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attribute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2초

신설 대학급식소 운영 계획을 위한 서비스 품질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규명: conjoint 분석의 활용 (Identify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Attribute for Developing an Operation Proposal on Hypothetical College Foodservice Approached to Conjoint Analysis)

  • 박문경;김창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2권4호
    • /
    • pp.390-403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 (a) examine the using pattern of college foodservice and off-campus restaurant and identify the important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levels for conjoint analysis, (b) investigate the demographic factor and the lunch behavior of "S" college's foodservice customer (c) search the optimum moving time to the college foodservice by cumulative graph, (d)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level at college foodservice by conjoint analysis, and (e)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ew college foodservice. Questionnaire developed were conducted with 305 daytime students. A total of 284 were usabl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ver. 11.0)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conjoint analysis. ‘Low price’ was the reason for using college union foodservice, and the advantages of college union the foodservice were reported to be 'speediness', 'low price', 'near distance', 'wide space' and etc in a college. For off-campus restaurant, the using reasons were mentioned 'near distance', 'menu variety', 'kindness', and 'better taste and quality' and the using advantage found out 'inexpensive and enjoyable food with friends', and 'good taste'. An optimum time required for moving to the college foodservice was calculated 9 min by cumulative graph. As the relative important attributes on college foodservice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the ‘price range', the 'time required for the movement' and the 'food taste', and the level were analyzed the location requiring 6~10 minutes for the movement, the price range of 2,100~2,500 won, and the providing tasty foods by conjoint analysis. As "S" college will be established a new college foodsrevice suggested by the this study result, there should be expected the increasing salse and th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campus foodservice.

  • PDF

설악산(雪岳山) 국립공원(國立公園) 지역주민(地域住民)의 관광영향(觀光影響) 지각(知覺) (Residents'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s on Soraksan National Park)

  • 강미희;김성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620-629
    • /
    • 1998
  • 본 연구는 국립공원 지정과 앞으로의 관리방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와 환경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관광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각을 파악하고,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 지각 차이를 검증하였다. 1997년 11월과 12월 동안 설악산 국립공원 경계 내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153명의 설문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지역주민들은 긍정적, 부정적인 환경적, 경제적 관광영향을 모두 지각하는 한편, 사회적 관광영향에 대해서는 크게 지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의 부정적인 영향 지각에도 불구하고 더 집중적인 편광개발을 선호하며 설악산 보전을 위한 이용자 수 제한에는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관광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각은 연령, 학력, 직업과 관광의 관련 여부, 거주지, 거주기간 등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미계측 유역의 유출모의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응용(I) :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선정 (Application of GIS for Runoff Simulation in Ungaged Basin(I): Selection of Soil Map and Landuse Map)

  • 김경탁;심명필;선우중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63-176
    • /
    • 1999
  • GIS기법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수문지형정보는 기존 주제도의 선정, 사용된 알고리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선정에 따른 유출수문곡선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미계측 유역의 강우유출모의에 효과적인 GI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계측 유역에서의 유효강우량 산정에 필요한 GIS 공간자료(개략토양도, 정밀토양도, 토지이용계획도,위성영상)를 구축하였다. 미국 토양보존국(SCS)의 유출곡선번호(runoff curve number; CN)방법의 적용을 위한 수문학적 속성의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SCS CN값 산정을 위한 GIS 공간자료의 선정에 따른 유출응답특성을 검토하였다. 실측 수문곡선과의 검증을 통해 미계측 유역에서의 강우유출모의에서 GIS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S CN값을 산정하기 위한 GIS 공간자료로서는 정밀토양도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Using the Perceptions of Residents to Determine Key Priorities for Planning a Community Garden

