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ucic acid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마요네즈 제조시 품질특성에 미치는 저에루신산 유채유 혼합의 영향 (The Effect of Low Erucic Acid Rapeseed Oil for the Preparation of Mayonnaise on Quality Characteristics)

  • 김재욱;손양도;홍기주;유무영;정계환;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8-302
    • /
    • 1995
  • 본 연구는 상업적인 마요네즈 제조시의 원료유로서 저에루신산 유채유의 사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유인 대두유에 저에루신산 유채유를 일정한 비율로 섞은 혼합유 및 이들 혼합유를 사용한 마요네즈를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식물유 자체의 산화안정성을 랜시매트법에 의한 유도기간으로 비교한 결과 유채유가 대두유보다 길었으며, 대두유와 유채유를 혼합하였을 때는 유채유의 비율이 높을수록 유도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식물유를 사용한 마요네즈의 냉동분리 안정성, 풍미, 산화안정성 등의 품질 특성에 대한 시험 결과, 저에루신산 유채유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대두유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두유에 저에루신산 유채유를 $40{\sim}80%$ 혼합한 식물유를 사용한 마요네즈는 대두유만을 사용한 마요네즈에 비해 저온분리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하여 더 바람직한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시판 튀김식품의 지질함량과 지방산 조정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Various Deep-Fat Fried Foods)

  • 주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2-166
    • /
    • 1991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5종류 20가지 튀김식품을 구입하여 이들 튀김 식품에 함유되고 있는 지질의 함량과 그 조성을 알아보고저 하였따. 조사한 식품의 종류는 도오너츠, 야채튀김, 핫도구, 닭 튀김 그리고 프렌치 프라이였다. 모든 튀김 식품군의 총지질 함량은 평균 20%를 상호하였고 도오너츠중 하나는 55.2%로서 모든 시료중에서 가장 높은 지질함량을 나타내었다. 극성지질함량은 평균적으로 총지질 함량 중 거의 40%였으며 높은 극성지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각 식품에서 추출된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모든 식품군에서 공통적으로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ole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의 순서인 것이 특징이었다. 그 외 미량이나마 myristic acid를 위시하여 arachidic, eicosenoic, erucic acid 등으로 조성되어 있었다.

  • PDF

유색미와 향미 품종의 지방질함량 및 지방질의 조성 (Contents of Total Lipids and Their Composition in Colored and Aromatic Rices Cultivars)

  • 이종철;김영회;김창영;변종영;신철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2-197
    • /
    • 1999
  • 유색미인 흑진주벼 등 5종, 일반미인 동진벼, 향미인 향남벼을 대상으로 이들 품종의 현미 중에 함유된 지방질의 함량과 지방질의 조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1. 총지방질 함량은 건물기준으로 2.04 - 4.68%로 Tohoku 149호, 한산흑미, 상해향혈라 순으로 많았고 흑남벼, 향남벼와 동진벼에서는 비교적 적었으며 그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총지방질의 조성은 sterol ester & hydrocarbon,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diglyceride, free sterol 등 5종이 동정되었다. 그중 triglyceride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diglyceride 와 free sterol의 비율이 높았다. 일반미와 유색미 및 향미간에 비교했을때 triglyceride의 비율은 향미와 유색미가 일반미보다 낮은 반면 diglyceride의 비율은 향미와 유색미에서 일반미인 동진벼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3. 총지방질 중 지방산 조성은 모든 품종 다같이 linoleic acid, oleic acid 및 palmitic acid가 주된 지방산이었고 linolenic, stearic acid은 소량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erucic acid는 일반미인 동진벼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양적으로 많은 지방산을 품종별로 비교해 보면 oleic acid는 한산흑미가 41%로 가장 많았고, 그외 품종은 32-37% 범위이었다. 또한 linoleic adid 향남벼와 상해향혈라는 각각 37%그외 품종은 32 - 36%의 범위이었다.

  • PDF

Variation in Agronomic Trai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Seed Oil in Germplasm Collection of Brassica spp.

  • Ko, Ho-Cheol;Sung, Jung-Sook;Hur, On-Sook;Baek, Hyung-Jin;Lee, Myung-Chul;Luitel, Binod Prasad;Ryu, Kyoung-Yul;Rhee, Ju-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90-600
    • /
    • 2017
  • A total of 447 accessions consisting of seven Brassica spp.; Brassica carinata (34), B. juncea (199), B. rapa subsp. dichotoma (18), B. rapa. subsp. oleifera (14), B. rapa subsp. rapa (36), B. rapa subsp. trilocularis (56) and B. alba subsp. alba (90) were studied for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There was a wide variation for morphological traits,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among Brassica species. Seed number/silique and yield/plant were varied from 4.2 (B. alba) to 25.1 (B. rapa subsp. trilocularis) and from 170.7 g (B. rapa subsp. oleifera) to 351.9 g (B. juncea L. Czern.), respectively. Among Brassica species, B. rapa subsp. trilocularis exhibited the highest oil (29.2%), stearic (20.4%) and erucic acid (45.3%) content. B. carinata had the highest content of palmitic (5.2%), oleic (21.2%) and linolenic acid (11.1%). B. rapa subsp. dichotoma and B. rapa subsp. oleifera exhibited the highest content of linoleic (8.1%) and behenic (26.9%) acid, respectively. B. rapa subsp. trilocularis exhibited the highest (45.3%) erucic acid content a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This variation of agronomic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Brassica species can be utilized to develop new varieties.

