-time을 사용하여 정량.비교하였다. 시험어종으로는 부화 후 5개월 이상된 성숙한 수컷 송사리(Oryzias latipes)를(체중 약 250mg/마리)를 사용하여 17$\beta$-estradiol(25ppt, 50ppt, 100ppt)에 24시간 노출시켰다. Fluorescence dye는 choriogenin vitellogenin estrogen receptor의 경우 FAM (6-carboxyfluorescein)을 사용하였으며, $\beta$-actin의 경우는 VIC를 사용하였다. 프로브에 사용하는 quencher dye는 TAMRA(6-carboxy-N',N',N',N'-tetramethyl rhodamine)을 사용하였다. Internal control로 사용된 $\beta$-actin은 17$\beta$-estradiol의 농도에 상관 없이 0~10pM 범위에서 일정하게 발현됨을 보여주었다. vitellogenin choriogenin L 및 choriogenin H는 17$\beta$-estradiol의 농도에 의존하여 발현이 증가되는 용량-반응양상(Dose-dependent)을 나타내었다. 반면, estrogen receptor는 모든 처리군에서 $10^{-2}$pM 정도로 발혐됨에 따라 본 시험농도의 17$\beta$-estradiol에 의해서는 거의 유도발현이 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choriogenin L, choriogenin H, vitellogenin I 및 estrogen receptor 발현감수성을 비교한 결과, 25ppt 및 50ppt의 17$\beta$-esoadiol 농도에서는 ChgL > ChgH > VTG I >ER의 순으로 감수성이 높았으며, 100ppt 노출에서는 ChgL > VTG I > Chg H > ER의 순으로 감수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choriogenin이 에스트로젠물질에 의한 가장 민감한 생체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폐쇄성 요로병증에서 $17{\beta}$-estradiol에 의한 신섬유화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 ($17{\beta}$-estradiol Attenuates Renal Fibrosis in Mice with Obstructive Uropathy)

  • 조민현;장희성;정경진;박권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2호
    • /
    • pp.125-137
    • /
    • 2011
  • 목적: 일반적으로 남자는 여자에 비해 만성 신장병의 발병이 많고 말기 신부전으로의 진행이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생쥐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성별과 성호르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일측성 완전 요관 폐쇄 7일째 암컷과 수컷 생쥐의 신장에서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의 발현을 측정한 후, 암컷 생쥐에서 난소를 제거하거나 제거 후 다시 $17{\beta}$-estradiol을 보충하여 나타나는 신섬유화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alpha}$-SMA의 발현이 수컷 신장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난소 제거와 $17{\beta}$-estradiol의 보충은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안지오텐신 II 1형 수용체의 발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의 발현은 정상 암컷과 난소 제거 후 $17{\beta}$-estradiol를 보충한 암컷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역시 유사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여성은 폐쇄성 요로병증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저항성과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성별의 차이는 $17{\beta}$-estradiol에 의한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와 iNOS의 발현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strogen Modula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 Growth

  • Lee, Hyung-Ok;Sheen, Yhun-Yh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566-571
    • /
    • 1997
  • To gain further insight into how estrogens modulate cell function, the effects of estrogen on cell proliferation were studied inhuman breast cancer cells. We examined the effects of estrogen on the proliferation of three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that differed in their estrogen receptor contents. Ten nM estradiol markedly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that contained high levels of estrogen receptor $1.15{\pm}0.03 pmole/mg protein)$(over that of control. In T47D cells that contained low levels of estrogen receptor $0.23{\pm}0.05 pmole/mg protein)$, Ten nM estrogen slightly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ver that of control. MDA-MB-231 cells, that contained no detectable levels of estrogen receptors, had their growth unaffected by estrogen. These results showed their sensitivity to growth stimulation by estrogen correlated well with their estrogen receptor content. Also we examined the effect of estrogen on cellular progesterone receptor level as well as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 in MCF-7 cells. Ten nM estradiol showed maximal stimulation of progesterone receptor level as well as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 in MCF-7 cells. It is not clear whether these stimulations of progesterone receptor and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 by estrogen are related to the estrogen stim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of MCF-7 cells. Studies with estrogen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in culture indicate that sensitivity to growth stimulation by estrogen correlates well with estrogen receptor contents.

  • PDF

Ginsenoside-Rb1 Acts as a Weak Estrogen Receptor Agonist Independent of Ligand Binding.

  • Park, Wan-Kyu;Jungyoon Cho;Lee, Young-Jo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114-114
    • /
    • 2003
  • Ginseng is a medicinal herb widely used in Asian countries, and its pharmacological effects has been demonstrated in various systems such as cardiovascular, central nervous, and endocrine systems. Its effects are mainly attributed to the ginsenosides. We hypothesize that a component of Panax ginseng, ginsenoside-Rbl, acts by binding to estrogen receptor. We have investigated the estrogenic activity of ginsenoside-Rbl in a transient transfection system using estrogen receptors ${\alpha}$ or ${\beta}$ with estrogen -responsive luciferase plasmids in COS monkey kidney cells. Ginsenoside-Rbl activated both estrogen receptors ${\alpha}$ and ${\beta}$ in a dose-dependent manner (0.5 -100 M ). Activation was inhibited by the specific estrogen receptor antagonist ICI 182,780, indicating that the estrogenic effect of ginsenoside-Rbl is estrogen receptor dependent. Next, we evaluated the ability of ginsenoside-Rbl to induce estrogen-responsive progesterone receptor gene by semi-quantitative RT-PCR assays. MCF-7 cells treated with l7${\beta}$-estradiol or ginsenoside- Rb1 exhibited an increased expression of progesterone receptor mRNA. However, ginsenoside-Rbl failed to displace the specific binding of [3H]17${\beta}$-estradiol to estrogen receptor in MCF-7 cells as examined by whole cell ligand binding assays, suggesting that there is no direct interaction of ginsenoside-Rbl with estrogen receptor. Our results indicate that estrogen-like activity of ginsenoside-Rbl is independent of direct estrogen receptor association.

