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omopathogenic nematod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48초

유용곤충과 포유류에 대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과 공생세균(Xenorhabdus nematophilus)의 독성 (Toxicological Analysis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and the Symbiotic Bacteria, Xenorhabdus nematophilus on Beneficial Insects and Mammals)

  • 박영진;김미경;김진;양경형;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9-264
    • /
    • 2001
  • 해충의 생물적 방제 인자로서 주목받고 있는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과 이들의 공생세균(Xenorhabdus nematophilus)이 유용곤충인 누에(Bombyx mori)와 그물등개미(Pristomyrmex pungens)에 상이한 독성을 보였다. S. carpocapsae는 누에에 대해 매우 높은 살충력(반수치사농도: 4IJs (감염태 유충수)/ml)을 보이는 반면, 그물등개미에 대해서는 매우 약했다. (반수치사농도: >150,000 IJs/ml). 반면에 X. nematophilus는 그물등개미에 대해 높은 경구독성(반수치사농도: $1.4$\times$10^3$cfu (콜로니 형성수)/ml)을 보였으나, 누에에 대해서는 낮았다. (반수치사농도: >$10^{8}$ cfu/ml). 또한 실험동물 랫드(Rattus norvegicus)에 S. carpocapsae와 X. nematophilus를 강제로 경구투여 한 결과 시험 전기간(21일)동안 치사개체는 없었으며, 내부 장기에서 처리한 공생세균과 선충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곤충살충성 세균 Photorhabdus의 Insecticidal Toxin과 연구동향 (Insecticidal Toxin and Research Trends of Photorhabdus, Entomopathogenic Bacteria)

  • 장은경;신재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7-123
    • /
    • 2010
  • BT toxin is produced by a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and has long been used as a biological insecticide without any competition. Recently, Photorhabdus, a symbiotic bacterium from entomopathogenic nematodes, family Heterorhabditae, has been researched and discussed as alternatives to B. thuringiensis. Photorhabdus, which lives in the gut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is a highly virulent pathogen of a wide range of insect larvae. When an insect is infected by the nematodes, the bacteria are released into the cadaver, and produce a number of insecticidal toxins. The biological role of the different Photorhabdus toxins in the infection process is still unclear. Photorhabdus toxin complex (Tc) is highly secreted gut-active toxin and has been characterized as a potent three-component (A, B and C) insecticidal protein complex. These components are necessary for full oral activity against insect larvae. The Photorhabdus PirAB binary toxins exhibit a potent injectable activity for Galleria mellonella larvae, and have oral toxicity against mosquitoes and caterpillar pest Plutella xylostella. Other toxin, 'makes caterpillars floppy' (Mcf) showed injectable activity on caterpillars. Recombinant Mcf triggers apoptosis in both insect hemocytes and the midgut epithelium and carries a BH3 domain. In this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rhabdus and the nematode is discussed and recent important insecticidal toxins from Photorhabdus are described.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인삼해충방제 (Use of Enthomopathogenic Nematode to Biological Control of the Pets of Korean Ginseng)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우순옥;백하주;한명세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 /
    • pp.81-85
    • /
    • 2003
  • In round numbers the 100 strains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were isola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cultivated including the ginseng forming cultivated and forest soil samples by silkworm trap. The 28 strains of nematodes were selected among the isolated entomopathogenic nematodes that were confirmed the pathogenicity against Holotrichia morosa, Hoiotrichia diomphalia and Ectinus sericeus, the pest of korean ginseng and silkworm. Pathogenicity of the 2025, 2027, 2028, 2034, 2039 and 2057 strains was excellent. Selected entomopathogenic nematodes are classified of two species by morphologiacl and molecular studies, which were Sterinernma carpocapsae sp. and Diplogaster lethier sp.. Diagnostic characters include body length, lateral field pattern, tail shape and so on. The DNA sequences of the ITS region of rDNA shows similar to S. carpocapsae and .D. lethier. Isolated entomopathogenic nematodes were demonstrates that are quite within the realms of possibility for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the pests of Korean Ginseng.

