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ural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산 망둥어 과 어류의 척주와 담기골에 관한 연구 (Study of Vertebral Column and Pterygiophores in Gobiidae (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 Lee, yong-J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1호
    • /
    • pp.25-34
    • /
    • 1993
  • 1984년 4월부터 1992년 10월가지 국내에서 채집된 망둑어과 어류 4아과 26속 45종의 총 348개체를 대상으로 제1등지느러미 담기골의 배열식, 척추골수, 상미축골수 및 제 1혈관극 전방의 뒷지느러미 담기골수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제1등지느러미 담기골의 배열식과 상미축골수는 속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었으며, 척추골수와 제1혈관극 전방의 뒷지느러미 담기골수는 종에 따라 고유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이중 이전에 망둑어 과의 아과를 구분하는 특징으로 사용되어진 상미축골수는 망둑어 아과의 분류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 PDF

한국산 꺽저기(Coreoperca kawamebari) 자치어의 골격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in Aucha Perch Coreoperca kawamebari (Perciformes: Centropomidae) in Korea)

  • 한경호;박준택;이성훈;진동수;박재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0-177
    • /
    • 2018
  • Samples were obtained from broodstork in May, 1998, while naturally fertilized embryos were maintained and the process of skeletal development was observed from larvae and juveniles. Prelarvae immediately after hatching showed an average total length of $5.38{\pm}0.41mm$ (n=10), premaxillary and dentary were ossified, parasphenoid was ossified in the cranium, and centrum and caudal bone did not ossify. Prelarvae showed ossification with maxillary, articular and epihyal and branchiostegal rays of hyoid arch were ossified at 5 days after hatching with an average total length of $6.40{\pm}0.39mm$ (n=10). The vertebrae began to ossify in the direction of the tail, and neural spine began to ossify above the ossified vertebra. Postlarvae showed ossification of lateral ethmoid, parietal, and caudal skeleton in the cranium when the average total length was $7.30{\pm}0.12mm$ (n=10) in 8 days after hatching. At 22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ossified maxillary in the cranium, and ossified endopterygoid and ectopterygoid, etc. in the palate, when the average length of $11.1{\pm}1.27mm$ (n=10). At 32 days after hatching, with the average length was $12.8{\pm}1.97mm$ (n=10), caudal skeleton had one additional epural bone ossification, resulting in ossification of a total of 3 epural bone to complete ossification of all spicules.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of Trident Goby, Tridentiger obscurus

  • Hwang, Seon-Yeong;Park, Jae-Min;Lee, Sung-Hun;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3호
    • /
    • pp.205-212
    • /
    • 2018
  •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larval skeleton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trident goby, Tridentiger obscurus belonging to the larvae and juveniles and use it as the basic data of the taxonomic study. 8 days after hatching, the parasphenoid was ossified with an average total length of 3.62 mm, and basioccipital began to ossify. Caudal vertebrae and neural spine ossified in vertebra. 17 days after hatching, the average total length of the long hairs was 4.32 mm, pterotic and epiotic were ossified, and interhyal and subopercle were ossified. 52 days after hatching, the average total length of the juvenile was 18.2 mm, and lateral ethmoid, hypohyal ossified, vertebrae were parapophysis, and epural bone was osseous to the bone.

꺽지 (Coreoperca herzi) 자치어의 골격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in Coreoperca herzi (Perciformes: Centropomidae))

  • 한경호;박준택;진동수;유동재;박재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2-40
    • /
    • 2017
  • 2010년 5월 사육 중인 친어로부터 자연산란 된 수정란을 관리하던 중 부화된 자치어를 사육하면서 발육단계에 따른 골격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부화 직후의 전기자어는 평균전장 $6.85{\pm}0.63mm$(n=5)로 전상악골과 치골이 골화하였고, 두개골에는 부설골이 골화하였으며, 추체와 미골부는 골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부화 2~3일 후 평균전장 $7.25{\pm}0.28mm$(n=5)일 때 전기자어는 주상악골, 관절골이 골화하였고, 설궁부의 상설골과 새조골이 골화하였다. 척추골은 꼬리방향으로 골화하기 시작하였고, 골화된 척추골의 위쪽에는 신경극이 골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6일 후 평균전장 $9.00{\pm}1.53mm$(n=5)일 때 후기자어는 두개골에 측사골, 익설골, 노정골 등이 골화하였고, 미골은 미부봉상골이 상단부로 $45^{\circ}$ 휘면서 골화하였다. 부화 40일 후 평균전장 $23.3{\pm}0.28mm$(n=5)일 때 후기자어는 두개골에 중사골, 구개부에 내익상골, 외익상골 등이 골화하였다. 부화 120일 후 평균전장 $37.5{\pm}2.83mm$(n=5)일 때 치어는 미골은 1개의 상미축골이 추가로 골화되면서 총 3개의 상미축골이 골화하면서 모든 골편들의 골화가 완성되었다.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의 골격학적 연구 (A Osteology Study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formes; Cyprinidae), Korea)

