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adication rate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43초

웅성불임기술을 이용한 쇠파리 구제에 관한 연구 1) 쇠파리의 인공대량사육에 관하여 (Study on Stable Fly Eradication by :Sterile-Male Technique. 1) Mass Rearing of the Stable Fly. Stemoxys calcitrans L.)

  • 정규회;유준;김용래;권신한;박정덕;강태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6
    • /
    • 1973
  • 1) 쇠파리의 누대 실내사육을 위한 온도는 약 $26^{\circ}C$가 좋으며, 이때 유충기간은 약 6.8일, 용기간은 5.3일, 산란전기간은 10.4일, 성충의 수명은 약 30일이었다. 2) 인공사육에 있어서 용화율은 $80.7\%$ 우화율은 $84.3\%$였으며 성비는 1 : 1이었다. 3) 용의 체중량은 약 14.5mg이었으며, Wheat bran medium 보다 Standard medium이 사육성적이 좋았다. 4) medium 125gr에 대한 난의 접종수는 약 310개가 가장 적합하였다. 5) rectangular cage를 사용할 경우, 성충의 resting place는 $2inch^2/adult$가 적합할 것으로 본다.

  • PDF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대한 치료결과 및 재발률 (Therapeutic Outcome and Recurrence Rat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 최원준;김제우;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권1호
    • /
    • pp.37-44
    • /
    • 1998
  • 목 적: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치료요법은 성인의 경우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한 H. pylori 치료결과에 대한 연구보고는 미미하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의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치료결과 및 재발률을 조사하고, 아울러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복통 또는 상부위장관 출혈을 주소로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와 Warthin-Starry 은염색, CLO검사 결과 H. pylori 감염증으로 진단된 환아 120례 중 치료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7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아는 남아가 39례, 여아가 36례였으며, 평균연령은 $11.4{\pm}2.5$세였다. 대상환아들은 초기약제로 DA($Denol^{(R)}$과 amoxycillin), OA(omeprazole과 amoxycillin) 또는 DC($Denol^{(R)}$과 clarithromycin) 등 세가지 요법중 한가지를 투여하였고, 제균에 실패한 환아에 대해서는 DAM($Denol^{(R)}$과 amoxycillin, metronidazole), DC, OA, OC(omeprazole과 clarithromycin) 중 한가지를 2~4주간 투여하였으며, 치료종결 4주 후 H. pylori 제균 여부를 진단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대상환아의 상부위장관질환은 만성 결절성위염 46례, 위궤양 9례, 십이지장궤양 6례, 표재성위염 6례 및 정상 8례 등이었다. DA는 69례에서 투여되어 이중 63례(91%)에서 H. pylori가 제균되었고, DAM은 DA에 실패한 2례중 1례, DC는 초기 치료한 4례중 3례(75%)와 DA에 실패한 2례중 1례(50%)에서, OA는 초기치료한 2례에서, OC는 DA에 실패한 1례에서 모두 제균되였다. 치료 후 H. pylori 제균에 실패한 환아는 7례(DA 6례, DC 1례) 였으며, 이중 3례는 2차 치료(DAM, DA 및 DC 각 각 1례)로 제균되었고, 나머지 4례(DAM 2차요법 1례, 추적 불능 3례)에서는 제균되지 않았다. 치료 후 H. pylori가 제균되었으나 수 개월이 지나 재발된 환아는 4례(5.3%)로 치료 종결 후 3개월에서 3년 사이에 재발되었다. 재발된 4례중 2례는 2차 요법(OC, DA 각각 1례)으로 제균되었고, 나머지 2례(DC 2차요법 1례, 추적불능 1례)에서는 제균되지 않았다. 결 론: bismuth subcitrate와 amoxycillin의 두약제 요법은 H. pylori의 제균율이 91%로 높고 재발률도 5.3%로 낮으며, 또한 경제적이기 때문에 소아의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초기 치료제로 선택되어 질 수 있는 유용한 치료방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소아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상부 위장관 내시경 소견 및 치료 효과 (Gastroduodenoscopic Findings and Effect of Therap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 이경신;박재옥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1호
    • /
    • pp.12-20
    • /
    • 2005
  • 목 적: 급성 및 만성 복통 혹은 상부 위장관 출혈로 병원에 와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술을 시행하여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환아의 내시경적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 H. pylori 박멸 치료를 위해 사용한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의 삼제 병합 요법을 1주 및 2주 투여군으로 나누어 그 제균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H. pylori 감염의 진단은 상부위장관 내시경술(GIF-XQ240, Olympus, Tokyo, Japan)을 시행하여 위전정부와 위체부에서 2개씩의 조직을 얻어 CLO (Delta West, Bentley, Australia)검사와 조직학적 검사를 하여 양성이면 H. pylori에 감염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요소 분해 효소 검사는 실온 상태에서 CLO 키트에 생검 조직을 넣고 24시간까지 관찰하여 색이 노란색에서 적색으로 변하면 양성, 조직학적 검사는 Hematoxylin & Eosin 염색 표본을 시행 후 내시경 검사 결과를 모르는 한 명의 병리의가 현미경상 위 점막 조직에서 균이 관찰되면 양성으로 판정하였으며 이 중 하나 이상에서 양성인 경우 H. pylori 양성으로 진단하였다.