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ror correcting code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2초

REPEATED LOW-DENSITY BURST ERROR DETECTING CODES

  • Dass, Bal Kishan;Verma, Rashmi
    • 대한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75-486
    • /
    • 2011
  • The paper deals with repeated low-density burst error detecting codes with a specied weight or less. Linear codes capable of detecting such errors have been studied. Further codes capable of correcting and simultaneously detecting such errors have also been dealt with. The paper obtains lower and upper bounds on the number of parity-check digits required for such codes. An example of such a code has also been provided.

다수논리 결정자를 이용한 리드뮬러코드의 시스템 설계 (Design of an Encoding-Decoding System using Majority-Logic Decodable Circuits of Reed-Muller Code)

  • 김영곤;강창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09-217
    • /
    • 1985
  • 본 논문은 리드-뮬러 코드의 인코더 및 디코더의 설계에 관하여 체계화 시켰으며, 이러한 코드는 [J/2]개 이하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리드-뮬러 코드의 해석을 이용하여, (15, 11) 리드-뮬러 코드에 대하여 순환 성질을 이용하여 인코더를 설계하고, 다수 논리 결정자 방법에 의해 디코더를 설계하였다. 또, 이러한 코드에 대해 Weight 분포 및 Performance를 구하였다. 마이크로 컴퓨터의 CPU와 Memory를 이용하기 위해 8255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인코더 및 디코더를 설계, 제작하여 직접 인터페이스 시켜 실험을 하였다. 실험한 결과 한개의 에러를 완벽히 정정하였고, 한개의 정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70u sec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5, 11), (15, 5) 리드-뮬러 코드는 채널 에러가 $10^{-6}$~$10^{-4}$ 인 곳에 적합함을 보였다.

  • PDF

상태천이 이중검색방식의 이동통신용 Viterbi 디코더 설계 (A Design of Viterbi Decoder by State Transition Double Detec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 김용노;이상곤;정은택;류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12-720
    • /
    • 1994
  • 디지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길쌈부호는 최적 에러정정기법이라 생각된다. 최근 디지털 이동 통신의 부호정정을 위하여 Viterbi 알고리즘은 길쌈부호의 부호화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된다. Viterbi 디코더의 하드웨어 설계를 위하 많은 방법들이 대부분 부호기의 부호율 R=1/2 또는 2/3인 메모리 소자수가 적고 부호 구속장이 짧은 것으로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연 메모리 기억소자인 m=6의 부호율 R=1/2 K=1/2, K=7(171,133) 길쌈부호기를 위한 설계방식을 고려하였다. Viterbi 알고리즘에 상태천이 이중검색 방식을 이용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회로설계는 랜덤 2비트 에러 정정 복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Viterbi 디코더는 1비트와 2비트 에러신호에 대하여 정확하게 정정하였다.

  • PDF

효율적인 에러 정정을 위한 콘케티네이티드 코팅 시스템 (Concatenated Coding System for an Effective Error Correction)

  • 강법주;강창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09-316
    • /
    • 1986
  • A concatenated coding system using a binary code as the inner code and a nonbinary code as the outer code has been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error correction. The complexity of a conventional coding system grows exponentially as the code length of a block code becomes longer. To reduce the complexity for ling code, an effectiv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by cascading two codes-binary and norbinary codes. Using a parallel-to-serial circuit and a serial-to-parallel circuit, the concatenated coding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constructed by empolying a (7,3) burst error correcting code as the inner code and a (7,3) Reed-Solomon code as the outer code. This system has been simulated and tested using a micro-computer. For the (49,9) concatenated coding system, the error probability of the channel has been evaluated and compared to different coding systems.

  • PDF

오류 정정 부호가 결합된 채널 최적 양자화기를 이용한 DCT 영상 전송 방식의 설계 (On the Design of a DCT Transmission Method using Channel Optimized Quantizer Combined with Error Correcting Codes)

  • 김종락;박준성;김태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626-1634
    • /
    • 1993
  • 이 논문에서는 채널 오류에 강한 영상 전송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정보원 부호와 오류 정정 부호(error correcting code : ECC )를 결합시키는 부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정보원과 채널을 동시에 고려하는 부호화기법중의 하나는 채널 최적 양자화기(channel optimized quantizer :COQ)인데 이것은 양자화에 의한 잡음과 채널 비트 오류에 의한 잡음을 동시에 최소화시킨다. 이 논문은 COQ와 ECC를 결합하여 개선된 전송 시스템을 설계하는 문제를 다룬다. 특히 n비트의 COQ와 (n-1)/n의 길쌈 부호가 결합된 n-1 비트의 COQ의 성능을 계산하여, 이 결과로부터 할당 비트수와 채널 비트 오류율에 따라 ECC를 선택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 결과를 DCT를 이용한 영상 전송 시스템에 적용하고 그 성능을 계산한다.

