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valent ellips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호우사상의 공간규모 정량화를 위한 등가타원의 적용 (Application of Equivalent Ellipses for the Qualification of the Spatial Scale of Rainfall Event)

  • 김하영;박창열;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4호
    • /
    • pp.327-3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등가타원을 이용하여 호우사상의 공간분포를 정량화 하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주어진 호우사상의 등가 타원을 매 시간별 한계강우강도에 따라 추정하고, 이 등가타원의 개수와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계강우강도 별로 평균 등가타원을 결정하고, 이 평균 등가타원이 주어진 호우사상을 대표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평균 등가타원의 장축과 단축, 그리고 회전각에 대한 신뢰구간을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한계강우강도가 커짐에 따라 등가타원의 개수와 크기는 감소하고 등가타원이 나타나는 시간도 늦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등가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비는 2 : 1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계강우강도별로 추정된 등가타원의 평균 회전각은 모든 등가타원의평균 회전각과 통계학적으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집수형상디스크립터와 지체시간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 of catchment shape descriptors to lag time)

  • 김주철;윤여진;김재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9-203
    • /
    • 2005
  • 지체시간은 중요한 수문학적 응답특성 중의 하나로서, 유역의 형태적 특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유역의 형상은 집수평면에 대한 각종 형상디스크립터를 통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집수평면에 대한 새로운 형상지수로서 Moussa(2003)에 의하여 제안된 등가타원의 기하학적 특성을 지체시간 해석에 적용하였다. 강우-유출 관측자료의 지체시간은 Nash(1960)의 적률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우리나라의 3개 유역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유역의 형태적 특성과 지체시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류지역으로부터 하류지역까지 등가타원의 형상이 변환되어 가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등가타원을 기반으로 한 신집수형상디스크립터 a+b 및 $a+b+{\epsilon}OM$와 지체시간 사이에는 비교적 양호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등가타원의 형상은 하류방향을 따라 인의 형태로 접근해 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규칙한 평면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밀집도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 PDF

LAG TIME RELATIONS TO CATCHMENT SHAPE DESCRIPTORS AND HYDROLOGICAL RESPONSE

  • Kim, Joo-Cheol;Kim, Jae-Han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91-99
    • /
    • 2005
  •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estimating a flood runoff from streams is the lag time. It is well known that the lag time is affected by the morphometric properties of basin which can be expressed by catchment shape descriptors. In this paper, the notion of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an equivalent ellipse proposed by Moussa(2003) was applied for calculating the lag time of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GIUH) at a basin outlet. The lag time was obtained from the observed data of rainfall and runoff by using the method of moments and the procedure based on geomorphology was used for GIUH.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asin morphometric properties and the hydrological response were discussed based on application to 3 catchments in Korea. Additionally, the shapes of equivalent ellipse were examined how they are transformed from upstream area to downstream one.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g time and descriptors was shown to be close, and the shape of ellipse was presented to approach a circle along the river downwards. These results may be expanded to the estimation of hydrological response of ungauged catchment.

  • PDF

Nash 모형의 지체시간을 이용한 GIUH 유도 (The derivation of GIUH by means of the lag time of Nash model)

  • 김주철;윤여진;김재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0호
    • /
    • pp.801-810
    • /
    • 2005
  • 자연 하천으로부터 홍수유출을 추정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들 중의 하나는 지체시간이다. 지체 시간은 집수형상디스크립터로 표현될 수 있는 유역의 형태적 특성의 영향아래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ussa(2003)에 의하여 제안된 등가타원의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개념을 유역 출구에 대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GIUH)의 지체시간 산정에 적용한다. 강우-유출 관측 자료에 대한 지체시간은 Nash(1957)가 제안한 적률법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GIUH 유도에는 지형학에 기초한 절차가 적용된다. 국내 3개 유역에 대한 적용사례를 통하여, 유역의 형태적 특성과 수문학적 응답사이의 관계를 고찰한다. 또한 상류지역으로부터 하류지역까지 등가타원 형상의 변화양상이 시험된다. 그 결과, 수문학적 응답특성과 디스크립터 사이에는 비교적 우수한 관계가 존재함이 확인되었고 타원의 형상은 하류방향을 따라 원의 형태로 접근해 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미계측 유역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의자 다리와 스트레쳐를 중심으로 한 형상 최적화 설계 (Optimal Shape Design of Legs and Stretcher Parts of Chair)

  • 이영민;정훈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5회(2016년)
    • /
    • pp.256-261
    • /
    • 2016
  • In this paper, Shape optimal design for a chair with 4 legs and 2 stretchers consisting of stainless steel was conducted. The shape was transformed by identifying stress and deformation for the part of leg and stretcher. In addition, load condition and mesh was designed using Hypermesh. The stress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CSD_Elast that is one of EDISON program. In seat test,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showed at the contact part between seat and legs. As a result, a leg cross-section with rectangular and arch was designed. And optimal height of stretcher was found to reduce a deformation. Also, maximum deformation was reduced by designing a stretcher with ellipse cross-section. So, Optimal chair having 4 legs with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2 stretchers with ellipse cross section was shown to satisfy the safety ratio.