  • 박종성;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3-262
    • /
    • 2012
  • 섬진강과 만경강에 서식하는 쉬리의 전골격계를 기재하고 도해하였다. 본 종은 신장된 안전골, 8개의 뒷지느러미 근담기골 수, 제1기새골의 호리병박 같은 모양, 인두치의 2가지 형태, 삽입골에 측돌기가 없고 제4늑골의 폭이 넓은 형태를 가지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사출골의 수와 내측돌기와 외측돌기의 길이는 개체마다 변이가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미골의 상미골에 모양이 두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었는데 오직 만경강 집단에서만 확인되었다.

한국산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자치어의 골격발달 (Early Oste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in the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from Korea)

  • 박재민;한지형;윤성민;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96-405
    • /
    • 2017
  • We observed the osteological development in larvae and juveniles of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bred in the laboratory in April 2014.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prelarvae, which were about 4.27 mm long, showed ossification of the premaxillary bones in the upper jaw and the dentary and articular bones in the lower jaw. At 7.11 mm, the larvae showed complete fusion of the post-cleithra and ossification of the scapulae with the appearance of one hole. At 8.65 mm, the larvae showed ossification of seven ribs from the third abdominal vertebra and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neural spine and hemal spine. The number of caudal fin rays increased to 19. At 11.9 mm, the juveniles showed ossification of three procurrent rays on the side of the parhypural bone as well as ossification of two procurrent rays on the side of the epural bone, indicating the complete ossification of all spicules.

한국산 문절망둑속 Acanthogobius 어류의 골학적 연구 (Osteological Study of the Genus Acanthogobius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 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0-62
    • /
    • 2001
  • 망둑어과에 속하는 문절망둑속 Acanthogobius 어류 4종의 골격형질을 두골, 척추골 및 지느러미 뼈로 구분하여 형태학적 주요 특징과 차이점을 기재하고, 두개골의 각 부위를 측정하여 종간에 그 비를 비교하였다. 후익상골, 새조골, 미설골, 견갑골 및 담기골의 특징에서는 4종 간에 차이점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누골의 경골화 정도와 제1기새골의 경골화된 새파수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A. f lavimanus는 중사골의 크기와 미추골의 수 및 측사골의 폭에서, A. lactipes는 기설골의 폭에서, A. luridus는 설이골의 폭에서 각각 독특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특히 A. elongata는 상 하 악골에 나 있는 이의 수, 상미축골의 형태, 두개골의 길이에서 동일 속 3종과 구별되었다.

  • PDF

One unusual species, Coilia sp. (Engraulidae, Pisces) from the Yellow Sea

  • Kwun, Hyuck-Joon;Kim, Yeong-Hye;Kim, Jong-Bin;Jeong, Choong-Hoon;Kim, Jin-Ko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2호
    • /
    • pp.137-145
    • /
    • 2010
  • Four specimens of unknown Coilia sp. were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Yellow Sea in 2008 and compared with Coilia mystus and Coilia nasus. Coilia sp. showed similar morphology to C. mystus and C. nasus, but differed in that its tail was considerably shorter.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in an effort to clarify the taxonomic position of Coilia sp. In counts and measurements, Coilia sp. were well distinguished from C. nasus by the number of scutes (42-44 in Coilia sp. vs. 40-45 in C. mystus vs. 45-55 in C. nasus), ratio of dorsal base length to head length (43.4-47.6 vs. 37.9-47.6 vs. 33.0-41.0), and eye length to head length (19.2-20.8 vs. 17.0-22.4 vs. 13.8-18.2). In caudal skeleton of Coilia sp., urostyle, hypural and epural bones were not observed; instead of them, caudal fin rays were supported by the last vertebra, neural and haemal spines' extension. The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414 base-pair 12S rRNA mitochondrial DNA sequences. The Kimura-2-parameter distance between Coilia sp. and C. mystus was 0.3%, but was 1.3% between Coilia sp. and C. nasus. Both the neighbor-joining tree and maximum-likelihood tree showed that Coilia sp. are closely clustered with C. mystus.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oilia sp. may be a deformed fish of C. mystus.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of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obesus