  • PDF

자궁세포 성장에 미치는 항에스트로젠제의 작용기전 (Action Mechanism of Antiestrogens on Uterine Growth in Immature Rats)

  • 이중빈;윤미정;김창미;홍사석;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7-176
    • /
    • 1990
  • 비스테로이드성 항에스트로젠제는 표적기관에서 estrogen 수용체와 상경적으로 결합하므로써 estrogen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에스트로젠제는 대체로 triphenylethylene계로서 tamoxifen, clomiphene, LYl17018등이 있으며 표적기관에서 estrogen의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에 estrogen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이용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후 21-23일된 미성숙 흰쥐를 재료로 항에스트로젠제중 tamoxifen과 LY117018이 자궁세포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기전으로 estrogen의 작용을 길항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항에스트로젠제가 estrogen작용의 중요 지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amoxifen과 LY117018은 자궁세포에서 estrogen의 영향이 없는 경우에는 estrogen agonist로, estrogen작용하에서는 estrogen antagonist로서 작용하였다. Estrogen 작용의 여러 가지 지표에 대해 tamoxifen이 LY117018보다 agonistic effect는 더 컸으나, antagonistic effect는 LY117018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Estrogen 수용체에 대한 결합능은 LY117018이 estradiol보다는 약간 낮았으나 용량에 비례하여 estrogen 수용체와 결합하였다. 그러나 tamoxifen은 estrogen 수용체에 대한 결합이 아주 낮았다. Estrogen 수용체에 대한 binding affinity는 estradiol(100%), LY117018(77%), tamoxifen(6.3%) 순으로 나타났다. 항에스트로젠제의 생체내 투여는 estrogen 존재 유무에 따라 estrogen 수용체 농도에 agonist 또는 antagonist로 작용하였다. 항에스트로젠제의 단독투여는 progesterone 수용체 생성을 증가시키나, estrogen에 의하여 유도된 progesterone 수용체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tamoxifen과 LY117018은 estrogen유무에 따라 흰쥐 자궁세포에서 estrogen antagonist로서 뿐만 아니라 agonist로서도 작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estrogen수용체와의 결합능력이 아주 낮은 tamoxifen은, 용량에 비례하여 estrogen수용체에 결합하므로써 작용하는 LY117018과는 다른 기전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stradiol-$17{\beta}$와 Nonylphenol이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 초기 배발생과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 $\beta$ Like 1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stradiol-$17{\beta}$ and Nonylphenol on mRNA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 $\beta$ Like 1 and Early Embryogensis in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 정유정;맹세정;손영창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179-185
    • /
    • 2007
  • Estrogen과 estrogenic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EDCs)는 주로 스테로이드 수용체와 작용하여 다양한 표적 단백질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한다. 구조적으로 estrogen 수용체와 유사한 estrogen 수용체형 수용체(estrogen receptorrelated receptor, ERR)는 포유동물에서 배발생 후기에 외배엽 형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진 고아핵수용체(orphan nuclear receptor)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무척추동물인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의 발생배를 재료로 estradiol-$17{\beta}(E_2)$과 EDCs의 일종인 nonylphenol(NP)이 발생과정의 형태학적 변화와 $ERR{\beta}$ like 1의 mRNA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E_2$와 NP가 처리된 발생배는 발생속도가 지연되었으며, 초기 유생기에 가까운 후기배의 비정상적인 발달형태가 관찰되었다. 수정란부터 초기 유생기까지 측정한 결과, 이들 화학물질에 의해 $ERR{\beta}$ like 1 mRNA는 포배기에 급격히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둥근성게의 초기 배가 $E_2$와 NP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발생되며, $ERR{\beta}$ like 1의 감소가 이 비정상적 배발생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Effect of 3-Methylcholanthrene on Rat Uterus: Uterine Growth and Mechanism of Action of 3-Methylcholanthrene

  • Sheen, Yhun-Y.;Kim, Sun-S.;Yun, Hea-C.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276-282
    • /
    • 1993
  •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3-methylcholanthrene (3MC) on rat uterine growth an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3MC in rat uterus. After diethylstilbesterol(DES) or tamoxifen(TAM) or 3MC or DES plus TAM or DES plus 3MC was administered into immature female rats, uterine weight over corn oil-treated uteri. 3MC treatment had no effect on uterine weight but, DES stimulated uterine weight was inhibited by 3MC concomitant tratment. While TAM alone treatment showed slight increase in uterine wieght, inhibited uterine growth simulated by DES when it was adiministrated with DES condirect binding assay with $[^3H]$ estradiol and the relative binding affinities of 3MC and TAM were estimated by competetion assy. Estradiol tumed out to have high affinity for rat uterine estrogen receptor (kd = 0.4 nM). The relative binding affinities of TAM and 3MC were 1% and 4.7% that of DES for rat uterine estrogen receptor, respectively. 3MC was shown to have similar affinity for eat uterine estrogen receptor to that of TAM. Effects of DES 3MC and TAM administration in vivo on rat uterine estrogen recptor level were exam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rogen, DES and antiestrogen, TAM decreased estrogen receptor levels from rat ulterus and also 3MC decreased rat uterine estrogen receptor level when rats were treated with DES, TAM and 3MC in vivo. Data indicates that 3MC acts as an antiestrogen mediated through estrogen receptor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