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attribute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8초

원형경관(原型景觀)의 개념 정립 및 형성요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the Factors of Formation of the Prototypal Landscape)

  • 강영은;최동욱;홍성희;정윤희;김상범;임승빈
    • 농촌계획
    • /
    • 제15권4호
    • /
    • pp.33-42
    • /
    • 2009
  • This study is aimed at the necessity application in 'Prototype' general concept on discovering cultural identity landscape of our national characteristics landscape research.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landscape, fundamental concept, the prototypal landscape concept from previously researches that have been used.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of prototypal landscape has been established by commenting a point of view which is defining previous researches that controverted prototypal landscape, then establish concept of prototypal landscape and derive attribute by comparing and considering similar terminology of prototypal landscape. Previously, research prototypal landscape in depth by applying defined concept of prototypal landscape and considering inherence ideologic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prototypal figure and structure. Formation pattern of the prototypal landscape is classified in both philosophical formative primary factor from philosophy, religion and environmental formative factor of human that accumulated cultural life from a region and life. Examples of forming the prototypal landscape by philosophical formative factor are classified as 'Feng-Shui(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Yin-Yang theory', 'Confucian idea theory' 'Philosophical Taoism', 'Buddhism theory' and 'Nature theory' then environmental formative factor are interpreted by 'Taekliji(determining of advantageous land)', 'Imwon(forest) economical geography', 'land use', 'topography' and 'terrain' as examples. This study is anticipating a new point of view and an establishment of reliable preservation to our characteristic of the prototypal landscape by considering concept of prototypal landscape and formative factor as studying limits of prototypal landscape and researching concentrated origination of the prototype.

GIS를 이용(利用)한 환경친화적(環境親和的) 임도(林道) 노선(路線) 선정(選定) 프로그램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GIS Model for Projecting Eco-Friendly Forest Roads)

  • 이병두;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431-439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임도 노선 선정과 임도 노선에 대하여 환경적 공학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GIS 응용 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도형 및 속성 자료 관리 모듈, 적정 노선 선정 모듈, 노선의 환경적 공학적 효율성 평가 모듈, 산악 지형 분석 모듈, 평가서 작성 모듈의 5개 세부 모듈로 구성되었으며, 이 모듈들은 임업 현장 실무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pull-down' 메뉴 체계로 개발되었다. 모델의 운영 체계는 ESRI사의 Avenue, Microsoft의 Visual Basic 6.0을 이용하여 작성하였고, GIS 엔진은 ArcView 3.1, Spatial Analyst 및 3-D Analyst를 이용하였다. 이 논문에는 임도 노선 선정 및 평가와 관련된 응용 원리 및 전산 모델의 구조와 운용 체계가 제시되었다.

  • PDF

단위제 고등학교의 애착장소 인식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총합학과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 (Research on the Space Recognition of Attachment Places of Credit-based High Schools - Focused on Japanese Comprehensive High Schools -)

  • 손석의;김승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61-68
    • /
    • 2019
  • As high schools implement credit completion system these days, concerns about the dissolution of classes, which are the original stable groups of studying and living, and the instability of the basal space, is growing due to the extended operation of moving optional clas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ffect that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basal space within the school and the operation method have on the students' space use and formation of attachment place within the school. For this, the main activity places, attachment place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others were investigated at 2 Japanese credit-based comprehensive high schools, which are different in the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s of school buildings. Based on this, a quantitative analysis about the distribution of activity places and attachment places was implemented. The space use features for each student attribute were compared,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each type of attachment place form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change of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about the class spac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moving optional classes could be understoo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space using behavior and place evalu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 of the class space and common space, and that this i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Concrete Reinforcement Modeling with IFC for Automated Rebar Fabrication

  • LIU, Yuhan;AFZAL, Muhammad;CHENG, Jack C.P.;GAN, Vincent J.L.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57-166
    • /
    • 2020
  • Automated rebar fabrication, which requires effectiv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model designers and fabricators, has brought the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data from different sources to the notice of both academics and industry practitioners. Industry Foundation Classes (IFC) wa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data formats to represent the semantic information of prefabricated components in buildings, whereas the data format utilized by rebar fabrication machine is BundesVereinigung der Bausoftware (BVBS), which is a numerical data structure exchanging reinforcement information through ASCII encoded files. Seamless transformation between IFC and BVBS empowers the automated rebar fabrication and improv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order to improve data interoperability between IFC and BVBS, this study presents an IFC extension based on the attributes required by automated rebar fabrication machines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Delivery Manual (IDM) and Model View Definition (MVD). IDM is applied to describe and display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projects, whereas MVD is a subset of IFC schema used to describe the automated rebar fabrication workflow. Firstly, with a rich pool of vocabularies practitioners, OmniClass is used in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IFC and BVBS, providing a hierarchy classification structure for reinforcing elements. Then, using International Framework for Dictionaries (IFD), the usage of each attribute is defined in a more consistent manner to assist the data mapping process. Besides, in order to address missing information within automated fabrication process, a schematic data mapping diagram has been made to deliver IFC information from BIM models to BVBS format for better data interoperability among different software agents. A case study based on the data mapping will b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proposed IFC extension and how it could assist/facilitate the information management.