  • PDF

ADAPTIVE CHANGE OF CODE RATE IN DS-SSMA COMMUNICATION SYSTEMS

  • Youngkwon-Ryu;Jinsoo-Bae;Iickho-Song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5년도 학술대회
    • /
    • pp.59-61
    • /
    • 1995
  • An adaptive code rate change scheme in DS-SSMA systems is proposed. In the proposed scheme, the error correcting code r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the effective number of users. The channel state is estimated based on retransmission requests. The criterion for the change of the code rate is to maximize the throughput under given error bound.

주파수 영역에서 2중부호화 R-S부호의 부호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coding Method of the R-S Code for Double-Encoding System in the Frequency Domain)

  • 전경일;김남욱;김용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16-226
    • /
    • 1989
  • 本 論文에서는 誤謬訂正符號로 사용하는 2重符號의 復號方式을 기술하였다. 2중부호화 방식은 두 종류의 同符號 또는 단순한 부호를 사용하여 構成한다. 이 부호는 정정능력이 높고 복호방식이 간단하다. 本 論文에서는 $C_1$(32, 28, 5), $C_2$(32, 26, 7) Reed-Solomon부호를 2중부호화시켜 주파수 영역에서 오류정정 과정을 컴퓨터로 模寫하였다. 復號 알고리즘을 주파수 영역에서 실현하는 과정에서 제안된 방법이 최근 개발되고 있는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PDF

소프트 값을 이용한 해밍 부호의 개선된 복호 방식 (An Improved Decoding Scheme of Hamming Codes using Soft Values)

  • 정호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7-4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부호 길이 내에서 1개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해밍 부호(Hamming code)에 대해 2 개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신드롬 복호 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복호 기법은 복호 복잡도를 거의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다중 오류를 정정함으로서 복호 복잡도 대비 오율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복호 기법은 IoT 기기들 간의 통신이나 분자 통신과 같이 부/복호기에서 에너지의 사용이 극히 제한된 환경에서 부 복호기의 에너지 사용이 적으면서도 우수한 오율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복호 기법이 적용된 해밍 부호의 오율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보이기 위해 BPSK 변조 방식과 AWGN 채널 환경에서 부호 길이가 짧은 다수의 해밍 부호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수행 결과 해밍 부호의 부호 길이에 무관하게 제안한 복호 방식은 기존 복호 방식에 비해 약 1.1[dB] ~ 1.2[dB] 정도의 성능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서 딥 러닝 기반 오류제어 (Deep Learning Based Error Control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 선영규;황유민;심이삭;김진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50-15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대해 소개하고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제어 신호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딥 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어 신호의 오류 발견과 정정은 기존의 오류정정부호 기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으나 딥 러닝 기반의 오류정정부호 기법을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오류를 발견하고 정정한다. 그래서 딥 러닝 기반의 오류정정부호 기법에 대해 소개하며 이 기법을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비트 오류율로 성능을 확인하여 딥 러닝 기반의 오류정정부호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효율적인지를 판단한다.

반도체 메모리의 테스트를 위한 MTA(Memory TestAble code)코드 (MTA(Memory TestAble) Code for Testing in Semiconductor Memories)

  • 이중호;조상복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1A권8호
    • /
    • pp.111-121
    • /
    • 1994
  • This paper proposes a memory testable code called MTA(Memory TestAble) code which is based on error correcting code technique for testing functional faults in semiconductor memo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ode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codes. The developed decoding technique for this code can reduce the decoder circuits up to 70% and obtain two-times faster decoding speed than other codes such as hamming code or Hsiao code. The MTA code is eccectively applicable to parallel testing of semiconductor memories because it has the same information length and parity length. It can detect from single error functional faults to triple error in semiconductor memo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