광주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참기름의 진위판별 및 안전성 조사 (A Survey on Adulteration and Safety of Sesame oil Circulated in Gwangju)

  • 양용식;김종필;서계원;조배식;강경리;김은선;박종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2-217
    • /
    • 2008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adulteration of sesame oil circulated in Gwangju, 2007. A total of 60 samples was tested by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se samples, 22 were from large-scale manufacturer, 25 were from small-scale manufacturer and 13 from Bangagan. First of all, in goods manufactured by large-scale company, there are no sesame oils where linolenic acid($C_{18:3}$) exceed regulatory guidance(0.5%). 5 samples from small-scale manufacturer contained linolenic acid from 0.90% to 8.38%, which means that they have other cooking oil, such as com oil, soybean oil and rape seed oil. Among Bangagan goods, only one sample have 1.20% of linolenic acid. On the other hand erucic acid($C_{22:1}$) was not detected in 60 samples at all, which means that they were not adulterated with rape seed oil. And among 6 samples of exceeding 0.5% of linolenic acid and 12 samples from Bangagan, 13 of them had benzo(a)pyrene from $0.2{\mu}g/kg\;to\;0.7{\mu}g/kg$ and the other 5 samples did not.

Use of Near-Infrared Spectroscopy for Estimating Fatty Acid Composition in Intact Seeds of Rapeseed

  • Kim, Kwan-Su;Park, Si-Hyung;Choung, Myoung-Gun;Jang, Young-Seok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3-18
    • /
    • 2007
  • Near-infrared spectroscopy(NIRS) was used as a rapid and nondestructive method to determine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intact seed samples of rapeseed(Brassica napus L.). A total of 349 samples(about 2 g of intact seeds) were scanned in the reflectance mode of a scanning monochromator, and the reference values for fatty acid composition were measured by gas-liquid chromatography. Calibration equations for individual fatty acids were developed using the regression method of modified partial least-squares with internal cross validation(n=249). The equations had low SECV(standard errors of cross-validation), and high $R^2$(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calibration) values(>0.8) except for palmitic and eicosenoic acid. Prediction of an external validation set(n=100)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ference values and NIRS estimated values based on the SEP(standard error of prediction), $r^2$(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prediction), and the ratio of standard deviation(SD) of reference data to SEP.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had relatively higher values(> 3.0 and 0.9, respectively) of SD/SEP(C) and $r^2$ for oleic, linoleic, and erucic acid, characterizing those equations as having good quantitative in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NIRS could be used to rapidly determine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seeds in the breeding programs for high quality rapeseed oil.

  • PDF

한국산 종자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Domestic Seed Lipids)

  • 윤태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0
    • /
    • 1990
  • The seeds of 16 domestic plants were studied for their moisture, total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16 seeds, chestnut, corn, mungbean and ginko nut yielded less than 9% by weight of total lipids compared to others that gave 20-73%. The identified fatty acids from the seed lipids ranged from lauric acid (12:0) to lignoceric acid(24:0). It was intended in this study to classify the seed lipids according to their major fatty acids: Group t-Oleic acid; Group 2-0leic acid and linoleic acid; Group 3-linoleic acid; Group 4-linolenic acid ; Group 5-erucic acid ; Group 6-ricinoleic acid.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mungbean (33%) was the highest among the seed lipids studied. The highest value for the P/S fatty acid ratio(10) was in perilla.

참기름의 특이 성분 함량과 순도 결정에 관한 연구(제2보) (Studies on the Contents of Special Components and Estimation of Purity of Sesame Oil II)

  • 노일협;임미애
    • 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9-176
    • /
    • 1983
  • The verification of genuine sesame oil can be examined by determination of the ratio of fatty acid. Fatty acids were extracted from the saponifiable substance of sesame oils. Fatty acids were methylated with the 14% boron trifluoride methanol solution and injected into a gas chromatograph with Unisole 3000 column and finally determined the molecular weight by mass spectrometry. The fatty acids in laboratory prepared sesame oils were composed mainly of oleic acid 36.7-42.8% and linoleic acid 39.0-46.6%, including palmitic acid 7.9-9.l%, stearic acid 4.1-5.6%, linoleic acid 0.1-3.0%, arachidic acid 0.5-1.0% and eicosenoic acid 0.1-0.5%. The above results allow the estimation of genuine sesame oil, mixed with rape seed oil, soybean oil, perilla oil, etc. In 53 samples, 14 samples were estimated as genuine and it was found that erucic acid was contained in 31 samples, linoeic acid was highly contained in 14, high quantity of linolenic acid was in 7 and palmitic and oleic acid were highly involved in 3.