  • PDF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건물 속성정보를 이용한 랜드마크 추출 (Extraction of Landmarks Using Building Attribute Data for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 김진형;김지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203-215
    • /
    • 2017
  • 최근 스마트폰 보급과 측위 기술의 향상으로 보행자용 내비게이션 서비스(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PN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보행자의 이동 특성과 길 찾기 성공률 측면에서 보행자에게 길안내를 하는데 랜드마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에 PNS를 위하여 랜드마크를 추출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선행연구는 랜드마크를 추출할 때 건물들 간의 차이만을 고려하고, PNS가 구동되는 화면 속 지도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주의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건물의 속성을 지역적 변수와 전역적 변수로 정의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지역적 변수는 건물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전역적 변수는 건물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건물의 현출성과 시각적 주의 정도를 반영한다. 또한, 네트워크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고려하고 랜드마크 후보군 추출 시 발생하는 중첩 현상을 해결한다. PNS를 위한 랜드마크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바탕을 건물 속성정보를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보행자를 위한 선택점을 선정하고, 해당 선택점 별로 랜드마크 후보군을 추출하였다. 이들 랜드마크 후보군에 대해서 정의된 건물 속성정보를 산출하고,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추출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서울특별시 관악구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랜드마크를 추출하고, 네이버와 다음 지도 서비스의 레이블과 길찾기 시 표출되는 랜드마크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네이버와 다음 레이블 219개 중에서 60.3%에 해당하는 132개가 제안된 방법으로 랜드마크로 추출되었으며, 네이버와 다음 지도 서비스에는 없지만 선택점에서 추가로 추출된 228개의 랜드마크는 지역적 수준에서 길 찾기 시 방향 전환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객체 형상 및 속성정보 지침에 따른 수목 BIM 라이브러리 개발 (Development of Plant BIM Library according to Object Geometry and Attribute Information Guidelines)

  • 김복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51-63
    • /
    • 2024
  • 건설분야의 전면 BIM 도입을 위한 정부정책이 실행 중인 가운데, 조경 BIM 모델의 구축 및 활용은 아직까지 저작도구의 한계, 자연소재 모델링의 어려움, 라이브러리 등 BIM 콘텐츠 부족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수목은 조경분야의 전문성을 대표하는 설계요소로서 BIM 모델 제작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지만 모델링 과정에서 종종 생략되거나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 BIM 데이터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 표준을 준수하고 조경실무에서 상용화할 수 있는 수목 라이브러리를 개발함으로써 조경 BIM 모델의 구축과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evit을 기반으로 수목의 3D 형상과 속성정보 항목을 선정하여 교목과 관목의 라이브러리를 개발하였다. 형상정보는 수종 고유의 특징을 표현하되 단순화하여 LOD200, LOD300, LOD350 수준으로 작성하였고, 속성정보는 수목의 품명, 규격, 물량산출에 필요한 정보 외에도 생태적 속성정보와 환경성능 정보를 포함하여 총 24개의 항목을 포함시켰다. 파일은 객체명만으로도 조경분야의 객체로서 위계가 드러나고 수목의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명칭을 부여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수목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공동주택단지의 조경 BIM 모델을 작성하고 사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목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조경 BIM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었으며 도면 작성, 물량 산출, 디자인 검토 등 BIM 모델의 기본적인 활용방안에서 적절히 운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라이브러리에는 지피초화류가 제외되었으며, 수목의 환경성능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아직 구축되지 않아 속성정보에 변수들이 탑재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자연소재에 대한 BIM 모델링 도구 및 기술 개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며, 라이브러리의 제작, 관리, 보급 및 유통을 담당할 주체와 시스템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자연형 하천에 대한 환경자원의 가치추정 - 인천광역시 소하천을 중심으로 - (Value Estimation for Environmental Resources of Natural river Using Conjoint Analysis - Focused on small River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

