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valent control

검색결과 2,148건 처리시간 0.035초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의 특성 (The Properties of a Nonlinear Direct Spectrum Method for Estimating the Seismic Performance)

  • 강병두;김재웅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65-73
    • /
    • 2002
  • 성능에 기초한 설계법에서는 비선형 응답산정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비선형시각이력해석법, 비선형 정적해석법, 비선형 효과를 고려한 등가선형해석법 등이 있다. 일부 규준에서는 pushover곡선으로부터 작성한 성능스펙트럼과 선형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작성한 요구스펙트럼으로 이루어진 능력스펙트럼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개념적으로는 간단하나 반복과정이 요구되며, 부정확한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시행착오적인 등가선형 스펙트럼대신 비선형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비선형 요구스펙트럼은 표준적 선형 설계스펙트럼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등가선형의 경우보다는 계산과정이 대폭 줄어들기는 하나 아직도 다소의 연산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자유도계의 구조물에 대한 pushover곡선으로부터 구조물의 진동주기와 항복강도를 구한 다음, 일련의 계산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직접적으로 비선형 최대응답을 구할 수 있는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NDSM)을 제시하극 집중질량계의 MDF(다자유도계) 모델에 대해 다양한 지진기록과 제하강성저하지수를 변수로 하여 NDSM의 적용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다자유도계 구조물에 대한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에 의한 최대변위 응답은 비선형 시각이력해석법에 의한 응답과 거의 일치하므로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2)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과 비선형 시각이력해석에 의해 산정된 죄상층 변위 결과를 비교하면, 항복후강성계수가 0.1, MAD(modal adaptive distribution)에 의한 수평정적하중분폰 그리고 제하강성저하지수가 0.2~O.3일 때 평균오차가 가장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및 김치 보충제 섭취가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imchi Supplementation and/or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Plasma Lipids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 백영호;곽정록;김세종;한성섭;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06-912
    • /
    • 2001
  • 유산소성 운동과 김치보충제 섭취가 비만 여중생의 신체 조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운동군은 HRmax 60~85%운동강도의 조깅, 줄넘기운동을 매회 60분, 주 4회 실시하고, 김치 보충제 섭취군은 500 mg 의 김치 분말이 들어 있는 김치 보충제 6알 총 3g (김치약 30g)을 총 6주간 섬취하게 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여중생은 총 38명으로 운동군(EG) 8명, 김치 보충제 군(KG)12명, 그리고 운동과 김치 보충제 섭취를 병행한 군(EKG) 8명의 비만여중생 28명, 그리고 정상체중을 지닌 대조군(CG) 10명이었다. 운동 또는 김치 보충제를 6주간 섭취한 EKG, EG 그리고 KG는 CG 그룹에 비해 신체 조성 및 혈중 지질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체중, BMI 체지방 및 체지방율의 감소 정도는 EKG, EG 그리고 KG 순이었으며, 비만도를 낮추는 효과는 EKG, KG 그리고 EG순으로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감소는 EKG, KG 그리고 EG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지질 감소는 EKG, EG, 그리고 KG 순이었고, HDL-콜레스테롤 농는 EKG와 EG 그룸이 KG와 C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혈중 중서이방 농도를 포함하여 체지방 조성과 관련 있는 요인들은 운동이 김치 보충제 섭취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운동보다는 김치 보충제 섭취가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비만 여중생의 비만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이 두 방법을 단독으로 실시한 결과보다는 두용법을 병행한 즉, 김치 보충제를 섭취하면서 운동을 병행한 군의 효고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여중생의 비만을 치료하는데 있어 운동 이외에 김치를 많이 섭취하는 식이요법을 병행하명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노령기 흰쥐에서 제초제 저항성 쌀의 급여에 대한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Safety for the Supplement of Herbicide-resistant Rice in Old Male Rats)