  • PDF

SOME EQUIVALENT CONDITIONS FOR CONIC SECTIONS

  • Kim, Dong-Soo;Seo, Soojeong;Beom, Woo-In;Yang, Deukju;Kang, Juyeon;Jeong, Jieun;Song, Booseo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19권4호
    • /
    • pp.315-325
    • /
    • 2012
  • Let A and B denote a point, a line or a circle, respectively. For a positive constant $a$, we examine the locus $C_{AB}$($a$) of points P whose distances from A and B are, respectively, in a constant ratio $a$. As a result, we establish some equivalent conditions for conic sections. As a byproduct, we give an easy way to plot points of conic sections exactly by a compass and a straightedge.

신집수형상디스크립터와 Nash 모형의 지체시간 사이의 상관성 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New Catchment Shape Descriptor and The Lag Time of Nash Model)

  • 김주철;정관수;김재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2호
    • /
    • pp.1065-1074
    • /
    • 2004
  • 본 연구는 Moussa(2003)에 의하여 개발된 등가타원을 기반으로 한 신집수형상디스크립터에 대한 소개 및 수문학적 적용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두 디스크립터 a+b, a+b+${\varepsilon}OM$과 지체시간 사이의 상관성 분석이 수행되었고 이를 Nash 모형 매개변수들의 대표치 산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강 수계의 평창강 유역, 금강 수계의 보청천 유역 그리고 낙동강 수계의 위천 유역들에 각각 이 디스크립터특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두 디스크립터는 양자 모두 고전적 지형인자들에 비하여 지체시간과 높은 상관성을 보여 Moussa(2003)가 제시한 연구 결과를 국내 유역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 적용강의 간편성을 위하여 전자가 추천된다. 또한 본 연구로부터 유도된 대표순간단위도들은 일관성 있는 유역응답특성을 보여 신집수형상디스크립터의 수문학적 적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앞으로 보다 많은 유역들에 대한 사례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역 프라이자흐 모델에 의한 투자율과 부하각을 이용한 히스테리시스 전동기의 동적 특성 해석 연구 (A Study of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for Hysteresis Motor Using Permeability and Load Angle by Inverse Preisach Model)

  • 김형섭;한지훈;최동진;홍선기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8권2호
    • /
    • pp.262-268
    • /
    • 2019
  • Previous dynamic models of hysteresis motor use an extended induction machine equivalent circuit or somewhat different equivalent circuit with conventional one, which makes unsatisfiable results. In this paper, the hysteresis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rotor are analyzed using the inverse Preisach model and the hysteresis motor equivalent circuit considering eddy current effect. The hysteresis loop for the rotor ring is analyzed under full-load voltage source static state. The calculated hysteresis loop is then approximated to an ellipse for simplicity of dynamic computation. The permeability and delay angle of the elliptic loop apply to the dynamic analysis mode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analyze the hysteresis motor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and the rotor material. With this method, the motor speed, generated torque, load angle, rotor current as well as synchronous entry time, hunting effect can be calculated.

집수평면의 신장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Catchment Plan-Form Elongation)

  • 김주철;이상진;노준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집수평면의 신장도와 밀집도 그리고 등가타원에 대한 개념을 이론적인 고려와 함께 실제 유역에 적용하여 보았다. GIS를 기반으로 산정된 대상유역들에 대한 집수평면과 등가타원을 상류로부터 하류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변화 양상을 관찰해 본 결과 현재 논의되고 있는 Hack의 법칙에 대한 두 가설이 무작위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유역 형상들에 대한 모집단처럼 보여졌다. 또한 집수평면의 최대 및 최소관성적률의 비 $R_i$가 유로연장과 집수평면에 대한 등적원(等積圓)의 직경 사이의 비 E보다 유역형상의 신장도를 보다 민감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수평면에 대한 밀집도는 정의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형상의 정량화가 갖는 난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2개 이상의 밀집도들에 대한 복합적 고려를 통한 평가나 프랙탈 이론의 적용 등이 앞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도시철도 환승역의 환승보행시설의 서비스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 Facility in Transfer Stations at Urban Railroad)

  • 장성용;한성엽;김시곤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39-348
    • /
    • 2010
  •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을 통해 현 교통체계의 효율성, 통합성 및 연계성을 향상 시키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어느 정도가 편리한 연계환승인지, 또 얼마나 이용자가 많아야 시설물의 용량이 초과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우리나라 인체 표준을 반영하여 인체타원 및 점유면적을 재산정하고 PME와 PWE를 개발하여 이를 토대로 도시철도 환승시설의 서비스수준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매표소와 자동발매기 이용자의 서비스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대기행렬이론을 반영하여 서비스 수준을 결정하는 평가모델을 제시하였고, 환승보행시설간의 중요도를 AHP분석을 통해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실제 도시철도 5개역에 대한 현행 환승보행시설의 서비스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비교, 평가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