  • Jeong, Nara;Han, Seungwon;Kim, Kwangjin;Jung, Youngbin
    • 휴양 및 경관연구
    • /
    • 제12권4호
    • /
    • pp.25-3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how community garden spaces should be used to restore communities engaged in village-rehabilitation projects. To achieve this purpose, we have analyzed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conducting a town-development project. The community reviewed the benefits of having a garden to improve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comfort. Given the role of gardens in revitalizing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build spaces where residents can relax and enjoy community life. Those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oped that their community garden would provide shade and relaxation, a children's play area, green spaces, and places for conversation. The space and facilities provided by community gardens vary,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ations and needs of each community. It is therefore inappropriate to apply uniform garden designs to all community gardens. Between 20% and 25% of a community garden should be allocated to each of the following: community space, ornamental space, and space for relaxation. As plants that provide shade and help to maintain the ecosystem are strongly preferred in community gardens, all plants should be chosen for their environmental benefits and functionality, rather than aesthetics. Residents may be willing to participate in a range of activities, including community events, the cultivation of plants, and garden management. Towns must therefore set up programs to support these activities. It is essential to continue studying and investigating the formation of community spaces and facilit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unity.

계층화분석 및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 방법에 따른 농업가뭄재해 취약성 평가 (Evalu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Disaster Vulnerabilit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Entropy Weighting Method)

  • 문영식;남원호;양미혜;신지현;전민기;김태곤;이승용;이광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3호
    • /
    • pp.13-26
    • /
    • 2021
  • Recent drought events in the South Korea and the magnitude of drought losses indicate the continuing vulnerability of the agricultural drought. Vari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drought hazard assessment at the regional scales, but until recently, drought management has been response oriented with little attention to mitigation and preparedness. A vulnerability assessment is introduced in order to preemptively respond to agricultural drought an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drought.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spati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based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key 14 items that define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were meteorological, agricultural reservoir, social, and adaptability factors. Also, this study is to analyze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by comparing vulnerability assessment according to weighting method.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elements is expressed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hich includes subjective elements such as surveys, and the Entropy method us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evaluation items. The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map was created through development of a numerical weighting scheme to evaluate the drought potential of the classes within each factor. This vulnerability assessment is calculated the vulnerability index based on the weight, and analyze the vulnerable map from 2015 to 2019. The identific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is an essential step in addressing the issue of drought vulnerability in the South Korea and can lead to mitigation-oriented drought management and supports government policymaking.

4D 시뮬레이션을 위한 3D 모델 및 공정 정보의 연계 간소화 기법 연구 (A Study on a Technique for Simplifying the Connection of a 3D Model and Schedule Information for 4D Simulation)

  • 박상미;이재희;윤형석;황재영;강효정;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6호
    • /
    • pp.861-868
    • /
    • 2022
  • 건설공사의 시공과정에 BIM을 적용하는 목적은 시공 간섭의 파악과 함께 공사일정의 경과에 따른 시공현황의 시각화가 주요 이유이다. 4D시뮬레이션은 이러한 목적의 수행 기능이며, 이를 위해서는 공정별 시작 및 종료일자와 해당 공정의 3D모델이 갖추어져야 하고, 실무적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본정보의 활용이 간편한 기능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D 모델 구성을 간소화하기 위해 설계단계에서 제작된 BIM 모델의 최소한의 속성정보를 활용하여 시공단계에 활용 가능한 공정 정보를 군집알고리즘을 이용해 생성하며 실제 공정관리 정보로서의 활용성을 분석한다.