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환아들을 치료기간에 따라 두 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제I군은 omeprazole (1 mg/kg/day, 최대 20 mg, bid), amoxicillin (50 mg/kg/day, 최대 1g, bid), clarithromycin (15 mg/kg/day, 최대 500 mg, bid)의 삼제 병합요법으로 1주간, 제II군은 같은 약제로 2주간 치료하였다. 치료 종료 4주 후에 4시간 이상 금식 후에 100 mg $^{13}C$-요소분말을 사용한 $^{13}C$-요소 호기 검사(IR300, OTSUKA electronics, Osaka, Japan)를 시행하여 음성인 경우 박멸이 성공한 것으로 하였고 요소 호기 검사에서 양성인 경우에는 같은 약제 또는 bismuth, metronidazole과 amoxicillin으로 추가 치료를 하였다. 결 과: H. pylori 양성 환아의 내시경 소견은 결절성 위염이 26명(43.3%)으로 가장 많았고 미란성 위염 10명(16.7%), 출혈성 위염 7명(11.7%), 위궤양 2명(3.3%), 정상 소견 15명(25.0%)이었다.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OAC) 삼제요법으로 1주간 치료한 제I군에서 치료 종료 4주 후 시행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30명 중 26명(86.7%)에서 음성 반응을, 4명(13.7%)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2주간 치료한 제II군에서도 치료 종료 4주 후 시행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30명 중 26명(86.7%)에서 음성 반응을, 4명(13.7%)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H. pylori 박멸률은 86.7%였으며 두 군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 pylori 제균에 실패한 경우 제 I군에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4명의 환아를 bismuth, amoxicillin, metronidazole로 1주간 추가 치료를 하였고 4주 후 시행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모두 음성 반응을 보였다. 제II군에서 $^{13}C$-요소 호기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4명의 환아 중 1명은 같은 약제로, 3명은 bismuth, amoxicillin, metronidazole로 1주간 추가 치료를 하였고 4주 후 시행한 $^{13}C$-요소호기 검사에서 모두 음성 반응을 보였다. $^{13}C$-요소호기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인 모든 환아에서 임상 증상은 완전히 소실되거나 호전되었다. 결 론: 소아에서 급성 및 만성 복통, 위장관 출혈과 H. pylori 감염간의 연관관계에 대하여는 논 란이 많으나 H. pylori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균 박멸을 위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들의 연구에서 상부 위장관 증세를 가진 H. pylori 감염 환아에 대한 내시경 소견은 결절성 위염이 43.3%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이것은 다른 연구들에서와 마차가지로 H. pylori 양성 환아들의 특징적인 소견으로 생각된다. 소아 H. pylori 감염의 치료에 있어서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의 삼제 병합 요법의 1주간 치료와 2주간 치료 결과를 비교한 결과, 박멸률은 두 군 모두 86.7%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이것은 성인에서의 85~95%와 유사하였다.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의 1주 치료가 박멸율, 순응도 및 비용면에서 일차 치료로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향후 H. pylori 감염의 적절한 치료 방법 및 치료 기간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위에서 전암병변의 분류와 임상적 의의 (Classification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Precancerous Lesions in the Stomach)

  • 김경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2호
    • /
    • pp.46-50
    • /
    • 2009
  • 암종화 과정 중 침윤성 암종의 발생에 선행하는, 형태학적으로 인지되는 병변이 전암병변이다. 그러나 전암병변의 임상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전암병변에 대한 목록이나 분류에 대한 노력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다. 2001년 미국암연구소 주최 전암병변의 분류에 대한 모임에서는 전암 병변이나 비침윤성 병변에 대한 통일된 전문용어가 없음을 결론짓고 모든 주요 장기에서 전암병변의 용어와 진단 기준에 대한 협약을 할 것을 권고하였다. 이 모임에서 결정된 바에 의하면 모든 전암병변이 종양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종양으로서의 특성이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암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미만성의 증식성 병변도 전암병변으로 분류하였다. 본 종설은 이러한 전암병변의 정의 및 분류 체계에 맞추어 인체의 주요 장기인 위에서의 전암병변을 분류하고 그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재건된 새 인두의 이차암에 대한 증례 보고서 (Second primary cancer in reconstructed neopharynx: a case report)

