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ic Characters of Vertebrae and Pterygiophore of the Fishes of the Family Tetraodontidae (Teleostei: Tetraodontiformes)

참복과(복어목) 어류의 속별 척추골과 담기골 특징

  • HAN Kyeong-Ho (Department of Aquaculture, Yosu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 Uk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한경호 (여수대학교 양식학과) ;
  • 김용억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Published : 1998.09.01

Abstract

Twenty seven species of pufferfishes (family Tetraoaontidae) have been examined to find their generic characters based on vertebrae and pterygiophore characters of specimens collected in 20 localities along the coast of Korea from March, 1991 to March, 1994. It was divided by 3 groups based on vertebrae number as follow : the genera Lagocephalus, Pleurancanthus, Spheoides, Arothron, Chelonoeon and Canthigaster have 17$\~$19 vertebrae, genera Ephippion, Boesemanichthys and Feroxodon have 20 vertebrae, and genus Takifugu have 19$\~$25 vertebrae, The number of vertebrae ranged from 17 to 25 with the maximum of 25 in Takifugu obscurus. The modal number of vertebrae in Lagocephalus is 17 (L. lunaris), 18 (L. inermis), and 19 (L. gloveri, L. wheeleri, L. larigatus), with the lower number more specialized. Paired neural spines appear at number of the 1st$\~$5th vertebrae in Takifugu pardalis, Takifugu obscurus and at number of the 1 st$\~$4 th vertebrae in the other species and genera. All of the species of Lagocephalus and Pleurancanthus have dorsal and ventral pterygiophores processes, and flat-shaped epural, while none of the abdominal vertebrae processes complete haemal arches. The neural and haemal spines of the last few caudal vertebrae aye shorter in Pleurancanthus than in the other genera, associated with the depressed caudal peduncle. The genus Canthigaster is distinguished the first pterygiophores of the dorsal and ventral fins is always much larger than the others genera. Based on the haemal arches and spines of the abdominal vertebrae, genus Canthigaster has different characters from the other genera of the family Tetraodontidae.

참복과 (Tetraodontidae) 어류의 형태와 골격 및 분류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1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우리나라 20개 지점에서 10속 27종의 표본을 채집하여, 척추골 및 담기골의 형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참복과 어류의 척추골수는 밀복속(Lagocephalus), 은띠복속 (Pleurancanthus), 불룩복속 (Spheoides), 꺼끌복 속(Arothron), 첼로복속(Chelonoeon) 및 청복속(Canthigaster)이 17$\~$19개이며, 수지복속(Ephippion), 별복속 (Boesemanichthys) 및 대치복속(Feroxodon)의 어류는 20개이고, 반면에 참복속(Takifugu) 어류는 19$\~$25개였다. 2. 참복과 어류의 척추골수는 17$\~$25개로, 밀복속의 밀복 (L. lunaris과 은띠복속의 은띠복 (P. sceleatus), 청복속 등이 17개로 최소치를, 참복속의 황복 (T. obscurus)이 24$\~$25개로 복어과 가운데 최대치를 보였다. 3. 밀복속의 척추골수는 밀복이 17개, 민밀복 (L. inermis)이 18개, 흑밀복 (L. gloveri), 은밀복 (L. wheeleri) 및 은민밀복 (L. larigatus)이 19개로 다른 속 어류들 보다 적은 수의 척추골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더 분화되어 있다. 4. 척추골 가운데 복추골의 신경극이 참복속의 졸복(T. pardalis)과 황복이 제$1\~5$번째 척추골의 신경극까지 쌍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다른 종과 속 어류들은 제1$\~$4 번째 척추골의 신경극이 쌍으로 되어 있다. 5. 밀복속과 은띠복속의 큰 특징은 등쪽과 배쪽 담기골에 뒷 돌기가 있으며, 상미축골 (epural)이 넓은 판 모양이고, 복추골의 혈관극에 돌기가 없는 점에서 다른 속과 쉽게 구별된다. 6. 은띠복속의 은띠복은 꼬리자루 부분이 날씬하고 측편되어 있어서, 미추골 뒷부분의 신경극과 혈관극이 다른 속 어류와 비교해 짧은 점에서 구별된다 7. 청복속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를 지지하는 제1 담기골이 다른 속에 비하여 매우 비대하여 큰 편이다. 또한 복추골의 뒷부분에 혈관극과 혈관궁이 둥글고 판판하게 잘 발달되어 참복과의 다른 속과 큰 차이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