  • PDF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한 알팔파바구미의 감수성 실내 검정 (Susceptibility of the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Coleoptera: Curculionidae) to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Laboratory Assays)

  • 김형환;한건영;박정찬;추호렬;조성래;이홍수;이동운;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47-151
    • /
    • 2007
  •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S. carpocapsae GSN1 계통(ScG), S. glaseri Dongrae 계통(SgD),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계통(HbH) 및 Heterorhabditis spp. Cyeongsan 계통(HeG)에 대한 알팔파바구미의 감수성을 실내 페트리디쉬 검정하였다. 알팔파바구미의 유충 치사율은 선충 종과 처리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알팔파바구니의 유충 한 마리당 각 선충 계통의 감염충(3령충)을 20마리 이상 접종했을 때 3일 후 77.5(HbH)-100(SgD)의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선충의 침입수는 선충 종과 처리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증식수는 유의적 인 차이가 없었다. 침 입수에서는 SgD를 알팔파바구미 유충 한 마리당 80마리로 접종했을 때 30.2마리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증식수는 HeG를 알팔파바구미 유충 한 마리당 80마리로 접종했을 때 2,671.5로 가장 많았다.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4 계통은 알팔파바구미의 성충에는 전혀 기생하지 않았으나 노숙 유충에 대해서는 매우 감수성이었다.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을 이용한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using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 Isolates)

  • 유황빈;정영학;이상명;추호렬;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1-368
    • /
    • 2016
  •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소나무림에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을 전파하는 매개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곤충병원성선충을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의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4종(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 glaseri Dongrae, S. longicaudum Nonsan 계통)은 소나무 고사목 내의 미끼곤충인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치사시켰는데 S. carpocapsae GSN1의 병원성이 가장 높았다. 두 선충 모두 7.5 cm 깊이에 있는 꿀벌부채명나방을 치사시켰다. 곤충병원성선충은 솔수염하늘소 유충과 성충 모두에 병원성을 보였는데 성충에 대한 분무처리 시 S. carpocapsae GSN1 계통보다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계통의 병원성이 높았다. 솔수염하늘소 유충이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 벌채목에 대한 S. carpocapsae GSN1 계통의 수피면 분무처리와 벌채목 수침 처리 시 분무처리에서만 선충에 감염 된 유충이 확인되었다. 곤충병원성선충은 고사목 수체 내 솔수염하늘소 유충 방제의 실용성은 낮았지만 수체 내 해충에 대한 방제 가능성은 있어 추후 천공성 해충의 방제에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층의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연다색풍뎅이(Phyllopertha diversa) 유충에 대한 병원성과 골프장에서 지속성 (Pathogenicity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on Larva of Popillia quadriguttata, Ectinohoplia rufipes and Phyllopertha diversa (Coleoptera: Rutelidae) and Persistence in Golf Courses)

  • 최우근;하판정;이상명;추호렬;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6
    • /
    • 2006
  •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의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및 연다색풍뎅이(Phyllopertha diversa)에 대한 병원성을 실내에서 검정하였으며 아울러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을 이용하여 굼벵이 방제효과와 지속성을 조사하였다. 실내실험 결과 녹색콩풍뎅이 3령충에 대하여 H. bacteriophora Hamyang 계통은 95%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며 주황긴다리풍뎅이 3령충에 대해서도 H. bacteriophora Hamyang 계통과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이 80% 이상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연다색풍뎅이는 병원성이 가장 높은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 처리 시에도 60%의 치사율을 보였다. 골프장에서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을 $2.24{\times}10^9$ Ijs $ha^{-1}$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굼벵이의 밀도는 39%까지 감소되었고, 골프장 페어웨이에서 지속성은 $5{\sim}10$ cm 깊이의 토양에서 두 달까지 지속되었으나 $0{\sim}5$ cm 깊이에서는 치사되는 미끼곤충(꿀벌부채명나방)이 없어 지속성이 낮았다.