ON THE COARSE-GRAINNING OF HYDROLOGIC PROCESSES WITH INCREASING SCALES

  • M. Levent Kavvas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
    • /
    • 1998
  • In this pressentation it is argued that the heterogeneity of a hydrologic attribute which may seem to be nonstationary at one scale, may become stationary at a larger scale. The fundamental reason for transformation from nonstationarity to stationarity whith the increase in scale is the phenomenon of coarse-graining of the hydrologic processes with increasing scale. Due to the phenomenon of aliasing, a particular scale hydrologic process heterogeneity which is observed as a nonstationary process at that scale, may be observed as a stationary process at a higher(larger) scale whose size is bigger than the stationary extent of the lower scale heterogeneity. As one goes through a hierarchical sequence of larger and larger scales for observations, one would eliminate nonstationarities which emerge at some lower scales at the expense of losing information on the high frequency fluctuations of the lower scale heterogeneities which will no longer be observed at the larger sampling scales. We call this phenimenon as the "coarse-graining in hydrologic observations". In this presentation, it is also argued that by the coarse-graining of hydrologic processes due to the averaging and aliasing operations at increasing scales, the conservation laws corresponging to these scales may still be quite parsimonious, and need not be more complicated as the scales get larger. It is shown that shen a higher(larger) scale process is formed by averaging a lower(smaller) scale process in time or space, the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the lower scale process will be eliminated by the averaging operation. Thereby, the resuliiting average hydrologic dynamics, free from the effects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the lower scale process, can still be quite simple in form. This is demonstrated by means of some recent upscaling work on the solute teansport conservation equation for hetergeneous aquifers. By means of this solute transport example, it is also shown that for the ensemble average form of a hydrologic conservation equation to be equivalent to its volume-average form at any scale, the parameter functions of that conservation equation at the immediately lower scale must be ergodic.

  • PDF

제4기 환경복원을 위한 식물규소체의 특성과 연구 성과에 대한 논의 (Discussion about Characteristics and Study Results of Phytolith for the Quaternary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 황상일;김효선;윤순옥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6
    • /
    • 2010
  • 식물 세포와 조직 사이에 형성된 규산염인 식물규소체는 특히 벼과식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많이 산출되고, 분석 결과는 제4기 기후와 환경변화 복원 및 농경활동 가능성을 밝히는데 기여한다. 식물규소체는 물리적, 화학적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토양에서 장기간 보존되지만, 제자리에 퇴적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연구성과의 적용 공간은 제한된다. 식물규소체는 반복성과 중복성으로 동정이 어렵고, 분류체계도 완성되지 않았으므로 우리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식물규소체 형태분류를 시도하였다. 식물규소체 분석 결과를 통한 고환경복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식물규소체의 기후지시자와 함께 Iph와 Ic 등 기후지수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고기후복원도 가능하다.

유역특성을 반영한 공간격자기반의 분포형모형 개선 (Modification of Spatial Grid Based Distributed Model Considering River Basin Characteristics)

  • 박진혁;허영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D호
    • /
    • pp.431-436
    • /
    • 2008
  • 최근, GIS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다양한 공간 수문 자료들이 속성정보와 결합되어 다루는 것이 가능해졌고, 집중형 유출모형보다 유역 유출량의 시 공간적인 변동을 고려할 수 있는 분포형유출 모형의 구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유출량의 시공간적 분포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표 및 하도흐름해석에 물리적인 운동파(kinematic wave)이론에 근거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였다. Hydro-BEAM모형을 근간으로 융설 적설과정 모듈을 추가로 개발하였고, 각종 수문매개변수를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등의 기본 GIS자료들로 부터 추출, 본 모형의 입력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모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서 비교적 신뢰할만한 기상자료와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일본의 쇼나이강 유역(532)을 대상으로 구축하였고, 수문곡선 비교 결과 비교적 재현성 높은 유출 결과를 모의할 수 있었다.

E-GIS 기반의 습지분포 및 규모예측 (A Prediction and Distribution of Wetland Based on an E-GIS)

  • 장용구;김상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D호
    • /
    • pp.1011-1017
    • /
    • 2006
  • 습지 생태계는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여 인위적 간섭에 매우 취약하다. 습지는 육상과 수상생태계의 전이지대이며 인간생활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습지의 보전과 관리대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습지 분포지역의 명확한 위치정보, 속성자료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Environment-GIS(E-GIS)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습원에 대한 통합 DB로서 습지관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방법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기준점 측량방식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이용한 정확한 위치를 규정하였고 습지분포 수치지도 영역을 표현하였다. 이로써 지리정보를 이용한 GIS DB로 전환하여 도형, 속성정보를 수치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습지정보를 기반으로 연구범위 내 환경부 지정 대표 보존습지의 구성인자인 지형, 지질, 동 식물상 분포를 분석하여 발견되지 않은 습지 분포지역을 예측 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