  • 이성현;박홍주;조소영;전혜경;박용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10-814
    • /
    • 2004
  •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된 유전자 변형 식품의 영양적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발이 우리의 주식인 점을 고려하여 우선 안전성 이 검토되어야 할 시험 재료로 선정하였고, 유전자 변형(제초제 저항성) 쌀의 실질적 동등성 구명을 위해 일반 및 미량 영양소의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대표적 취약 계층인 노령기 모델에서 유전자 변형 쌀을 가지고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 마커가 현미 에 있을 수 있고 열처리시 변화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유전자 변형 품종의 현미 및 현미밥과 모종인 일품의 현미 및 현미밥으로 배합한 실험식이를 8주간 급여하였다. 그 결과 시험재료의 영양성분 함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실험식이를 급여하였을 때 모든 실험 동물에서 임상적 증상, 조직의 외형이나 무게 및 혈청 생화학적 지표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 사용된 유전자 변형 품종(제초제 저항성 )의 현미와 현미밥 모두 노령기 실험동물에 어떠한 부정적 영향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전자 변형식품의 안전성에 대해 종 더 보완된 in uiuo 실험법의 확립과 장기간의 급여에 따른 영향검토가 필요하고, 본 연구의 시험재료는 단지 제초제 저항성 품종의 현미에 대한 것으로 다른 유전자 변형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확인 실험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농작물(農作物)에 대(對)한 납(pb)의 흡수(吸收)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석회(石灰)와 인산물질시용(燐酸物質施用)이 토양중(土壤中) 납(pb) 용출량(溶出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Uptake by Crops of Lead and Reduction of it's Damage -II. Effect of application of calcium and phosphate materials on Pb Solubility in Soil)

  • 김규식;김복영;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7-221
    • /
    • 1986
  • 토양중(土壤中)에서 납(Pb)의 용출경감효과(溶出輕減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토양(土壤)에 납을 $PbCl_2$로 310.8ppm 처리(處理)하고 경감제(輕減劑)로서 소석회(消石灰), 석고(石膏), 과석(過石), 인산(燐酸)을 처리(處理)하여 담수후(湛水後) 실온(室溫)에 보관(保管)하면서 납 용출량(溶出量) 및 Ca, $PO_4$, $SO_4$와 pH, Eh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납 용출량(溶出量)은 경감제시용량(輕減劑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되었으며 $H_3PO_4$ 및 과석(過石)이 용출억제효과(溶出抑制效果)가 좋았다. 2. 토양(土壤)의 pH는 소석회(消石灰)가 높고 인산구(燐酸區)가 낮으며 토양(土壤)의 Eh는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이었다. 3. 토양중(土壤中)의 수용성(水溶性) Ca, $PO_4$$SO_4$ 함량(含量)은 경감제(輕減劑)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되었다. 4.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가용성(可溶性) 납함량(含量)은 과석(過石), 인산(燐酸), 소석회(消石灰), 석고(石膏), 대조(對照)의 순(順)으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 PDF

하수오니 처리 석회질 토양에서의 Cd, Cu 및 Zn 의 수송 특성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Cd, Cu and Zn in a Sewage Sludge-Treated Calcareous Soil)

  • 이상모;조재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2-420
    • /
    • 1999
  • 하수오니 처리 석회질 토양에서의 Cd, Cu 및 Zn의 수송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수오니 무처리 토양, 하수오니 50과 100 ton $ha^{-1}$ 처리 토양 및 하수 오니를 대상으로 용출현상 (elution development)과 혼성치환 (miscible displacement) 기술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수오니 50과 100 ton $ha^{-1}$처리 토양의 Cd, Cu 및 Zn 의 용출곡선 (elution curve)과 출현곡선 (breakthrough curve)은 하수오니 무처리 토양의 Cd, Cu 및 Zn의 용출곡선 및 출현곡선과 거의 비슷하였다. Cd, Cu, 및 Zn 10 mg을 처리한 Cd, Cu 및 Zn의 용출곡선은 Cd, Cu 및 Zn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의 용출곡선과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Cd, Cu 및 Zn의 50 mg을 처리한 용출곡선과는 크게 달랐다. Cd, Cu 및 Zn 혼합용액 500과 $1000mg\;L^{-1}$을 이용한 Cd, Cu 및 Zn의 출현곡선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Cd, Cu 및 Zn 혼합용액 $100mg\;L^{-1}$을 이용한 출현곡선과는 크게 달랐다. 실험에 사용한 석회질 토양에서 하수오니 50과 100 ton $ha^{-1}$ 처리량은 Cd, Cu 및 Zn의 수송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Cd와 Zn의 수송특성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Cu의 수송특성은 Cd 과 Zn의 수송 특성과는 크게 달랐다.

