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pigraph Reading by Photographic Reading Techniques - Focused on Pyeongwangtapbi Monument of Seonggak Daesa -

사진 탁본 기법을 이용한 금석문 판독 -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를 중심으로 -

  • Jang, Seon Phil (Dept. of Science of Cultural Propertie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
  • Hahn, Sang June (Dept. of Science of Cultural Propertie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 장선필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화재과학과) ;
  • 한상준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화재과학과)
  • Received : 2011.04.18
  • Accepted : 2011.05.2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at photographic reading can be used to decipher epigraphs more effectively and accurately than conventional rubbing of epigraphy. When using the rubbing technique, the reading rate varies for the each epigraph depending on the time, person, and rubbing method. Thus, we compared the results of conventional rubbing to photographic reading focusing on unread and misread let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some letters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reference books, and some letters that could have been readable via photographic reading were misread or read as different letters. In its undamaged state, the Pyeongwangtapbi Monument of Seonggak Daesa is supposed to contain a total of 2,049 letters, and 1,763 of them have been deciphered. This study corrected a total of 308 letters that had not been deciphered or deciphered inconsistently in existing literatur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pigraphs of the Pyeongwangtapbi Monument of Seonggak Daesa read using the rubbing technique were made at least 30-100 years ago, and the photographic reading was performed in 2010. Thus, the overall condition is not perfectly identical. If we read and compare in the same condition, we may obtain even more reliable result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of photographic reading, further studies regarding the correction of the contents of epigraphy should be performed.

이 연구는 금석문에 대한 기존의 탁본과 사진 탁본을 비교하여 사진 탁본이 비교적 우수하고 정확한 판독이 가능함을 증명해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에 새겨진 미판독 금석문을 사진 탁본을 통해 재판독을 시도하였다. 선각대사편광탑비는 탁본(拓本)에 의해 정리, 기록되어 있어 문헌에 따라 상이한 판독결과와 오독(誤讀)한 글자 또한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탁본 수행자와 그 방법 등에 따라 탁본 결과물이 달라질 뿐 아니라 탁본 결과물을 바탕으로 판독을 실시하기 때문이다. 선각대사편광탑비는 훼손되지 않았을 경우 총 2,049자 인 것으로 파악되며 그중 1,763자를 판독하였다. 이중에서 그동안 일부 문헌에서 판독하지 못했거나 서로 다르게 판독한 글자 등 총 308자를 바로 잡았다. 다만, 선각대사편광탑비의 탁본은 최소한 30~100여 년 전에 탁본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에서 사진 탁본을 실시한다면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사진 탁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내용적인 오류 수정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중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