  • 강가람;한혜민;김현정;백승국;정광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9-93
    • /
    • 2017
  • Background. Ever since the first report of deltopectoral flap in pharyngo-esophageal reconstruction in 1965, various methods of flap reconstruction have been introduced, allowing surgical eradication of tumors that were once thought to be inoperable. Despite these advancement, many literatures emphasize distant metastasis and second primary malignanci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low 5-year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Specific consensus about defining second primary cancer is still debatable, due to small number of reports regarding second primary tumors arising in flaps used for reconstruction of defects in the head and neck region. Case. We report a case of a 72-year-old male patient who, under the diagnosis of hypopharyngeal cancer, underwent total laryngectomy with partial pharyngectomy, extended right radical neck dissection with extended left lateral neck dissection, right hemithyroidectomy and radial forearm free flap reconstruction on June 16, 2003. After 37 cycles of radiation therapy, the patient exhibited no sign of recurrence. The patient revisited our department on June 14, 2016 with chief complaint of dysphagia that started two months before the visit. Radiologic studies and histology revealed squamous cell carcinoma in neopharynx, one that had been reconstructed with forearm free flap. Conclusion. Until now, only a handful of reports regarding patients with second primary cancer in reconstructed flaps have been described. Despite its rarity, diagnostic criteria for second primary cancer should always kept in consideration for patients with recurred tumor.

기스트와 말토마의 보험의학적 악성도 판단 (Medical review of Insurance claims for GIST and MALToma)

  • 이신형
    • 보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8-74
    • /
    • 2008
  • Medical verification of cancer diagnosis in insurance claims is a very important procedure in insurance administrations. Claims staffs are in need of medical experts' opinions about claim administration. This procedure is called medical claim review (MCR) and is composed of verification and advice. MCR verification evaluates the insured’s physical condition by medical records and compares it with product coverage. It is divided into assessment of living assurance benefit, verification of cancer, and assessment of the cause of death. Actually cancer verification of MCR is applicable to coding because the risk ratio in product development is usually coded data. There are some confusing neoplastic diseases in assessing the verification of cancer. This article reviews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 and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umors (MALToma) of the stomach. The second most common group of stromal or mesenchymal neoplasms affecti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GIST. Nowadays there are many articles about the pathophysiology of GIST. However there are few confirmative theories except molecular cell biology of KIT mutation and some tyrosine kinase. Therefore, coding the GIST, which has previously been classified as an intermediate risk group according to NIH2001 criteria, for cancer verification of MCR is suitable for D37.1;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r of digestive organs and the stomach.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the predominant site of extranodal non-Hodgkin's lymphomas. B-cell lymphomas of the MALT type, now called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ALT type in the REAL/WHO classification, are the most common primary gastric lymphomas worldwide.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stomach cancers such as gastric adenocarcinoma. Second, the primary therapy of MALToma is the eradication of H. pylori by antibiotics and the remission rate is over 80%. Third, it has a different clinical course compared to traditional malignant lymphoma. Someone insisted that cancer verification is not possible for the above reasons. However, there have been findings on pathologic mechanism, and according to WHO classification, MALToma is classified into malignant B-cell lymphoma and it must be verified as malignancy in MCR.

  • PDF

A successful experience of soil-transmitted helminth control in the Republic of Korea

  • Hong Sung-Tae;Chai Jong-Yil;Choi Min-Ho;Huh Sun;Rim Han-Jong;Lee Soon-Hy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177-185
    • /
    • 2006
  • Soil-transmitted helminths (STH), namely Ascaris, Trichuris and hookworms (Ancylostoma and Necator), present a global health problem to about a half of the earth's popul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STH were highly prevalent and were considered a high priority target for national control. To promote the control,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amed Korea Association for Parasite Eradication (currently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was founded in 1964, and mass fecal examination followed by selective mass chemotherapy with anthelmintics was performed twice a year from 1969 to 1995 targeting whole nationwide schoolchildren. Meanwhile, decreasing patterns of national STH infections have been monitored by 7 times' quinquennial national surveys targeting general population. In 1971, the overall intestinal helminth egg positive rate was 84.3% (Ascaris 58.2%, Trichuris 65.4%, and hookworms 10.7%), which became 63.2% in 1976, 41.1% in 1981, 12.9% in 1986, 3.8% in 1992, 2.4% in 1997, and 4.3% (Ascaris 0.03%, Trichuris 0.02%, and hookworms 0%) in 2004. During the control period, national economy rapidly developed, and living standards including environment, sanitation, and agricultural technology greatly improved, which undoubtedly boosted the STH control effects. Our experience indicates that social driving force to establish an eligible national control system to conduct repeated mass chemotherapy, together with improvement of environment and sanitation, is important for initiating and achieving STH control in a developing community.