  • 이경수;김태형;류재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6호
    • /
    • pp.417-4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소하천인 굴포천, 장수천, 승기천, 공촌천의 자연형 하천복원 사업에 따른 환경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였다. 또한 지불용의액을 추정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행복감을 줄 수 있는 조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불용의액은 15,000원 정도면 수긍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형태에서는 '자연형', 수변공간에서는 '홍수터+산책로+편의시설'이, 수심에서는 10 cm이상이 가장 수긍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5,000원으로는 모든 조건을 충족할 수 없을 것이다. 소요 비용을 높게 책정하게 될 경우 지역 주민의 조세 저항에 부딪치게 될 확률이 매우 높다. 따라서 속성 수준의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5가지의 대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결과는 인천시 주민의 설문결과로서, 인천시 자연형 하천사업의 환경가치를 추정하는데 컨조인트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향후 추정하고자 하는 연구 대상의 특성화된 요인을 반영하고, 하천이 가진 보다 다양한 속성을 다각적 분석을 통하여 정확한 환경가치를 추정한다면, 활용성이 높은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CO2 인벤토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Construction of CO2 Inventory Using GIS)

  • 오상학;김대욱;류지원;차재규;정응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0-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공간 특성에 따라 분포되고 있는 탄소 배출 규모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공간대응형 탄소배출 인벤토리를 구축함으로서 온실가스 저감형 도시 공간구조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친환경적인 녹색 도시로의 변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 입력되는 기초 Data 중 속성정보는 대구광역시 에너지 부문(전력, 도시가스)의 2009년 연간 사용량을 가지고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Tier 1에 대입하여 $CO_2$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공간정보는 대구광역시 건축물 대장과 지적도를 연계하여 지번에 따라 건축물 용도별로 토지이용 분류를 실시하여 구축하였다. 에너지 부문의 $CO_2$ 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지리정보시스템을 접목함으로서 공간별 $CO_2$ 배출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토지이용에 따라 $CO_2$ 배출 현황이 각기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의 환경피해와 주민지원금 간의 상응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Environmental Damage and the Subsidy in the Vicinity of a Landfill in the Seoul Methropolitan Area)

  • 강희찬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0권3호
    • /
    • pp.365-393
    • /
    • 2021
  • 본 논문은 선택실험법(Choice Experiment Method)을 이용하여 현행 지원되는 수도권매립지 주변 주민에 대한 주민지원금이 피해 정도에 상응하게 지원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2001년부터 거의 20년 가까이 운영된 주민지원금은 수도권매립지 운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환경피해(악취, 소음, 대기오염, 수질오염, 경관훼손 등)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에서 운영되고 있으나, 현행 보상의 정도가 주변 지역 주민의 실제 피해 비용만큼 보상이 이뤄지고 있는 파악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수도권매립지 부지 경계 기준 주변 2~4km에 거주하는 주민들 300명을 대상으로 선택실험법 설문을 한 결과를 이용하여 혼합로짓모형(Mixed logit model)을 통해, 동(읍)별로 속성(악취, 소음, 대기오염, 수질오염)별 한계지불의사액을 추정하고, 이를 현행 동(읍)별 가구당 주민지원금과 비교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전체 그리고 지역별 가구당 피해비용(지불의사액)을 추산하여 2019년 전체 그리고 지역별 주민지원금과 비교한 결과, 현행 전체 주민지원금 규모는 수도권매립지 주변 주민이 받는 전체 환경피해를 완벽하게 제거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지역별 주민지원금의 배분도 해당 지역별 피해 정도에 비례하여 배분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The Developing of Sports Commentator Attribute Scale for Adaptation to ICT and New Media Platform Era

  • Choi, Eui Yul;Jeon, Yong B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163-17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rganize panels centered on professional workers and experts in the sports media industry, identify structures and items of sports media commentators' attributes that conform to the present era through the collective agreement process, and evaluate the derived measures according to the scale development procedure. We would like to shed new light on the nature of commentator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broadcasting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platforms, the emergence and expansion of smart media receptors and the changing environment of modern sports broadcasting. For this purpose, a panel of experts from academia and industry related to sports management and sports media was organized and the attributes of commentators were analyzed using the Delphi method.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sports market has created a new sports consumption environment. In these consumer environments,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he consumer's consumption culture of sports consumers. For example, professional information, as well as interpretations of sports culture, history and society are becoming their share for sports commentators, and viewers are demanding more diverse characteristics from sports commentators. In this respect, the study of sports commentator attributes can b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rapidly changing culture of sports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