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aning and the Factors of Formation of the Prototypal Landscape

원형경관(原型景觀)의 개념 정립 및 형성요인 연구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the necessity application in 'Prototype' general concept on discovering cultural identity landscape of our national characteristics landscape research.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landscape, fundamental concept, the prototypal landscape concept from previously researches that have been used.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of prototypal landscape has been established by commenting a point of view which is defining previous researches that controverted prototypal landscape, then establish concept of prototypal landscape and derive attribute by comparing and considering similar terminology of prototypal landscape. Previously, research prototypal landscape in depth by applying defined concept of prototypal landscape and considering inherence ideologic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prototypal figure and structure. Formation pattern of the prototypal landscape is classified in both philosophical formative primary factor from philosophy, religion and environmental formative factor of human that accumulated cultural life from a region and life. Examples of forming the prototypal landscape by philosophical formative factor are classified as 'Feng-Shui(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Yin-Yang theory', 'Confucian idea theory' 'Philosophical Taoism', 'Buddhism theory' and 'Nature theory' then environmental formative factor are interpreted by 'Taekliji(determining of advantageous land)', 'Imwon(forest) economical geography', 'land use', 'topography' and 'terrain' as examples. This study is anticipating a new point of view and an establishment of reliable preservation to our characteristic of the prototypal landscape by considering concept of prototypal landscape and formative factor as studying limits of prototypal landscape and researching concentrated origination of the prototype.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대, 1997, 신라왕경 도시계획 원형탐색과 보존체계설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기덕, 2007, 한국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서울: 북코리아
  3. 김란기, 2005, 경관법체제하에서 역사문화유산의 보전전략,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4. 김상범, 허준, 2005, 전통테마마을의 향토경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4), 83-93
  5. 김선태, 2008, 역사도시 나주읍성지역의 전통경관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성연, 2004, 영화 속에 나타난 원형경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7. 김용규, 1990, 취락경관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용운, 1994, 원형의 유혹, 경기, 한길사
  9. 김한배, 1998, 우리 도시의 얼굴 찾기: 한국 도시의 경관변천과 정체성 연구, 서울, 태림문화사
  10. 노재현, 신상섭, 박율진, 2008, '다산도(茶山圖'에 표현된 다산초당(茶山草堂)의 원형경관(原形景觀) 탐색(探索),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31-41
  11. 변우일, 2006, 우리 풍경 찾기: 한국적 원형(原形)경관. 환경과 조경, 179, 106-109
  12. 신상섭, 2007, 한국의 전통마을과 문화경관 찾기. 서울, 대가
  13. 신상섭, 노재현, 김홍균, 2008, 임실 방동마을숲의 원형경관 찾기와 식생복원설계, 한국조경학회지 26(3), 78-86
  14. 심승희, 1995, 역사경관과 지역 정체성에 관한 연구: 전주시 한옥보존지구와 역사유적을 사례로, 지리교육학회지, 33(1), 43-73
  15. 안동만, 1988, 역사경관 보존과 관리. 한국조경학회지, 19(2), 104-106
  16. 안동만, 1993, 역사도시의 현재와 미래: 역사도시에서의 역사경관 보전방안,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8(301), 20-36
  17. 유가현, 성종상, 2009, 진경산수화에 표현된 풍토경관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1), 87-99
  18.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 1989, 조선조 정원의 원형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부설환경계획연구소
  19. 이규목, 1994, 조선후기 서울의 都市景觀과 그 이미지, 서울학연구 1, 149-193
  20. 이수정, 2003, 현대 보존이론의 변화하는 관점에 있어서의 원형보존의 원칙, 경주문화연구 6, 200-224
  21. 이양재, 1982, 도시역사경관의 의미와 이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공업기술개발연구지 2, 72-93
  22. 이유경, 2004, 원형과 신화, 경기, 이끌리오
  23. 이윤선, 2008, 민속문화와 문화원형: 무형문화재와 <문화원형사업>의 문화원형담론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11(1), 7-38
  24. 임덕순, 1990, 문화지리학, 서울: 법문사
  25. 임수아, 2004, 관광홍보물에 나타난 강릉의 대표경관, 강릉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임승빈, 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7. 전종한, 2006, 민속마을 외암리의 경관 원형과 경관동학, 문화역사지리, 18(2), 38-56
  28. 최원석, 2004, 한국의 풍수와 비보, 서울, 민속원
  29. 한국경관협의회, 2008, 경관법과 경관계획, 서울, 보문당
  30. 한필원, 2004,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 서울, 북로드
  31. 황기원, 1989, 경관의 다의성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7(1), 1055-1068
  32. Eckbo, G., 1969, "Landscape We See", New York, McGraw-Hill B()k Co., 120-121
  33. Entrikin, J. N., 1991, The Between of Place, Batimore, The Johns Hopskins University Press
  34. Jung, C. G., 2002, 한국융연구원 역, 원형과 무의식. 서울, 솔출판사
  35. Lakoff, G., 1987,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What Our Categories Reveal About the Mi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M, Eliade, 1961, Images and Symbols. london, Harvill, Trans, P., Mairet
  37. Rosch, E., 1975,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semantic categori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94, 192-223
  38. Strauss, A., 1976, Image of the American city, New Brunswick, Transaction Books
  39. http://www.korean.go.kr/08_new/index.jsp(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