Xenomonitoring of Different Filarial Nematodes Using Single and Multiplex PCR in Mosquitoes from Assiut Governorate, Egypt

  • Dyab, Ahmed Kamal;Galal, Lamia Ahmed;Mahmoud, Abeer El-Sayed;Mokhtar, Yasser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77-83
    • /
    • 2015
  • Wuchereria bancrofti, Dirofilaria immitis, and Dirofilaria repens are filarial nematodes transmitted by mosquitoes belonging to Culex, Aedes, and Anopheles genera. Screening by vector dissection is a tiresome technique. We aimed to screen filarial parasites in their vectors by single and multiplex PCR and evaluate the usefulness of multiplex PCR as a rapid xenomonitoring and simultaneous differentiation tool, in area where 3 filarial parasites are coexisting. Female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7 localities in Assiut Governorate, were microscopically identified and divided into pools according to their species and collection site. Detection of W. bancrofti, D. immitis, and D. repens using single PCR was reached followed by multiplex PCR. Usefulness of multiplex PCR was evaluated by testing mosquito pools to know which genera and species are used by filarial parasites as a vector. An overall estimated rate of infection (ERI) in mosquitoes was 0.6%; the highest was Culex spp. (0.47%). W. bancrofti, D. immitis, and D. repens could be simultaneously and differentially detected in infected vectors by using multiplex PCR. Out of 100 mosquito pools, 8 were positive for W. bancrofti (ERI of 0.33%) and 3 pools each were positive for D. immitis and D. repens (ERI 0.12%). The technique showed 100% sensitivity and 98% specificity. El-Nikhila, El-Matiaa villages, and Sahel Seleem district in Assiut Governorate, Egypt are still endemic foci for filarial parasites. Multiplex PCR offers a reliable procedure for molecular xenomonitoring of filariasis within their respective vectors in endemic area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evaluation of mosquito infection after lymphatic filariasis eradication programs.

Does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Reduce Gastric Precancerous Lesions?

  • Mansour-Ghanaei, Fariborz;Joukar, Farahnaz;Mojtahedi, Kourosh;Sokhanvar, Homayoon;Askari, Kourosh;Shafaeizadeh, Ahm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4호
    • /
    • pp.1571-1574
    • /
    • 2015
  • Background: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decreases the prevalence of gastric cancer, and may inhibit gastric precancerous lesions progression into gastric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eatment on subsequent gastric precancerous lesion develop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prospectively studied 27 patients who had low grade dysplasia at the time of enrollment, in addition to dysplasia atrophic gastritis and intestinal metaplasia observed in all patients. All were prescribed quadruple therapy to treat H. Pylori infection for 10 days. Patients underwent endoscopy with biopsy at enrollment and then at follow up two years later. Biopsy samples included five biopsies from the antrum of lesser curvature, antrum of greater curvature, angularis, body of stomach and fundus. Results of these biopsi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Overall, the successful eradication rate after two years was 15/27 (55.6%). After antibiotic therap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low grade dysplasia decreased significantly (p=0.03), also with reduction of the atrophic lesions (p=0.01), but not metaplasia. Conclusions: Treatment of H. pylori likely is an effective therapy in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subsequent gastric premalignant lesions.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유해 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가정의 유해 세균 및 집먼지진드기 제거를 중심으로- (Ozone and UV Light-mediated Sanitization of Hazardous Environments -Eradication of Pathogens and Ticks -)

  • 조동연;정상원
    • 대한위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위생학회 2004년도 심포지움
    • /
    • pp.8-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여러 유해 환경 중에서도 세균과 바이러스 그리고 집먼지진드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오존과 자외선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있다.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첫째, 가정과 유사한 실험 공간에서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멸균 실험을 통해 실제 가정의 유해 세균이 수 십분 이내에 $99.0\%$ 제거되는 조건을 확인하였다. 둘째,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하여 바이러스가 거되는 조건을 확인하였다. 셋째, 집먼지진드기가 제거되는 조건을 확인하였다 오존만을 적용한 조건과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적용한 조건으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를 통해 집먼지진드기는 오존과 자외선의 동시 노출 조건에서 사멸 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오존만을 이용한 조건만으로 집먼지진드기가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