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graph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1초

FENCHEL DUALITY THEOREM IN MULTIOBJECTIVE PROGRAMMING PROBLEMS WITH SET FUNCTIONS

  • Liu, Sanming;Feng, Enmi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3권1_2호
    • /
    • pp.139-152
    • /
    • 2003
  • In this paper, we characterize a vector-valued convex set function by its epigraph. The concepts of a vector-valued set function and a vector-valued concave set function we given respectively. The definitions of the conjugate functions for a vector-valued convex set function and a vector-valued concave set function are introduced. Then a Fenchel duality theorem in multiobjective programming problem with set functions is derived.

훼손된 금석문 판독시스템 개발 - 해서체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the Recovery System of the Destroyed Epigraph - Focused on the Chinese standard script -)

  • 장선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2호
    • /
    • pp.80-93
    • /
    • 2017
  • 본 연구는 훼손된 금석문의 과학적 판독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자를 좌표화하였다. 좌표화한 글자의 부분에서 온전히 남은 부분과 훼손된 부분이 존재하는 다른 글자를 찾아 부분적인 훼손글자를 판독하는 방법이다. 부수의 위치에 따라 한자를 9칸으로 나누었으며 9칸에 해당하는 글자의 형태를 검색하여 해당글자를 찾아가는 방식이다. 이는 기존의 문맥을 통한 판독보다 과학적이며 판독글자 외에도 후보글자를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판독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만든다면 현재 사용되지 않는 고한자(古漢字; 과거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한자)를 판독하는 고문서나 금석문 판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행서나 초서 역시 같은 방법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면 금석문 판독 및 훼손글자 판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 금석학(金石學)의 성취에 대한 재평가 - 박선수(朴瑄壽)의 금석학을 중심으로 - (A Revaluation of the Korean Epigraphy's Achievement-Focused on Park Seon-su's Epigraphy)

  • 문준혜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361-384
    • /
    • 2018
  • 본고는 금석학의 관점에서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說文解字翼徵)"을 소개하고, 그것을 한국 금석학의 연구 성과에 포함시키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한국의 금석학은 19세기 초 추사 김정희(金正喜)에 의해 하나의 학문 분야로 발전되었다. 이 때문에 한국의 금석학은 대체로 김정희를 기점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시기를 구분한 뒤, 중요한 저작이나 연구자를 소개하는 형식으로 기술되었다. 기존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한국의 금석학은 금석문을 수집하고 한 데 묶어 편찬한 자료집 성격의 서적이 금석문을 해독하고 고증한 연구서 성격의 서적보다 많다는 특징이 있다. 또 저자의 국적에 관계없이 한국의 금석문을 수록한 책은 모두 한국 금석학의 범위에 포함시켰고, 종교적 이유로 편찬된 책도 금석문을 수록하고 있다면 금석학의 범위에서 제외하지 않았다. 이는 한국 금석학의 범위가 매우 넓게 설정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 후기에 금석학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던 박선수의 연구 성과가 누락된 것은 "설문해자익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은 금석문을 이용하여 "설문해자"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된 문자학 저작이다. 박선수는 금석문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이를 문자 연구에 활용하는 방법론을 개척했으며, 금석문을 분석하고 해독하는 등의 금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은 한국 금석학의 연구 성과에 포함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잘 알려지지 않은 연구자와 연구 성과를 발굴하여 한국 금석학의 성취에 대한 새로운 기술과 평가가 필요하다.

고려시대 금석문에 나타난 연호와 역일 기록 분석 (ANALYSIS OF REIGN STYLE AND CALENDAR DAY PRESENTED IN THE EPIGRAPHS OF THE GORYEO DYNASTY)

  • 이기원;안영숙;민병희
    • 천문학논총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16
  • We investigate the records related to the reign style and the calendar day from the epigraphs of the Goryeo dynasty (918 - 1392) in Korea in order to verify and supplement the sexagenary cycle data of the first day in the lunar month of the dynasty. The database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e Heritage contains a rubbed-copy image, transcription statement, and translation statement for Korean epigraphs as well as 775 epigraphs corresponding to the Goryeo dynasty. The epigraph records are valuable in that, during this time, they were written differently from other historical literature such as the Goryeosa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which was compiled in the next dynasty. We find that the Goryeo dynasty, in general, had adopted the reign styles of Chinese dynasties at that time. We also find 159 calendar day records all showing good agreement with the work of Ahn et al. except for dozens of records. Through this study, we can verify the reign styles and the calendar days of the Goryeo dynasty.