  • Seo, Won-Il;Park, Jae-Min;Lee, Sung-Hun;Yoon, Seong Min;Hwang, Seon-Yeong;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1호
    • /
    • pp.9-18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keletal development of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obesus larvae and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the taxonomic study of Liobagrus larvae. Skeletal development was observed by being divided into cranium, visceral skeleton, shoulder girdle bone, pelvic girdle bone and vertebra. On the first day after hatching, the pre-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7.92 mm, and a line-shaped parasphenoid ossified in the cranium. In the jaw bone, the dentary supporting the lower jaw and the maxillary supporting the upper jaw were ossified. In the anterior abdominal vertebrae of the vertebra, seven centrums began to ossify and five neural spines ossified simultaneously. On the 3 day after hatching, pre-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8.95 mm, and the prefrontal ossified in cranium. The number of abdominal vertebrae was increased to 14, and three parapophysis developed from the front side. On the 24th day after hatching, post-larvae had an average total length of 15.2 mm and the epural bone ossified in coccyx. The parhypural bone was ossified, and ossification of coccyx and pelvic girdle bone was completed. On the 30th day after hatching, the average total length of the juvenile was 17.8 mm, and the ossification of cranium and visceral skeleton was all completed while the preorbital and three suborbitals were ossified in the orbital region of the cranium.

참복과(복어목) 어류의 속별 척추골과 담기골 특징 (Generic Characters of Vertebrae and Pterygiophore of the Fishes of the Family Tetraodontidae (Teleostei: Tetraodontiformes))

  • 한경호;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45-653
    • /
    • 1998
  • 참복과 (Tetraodontidae) 어류의 형태와 골격 및 분류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1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우리나라 20개 지점에서 10속 27종의 표본을 채집하여, 척추골 및 담기골의 형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참복과 어류의 척추골수는 밀복속(Lagocephalus), 은띠복속 (Pleurancanthus), 불룩복속 (Spheoides), 꺼끌복 속(Arothron), 첼로복속(Chelonoeon) 및 청복속(Canthigaster)이 17$\~$19개이며, 수지복속(Ephippion), 별복속 (Boesemanichthys) 및 대치복속(Feroxodon)의 어류는 20개이고, 반면에 참복속(Takifugu) 어류는 19$\~$25개였다. 2. 참복과 어류의 척추골수는 17$\~$25개로, 밀복속의 밀복 (L. lunaris과 은띠복속의 은띠복 (P. sceleatus), 청복속 등이 17개로 최소치를, 참복속의 황복 (T. obscurus)이 24$\~$25개로 복어과 가운데 최대치를 보였다. 3. 밀복속의 척추골수는 밀복이 17개, 민밀복 (L. inermis)이 18개, 흑밀복 (L. gloveri), 은밀복 (L. wheeleri) 및 은민밀복 (L. larigatus)이 19개로 다른 속 어류들 보다 적은 수의 척추골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더 분화되어 있다. 4. 척추골 가운데 복추골의 신경극이 참복속의 졸복(T. pardalis)과 황복이 제$1\~5$번째 척추골의 신경극까지 쌍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다른 종과 속 어류들은 제1$\~$4 번째 척추골의 신경극이 쌍으로 되어 있다. 5. 밀복속과 은띠복속의 큰 특징은 등쪽과 배쪽 담기골에 뒷 돌기가 있으며, 상미축골 (epural)이 넓은 판 모양이고, 복추골의 혈관극에 돌기가 없는 점에서 다른 속과 쉽게 구별된다. 6. 은띠복속의 은띠복은 꼬리자루 부분이 날씬하고 측편되어 있어서, 미추골 뒷부분의 신경극과 혈관극이 다른 속 어류와 비교해 짧은 점에서 구별된다 7. 청복속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를 지지하는 제1 담기골이 다른 속에 비하여 매우 비대하여 큰 편이다. 또한 복추골의 뒷부분에 혈관극과 혈관궁이 둥글고 판판하게 잘 발달되어 참복과의 다른 속과 큰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