  • PDF

암모니아 휘산에 의한 요소비료의 손실에 미치는 요인 (Factors Controlling the Losses of Urea through Ammonia Volatilization)

  • 김수정;양재의;조병욱;김정제;신용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7-82
    • /
    • 2007
  • 질소비료로부터 암모니아의 휘산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토양에서 일어나는 질소 손실의 주된 기작이다. 암모니아 휘산은 다양한 토양과 환경의 조건 및 비료관리 방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질소비료 의존도가 높은 채소들도 휘산된 암모니아 가스에 의해 피해를 받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토에 시용된 요소비료로부터 암모니아 휘산량을 측정하였고, 이에 미치는 요소비료 시용량, 관개시기, 및 온도 등의 비료관리요인들의 영향을 조사했다. 암모니아 휘산은 요소를 시용한 뒤 약 3일 후에 시작되었으며, 약 2주 후에 최대에 도달하였다. 17일 후, 휘산된 암모니아태 질소의 양은 200, 400, $600kg\;N\;ha^{-1}$ 의 시용량에서 각각 3.0, 4.4, 그리고 8.0 kg 이었다. 이들 휘산량은 시용된 질소가 15.0, 10.9, 및 13.0% 가 손실된 것과 상응한다. 온도가 5, 8, 22, $28^{\circ}C$ 일때 휘산된 질소의 양은 각각 5, 21, 75, $87kg\;N\;ha^{-1}$ 이였다. 요소비료를 시용한 뒤 0, 5, 10 mm의 물을 관개한 경우, 휘산된 질소의 양은 각각 21.3, 21.2, $16.6kg\;N\;ha^{-1}$ 이었다. 한편, 요소를 시용한 후 5 mm를 관수한 경우의 질소 휘산량은 $10.44kg\;N\;ha^{-1}$ 로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요소비료를 권장량을 표토와 혼합, 온도가 낮을 때 그리고 요소비료를 시용후 즉시 관개하는 방안이 암모니아 휘산에 의한 질소 손실을 최소화 하는 비료관리 방안이었다.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s)

  • 이준호;손석민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76-381
    • /
    • 2011
  • 꾸지뽕잎 분말의 첨가량을 0-20%로 달리하여 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꾸지뽕잎 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크의 비체적, 높이 및 수분함량은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케이크의 외관상 특성인 부피지수 및 대칭지수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5). 밝기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꾸지뽕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계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 < 0.05), 반면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5% 대체군에서 최소값을 나타내고 이 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 < 0.05). 케이크의 경도는 꾸지뽕잎 분말 첨가량에 따라 0.11-0.66 kgf로 단계별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0.05).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0-15% 첨가군 사이에 단계별로 유의적인 차이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 > 0.05) 이후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대조군, 5% 및 10% 첨가군 간 맛과 향미의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p > 0.05), 전체적인 기호도 또한 대조군과 5%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아(p > 0.05), 관능품질을 저해하지 않고 꾸지뽕잎 분말의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5% 첨가군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Artemisia argyi flavonoids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function in broilers challenged with lipopolysaccharide