  • PDF

유채 지방산조성 개량육종에 관한 연구 제21보 지방산조성 개량품종 보급지역에서의 유질과 금후대책 (Breeding for Improve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XXI. Oil Quality of Fatty Acid Improved Varieties in Cheju Area and Future Production Strategy)

  • 이정일;정동희;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5-170
    • /
    • 1994
  • 유채 지방산조성개량 및 무독박 성분개량육종의 성과로 13년전부터 무에루진산 양질품종을 장여보급한 제주도산 유채가 에루진산 함량이 높아 식용유로의 이용이 어렵게 됨에 따라 '92년산 정부수매유채종자와 '93년산 유채의 포장등숙중 시료의 에루진산 함량을 분석, 그 원인을 추적확인함과 동시에 금후의 유채 연구방향을 재정립하고자 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제주도 '92년산 정부수매유채는 에루진산 평균 함량에서 전체평균 47.7% 함유되어 있어 유채 유의 국제품질규격의 에루진산 함량 3∼5% 보다 10배나 높으므로 식용유로는 부적한 것으로 판단되었음. 2. 제주도 '93년산 유채의 농가포장 등숙중 시료를 채취, 분석한 결과 포장에 따라 에루진산이 최저 25%로부터 48.5%까지 평균 37% 함유하고 있어 제주도의 농가포장에서는 무에루진산 장여품종이 재배되지 않음이 확인되었음. 3. 제주도에는 중국산 유채와 캐나다산 제유용 유채종실원료가 도입되어 있는바 중국산은 46.6%의 고함유 에루진산 원료였고 캐나다산은 50%인 것과 4% 에루진산을 함유한 원료가 도입되어 있었음. 4. '92 정부수매유채가 '93 포장농가유채보다 에루진산 함량이 훨씬 높고 고함량 에루진산의 외국산유채 도입이 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값싼 외국산 고에루진산 도입유채가 농가수매유채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5. 제주도산 유채는 품질로나 경영적인 면에서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없고 무에루진산 성분개량 품종의 수용에 무관심하므로 현재의 제주도 대상 유채육종은 중단하고 남부지역의 구조개선 2모작답을 대상으로 한 대형기계화 유채재배 적응품종육성으로 방향을 전환함이 바람직하다.tters of western interests, but "health".gs. Notable economic benefit has been achieved.d. 평가를 하고자 하며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간의 상호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았다. 6. 강남콩 전체가루 (13%, db)의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는 시료 모두 최고 점도를 보이지 않았고 가열중 점도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시료 A가 가장 높은 점도를 보였고 시료 B와 C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첨가하여 제조한 마요네즈는 색을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에서 표준 마요네즈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5%의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마요네즈는 표준 마요네즈와 비교했을 때 다소 강한 기름냄새와 기름맛, 난황이 첨가되지 않아 색에 대한 기호도의 저하 등 관능적인 면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sim}30$명 편성, 현장 학습으로 수업 진행, 수업 시 이론과 실습의 3:1 비율 운영, 절대 평가에 의한 합격여부 판정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교사의 현장 요구를 적극 수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연수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수 기관이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즉, 어느 연수 기관에서 연수를 받았느냐에 따라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p<.05). 즉 교과교육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운영하였던 기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현직 교사들의 요구가 많았던 교과교육에 대한 교과 개설이 확대된 표준화된 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 PDF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Anti Nutritional Factors and Nutritional Value of Canola Meal for Broiler Chickens

  • Gharaghani, Hossein;Zaghari, Mojtaba;Shahhosseini, Gholamreza;Moravej, Hosse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0호
    • /
    • pp.1479-1485
    • /
    • 2008
  • Two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processing of canola meal on performance parameters of broiler chicks (Ross 308) and protein quality of canola meal.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and net protein ratio (NPR) were measured as indices of canola meal protein quality. Samples of canola meal were tested for nutritional value after being irradiated at dose levels 10, 20 and 30 kGy. Glucosinolate content was reduced 40, 70 and 89 percent at irradiation dose levels of 10, 20 and 30 kGy respectively (p<0.01). Percent of erucic acid in total fatty acid content increased 44, 58 and 48% as a function of radiation dose (p<0.01). Dose levels did not affect feed conversion ratio (FCR) and body weight gain of chicks (p>0.05). Liver weight was decreased by irradiation dose (p<0.05). The same trend was observed for kidney weights, but this trend was not significant (p>0.05). Gamma irradiation processing of canola mea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_3$ level in blood of chickens that consumed canola meal, but $T_4$ level of chicken blood at the 30 kGy dos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PER and NPR were not affected by radiation dose level (p>0.05). Gamma irradiation seems to be a good procedure to improve the nutritional quality of canola me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