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aluation of the Korean Epigraphy's Achievement-Focused on Park Seon-su's Epigraphy

한국 금석학(金石學)의 성취에 대한 재평가 - 박선수(朴瑄壽)의 금석학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12.07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Park Seon-su's ShuowenJiezi YIzheng from the perspective of Epigraphy, and incorporate it into the fields of Korean Epigraphy. Korean Epigraphy, which now categorized as a study since Kim Jeong-hee's powerful work in 19th century, can be listed either by studies published before and after Kim Jeong-hee's and by name of influential writers who have successfully presented each study and striv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pigraphy. Earlier studies show that Korean Epigraphy has more books of data collection rather than the books of research on the epigraph. Regardless of the nationality of the author, all books containing Korean epigraph were counted as Korean Epigraphy, and those books made for religious reasons were not excluded from Korean Epigraphy as well. This indicates how wide the scope of Korean Epigraphy is. In this The reason Park Seon-su's research is ignored at present time, which was assessed as excell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y come from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ShuowenJiezi YIzheng. His book, ShuowenJiezi YIzheng, focuses on graphology but more broadly it includes translation of Epigraph and Epigraphy which leads to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Such Park- Seonsu's great work must be presented in Korean Epigraphy studies to broaden its scope, also it is important to look for yet unfound pieces on the fields of Epigraphy.

본고는 금석학의 관점에서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說文解字翼徵)"을 소개하고, 그것을 한국 금석학의 연구 성과에 포함시키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한국의 금석학은 19세기 초 추사 김정희(金正喜)에 의해 하나의 학문 분야로 발전되었다. 이 때문에 한국의 금석학은 대체로 김정희를 기점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시기를 구분한 뒤, 중요한 저작이나 연구자를 소개하는 형식으로 기술되었다. 기존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한국의 금석학은 금석문을 수집하고 한 데 묶어 편찬한 자료집 성격의 서적이 금석문을 해독하고 고증한 연구서 성격의 서적보다 많다는 특징이 있다. 또 저자의 국적에 관계없이 한국의 금석문을 수록한 책은 모두 한국 금석학의 범위에 포함시켰고, 종교적 이유로 편찬된 책도 금석문을 수록하고 있다면 금석학의 범위에서 제외하지 않았다. 이는 한국 금석학의 범위가 매우 넓게 설정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 후기에 금석학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던 박선수의 연구 성과가 누락된 것은 "설문해자익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은 금석문을 이용하여 "설문해자"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려는 목적으로 편찬된 문자학 저작이다. 박선수는 금석문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이를 문자 연구에 활용하는 방법론을 개척했으며, 금석문을 분석하고 해독하는 등의 금석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은 한국 금석학의 연구 성과에 포함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잘 알려지지 않은 연구자와 연구 성과를 발굴하여 한국 금석학의 성취에 대한 새로운 기술과 평가가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