  • Yang, Shuo;Zhang, Jing;Jiang, Yang;Xu, Yuan Qing;Jin, Xiao;Yan, Su Mei;Shi, Bin Li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7호
    • /
    • pp.1169-1180
    • /
    • 2021
  • Objective: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effects of Artemisia argyi flavonoids (AAF) supplemented in diet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function of broiler chickens challeng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Methods: A total of one hundred and ninety-two 1-d-old broiler chicks were assigned into 4 treatment groups, which were, respectively, fed a basal diet (control), fed a diet with 750 mg/kg AAF, fed a basal diet, and challenged with LPS, fed a diet with 750 mg/kg AAF, and challenged with LPS. Each treatment had six pens with 8 chicks per pen. On days 14, 16, 18, 20 (stress phase I) and 28, 30, 32, 34 (stress phase II), broilers were injected with LPS (500 ㎍/kg body weight) or an equivalent amount of saline.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dietary AAF significantly improved the body weight (d 21) and alleviated the decrease of average daily gain in broilers challenged with LPS on d 21 and d 35 (p<0.05). Dietary AAF increased bursa fabricius index, and dramatically attenuated the elevation of spleen index caused by LPS on d 35 (p<0.05). Furthermore, serum interleukin-6 (IL-6) concentration decreased with AAF supplementation on d 21 (p<0.05). Diet treatment and LPS challenge exhibi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for the concentration of IL-1β (d 21) and IL-6 (d 35) in serum (p<0.05). Additionally, AAF supplementation mitigated the increase of IL-1β, IL-6 in liver and spleen induced by LPS on d 21 and 35 (p<0.05). This study also showed that AAF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IL-1β (d 21) and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kappa-B p65 (d 21 and 35) in liver (p<0.05), and dietary AAF and LPS treatment exhibited significant interaction for the gene expression of IL-6 (d 21), toll like receptor 4 (d 35) and myeloid differentiation factor 88 (d 35) in spleen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AAF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natural immunomodulator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and alleviate immune stress in broilers challenged with LPS.

차광처리가 제비붓꽃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ris laevigata Fisch. by Shading Treatment)

  • 조승주;김동학;정은주;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3-213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북방계 식물 제비붓꽃의 현지외 보전에 필요한 생육 적정 광조건을 제시하기 위하여 차광처리에 따른 제비붓꽃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전천광을 수광하는 대조구와 서로 다른 차광처리구(50%, 75%, 95%)를 설치하고 엽면적당 건중량, 엽록소 함량과 형광 반응, 광합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비붓꽃은 차광수준이 강해질수록 낮은 광도에 적응하기 위하여 광합성 효율이 높아진 잎이 형성되었다.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였고, 엽면적이 증가하면서 엽면적당 건중량은 감소하였다. 차광처리에 의해 엽록소 형광 반응 Fv/Fm과 NPQ는 변화하지 않았고, 탄소고정계의 활성 또한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제비붓꽃은 양지식물에 해당하는 광포화점을 나타냈고, 75% 차광수준까지 광합성 능력을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제비붓꽃의 순양자수율은 95% 차광처리에서 현저히 감소하여 낮은 광조건에 적응한 상태를 보였다. 제비붓꽃은 전천광 대비 95% 차광수준에서 생육할 시 광합성 능력이 저하하는 것으로 보이며, 차광 상태를 지속하여 광을 제한할수록 생육이 불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Muscle Fiber, Connective Tissu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from Low Birth Weight Pigs as Affected by Diet-Induced Increased Fat Absorption and Preferential Muscle Marbling

  • Bimol C. Roy;Patience Coleman;Meghan Markowsky;Kun Wang;Yongbo She;Caroline Richard;Spencer D. Proctor;Heather L. Bruc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1-73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birth weight differences in piglets affected carcass and muscle fiber properties as well as meat quality at slaughter. Within litters, pigle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birth weight as either normal (NBW; 1.62-1.73 kg) or low (LBW; 1.18-1.29 kg). At 5 weeks of age, NBW piglets were randomly transitioned to control (C) or isocaloric high fat diets derived from non-dairy (HF), while LBW piglets were randomly transitioned to high fat diets derived from non-dairy (HF) or dairy sources (HFHD). Piglets were reared in individual pens under standardized housing and feeding conditions. Live weight was recorded weekly, and pigs were slaughtered at 12 weeks of age. Hot carcass weights, dressing percentages, lean meat yield, and primal cut proportions were determined. The m. longissimus thoracis was collect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carcass for measurement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d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Results indicated that LBW pigs compensated for their live weight compared to NBW pigs at 6 weeks of age. The mean muscle fiber diameter of LBW-HFHD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BW-C and NBW-HF group, and the type I muscle fiber diameter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BW-C group. Dairy fat inclusion in LBW pig diet reduced carcass back fat thickness. This increased the calculated lean meat yield to be comparable to that of NBW pigs fed a commercial diet. Incorporating dairy-sourced high-fat into LBW pigs' diets appears to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producing carcasses equivalent to NBW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