단면형상 분석을 이용한 요철이 심한 금석문(金石文) 판독 향상 방법 연구 (A Study on Readability Improvement Method for Ancient Inscription of Irregularity Surface using Cross Section Analysis)

  • 최원호;고선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1-259
    • /
    • 2014
  • Outdoor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damaged by natural weathering and air pollution for a long time.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characteristics it is hard to decipher some carved inscription on the surface of damaged outdoor cultural properties. Until now, Rubbed copy has been widely used to decode engraved inscription. A investigation for epigraph has been made by the rubbing that has resulted in a lower resolution from the viewpoints of extraction process and used materials. Rubbing's results are not satisfied in the damaged inscriptions which are weathered by natural environment and pollution for a long time and in the narrowed one. The main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is a cross section analysis method using 3d scanning technique for epigraph not read. Cross section analysis is a study on readability improvement method for ancient inscription of irregularity monument surface. Cross section analysis confirms information that separated the inscription information of monument and the ground information to read a ancient inscription and decode the inscription information. The proposed character identification method contributed to decoding an ancient inscription on Silla Monument in Jungseong-ri of Pohang.

<윤관 지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morial Stone of Yun Gwan)

  • 박문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5-84
    • /
    • 2004
  • 본고는 김연수에 의하여 찬술된 <윤관 지석>에 관한 금석학적 연구이다 지석의 재질은 오석이며, 크기는 세로 25.0cm, 가로 31.0cm, 두께 2.5이다. 지석문은 양면에 해서체로 음각되어 있으며, 주로 윤관의 전기가 기록되어 있다.

  • PDF

평탄화 분석방법을 이용한 금석문판독 향상 방법 (A Study on Improving Readability Using Flattening Analysis)

  • 최원호;고선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56-464
    • /
    • 2017
  • The epigraphy is a text on metal or a text on stone. The value of epigraphy can be used to identify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It is a good record to understand the past life and culture. But it is difficult to decode the character of the epigraphy which has been exposed to the outdoor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the proposed techniques are consisted of 3 parts: (1)The surface division into information area, non- information area, and undifferentiated area. And then, (2) The selection of points in the non-information area and finding a reference plane with the minimum error. (3) Flattening the point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plane and decoding characters on information area.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narrow the scope of a particular letter and to read the controversial letters on the Pohang Jungsoengri Silla Stone Monument(Korea's national treasure number 318).

<홍정명 지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ne Epitaph of Hong Jeong-Myeong)

  • 박문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5-154
    • /
    • 2004
  • This study is a physical and textual analysis on an epigraph, the Stone Epitaph of Hong Jeong-Myeong(홍정명 지석). This was edited by Lee Deuk-Sin and transcribed by Gang Se-Hwang. On the view of physical point the Stone Epitagh is made of black stone and its size is 27.8∼28.2cm high, 20.3∼20.7cm wide, and 2.0∼3.6cm thick. On the view of textual point, the text of Stone Epitaph is about the career of Hong Jeong-Myeong, and the printed style of writing is by depressed engraving on 8 black stone plane.

  • PDF

사진 탁본 기법을 이용한 금석문 판독 -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를 중심으로 - (Epigraph Reading by Photographic Reading Techniques - Focused on Pyeongwangtapbi Monument of Seonggak Daesa -)

  • 장선필;한상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2호
    • /
    • pp.58-75
    • /
    • 2011
  • 이 연구는 금석문에 대한 기존의 탁본과 사진 탁본을 비교하여 사진 탁본이 비교적 우수하고 정확한 판독이 가능함을 증명해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에 새겨진 미판독 금석문을 사진 탁본을 통해 재판독을 시도하였다. 선각대사편광탑비는 탁본(拓本)에 의해 정리, 기록되어 있어 문헌에 따라 상이한 판독결과와 오독(誤讀)한 글자 또한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탁본 수행자와 그 방법 등에 따라 탁본 결과물이 달라질 뿐 아니라 탁본 결과물을 바탕으로 판독을 실시하기 때문이다. 선각대사편광탑비는 훼손되지 않았을 경우 총 2,049자 인 것으로 파악되며 그중 1,763자를 판독하였다. 이중에서 그동안 일부 문헌에서 판독하지 못했거나 서로 다르게 판독한 글자 등 총 308자를 바로 잡았다. 다만, 선각대사편광탑비의 탁본은 최소한 30~100여 년 전에 탁본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에서 사진 탁본을 실시한다면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사진 탁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내용적인 오류 수정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