유기재배 배추포장 내 파밤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미생물의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Entomopathogenic Microagent against Spodoptera exigua on Organic Chinese Cabbage)

  • 박종호;홍성준;한은정;심창기;김민정;김용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97-811
    • /
    • 2015
  • 곤충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배추 파밤나방을 방제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 실내 실험의 경우 시중에 판매되는 4종의 비티제는 그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 10% 이하의 살충 효과를 보여주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경우 파밤나방에 대해 $1{\times}10^2$, $3{\times}10^2$, $1{\times}10^3$ 마리/ml에서 살충효과가 각각 33.3, 83.3, 100%로 나타났다. 비티와 곤충병원성 선충의 혼합처리에 의한 파밤나방 유충의 발육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파밤나방핵다각체 바이러스(SeNPV)는 $10^5$ 다각체/ml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높은 살충효과를 보여주었다. SeNPV 생산량은 초기접종농도, 사료 공급량 및 사육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온실시험에서는 비티와 선충 혼합처리가 단독처리보다 파밤나방에 방제효과가 높았으며 SeNPV는 $10^7$ 다각체/ml에서 100% 방제효과를 보여주었다. 유기배추재배 포장에서는 미생물제와 유기농업자재 혼합처리에서 파밤나방을 비롯한 나방류해충 발생이 무처리구나 비티단독처리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시설재배지에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tid와 Heterorhabditid를 이용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Lepidoptera: Noctuidae)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Steinernematid and Heterorhabditid) in Greenhouse)

  • 김형환;조성래;이동운;이상명;추호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5-343
    • /
    • 2006
  • 엽채류 재배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파밤나방을 환경친화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토양에서 분리한 steinemematid 선충과 heterorhabditid 선충 5계통(Steinernama carpocapsae GSN1, Steinernema sp. GSNUS-10, Steinernema sp. GSNUS-14,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Heterorhabditis sp. GSNUH-1)을 이용하여 petri dish와 pot 및 엽채류 재배 온실에서 병원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 5계통의 파밤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를 조사한 결과, 선충의 계통과 파밤나방의 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LC_{50}$은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GSN1) 계통이 파밤나방 $2{\sim}4$령충에서 $3.8{\sim}5.1$마리로 가장 낮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pot와 시설재배지에서의 병원성 실험결과도 선충 계통, 처리농도, 처리횟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teinernema 계통 선충들이 Heterorhabditis 계통 선충들보다 병원성이 높았다. 선충의 처리회수에 따른 파밤나방 유충 치사율은 선충의 계통과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1회 처리보다 2회와 3회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방제효과는 양배추나 케일보다 배추에서 높았다. 시설 재배지에서 GSN1이 파밤나방에 대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고, 처리농도에서는 $m^2$당 100,000마리(720,000마리 $7.2m^{-2}=1{\times}10^9$마리 $ha^{-1}$)가 다른 두 농도처리보다 높았다.

경작지 근권 토양내 곤충병원성 선충의 검출 및 정량적 평가 (The Detec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Cultivated Rhizosphere Soil)

  • 황경숙;한상미;김윤지;남필원;한송이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71-275
    • /
    • 2003
  • 유기농업을 수행해온 배추와 무의 근권토양과 관행농법의 근권토양 및 비경작지 토양으로부터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선충의 밀도를 조사하고, 토양내 유익선충인 곤충병원성 선충의 분포상황을 검토하였다. 경작지 토양 내 선충 분포율이 비경작지에 비하여 높았고, 유기농업 토양이 관행농업 토양보다 선충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선충의 정량적 평가법으로 직접계수법과 MPN 법을 비교 조사한 결과 MPN법이 신속하고 정확한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각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곤충병원성 선충은 Rhabditida목 선충과 Diplogasterida목 선충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선충 중 Diplogasterida목 선충이 50% 이상을 차지하여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었다. 누에를 기주체로 사용한 살충력 검정에 있어 24∼36시간 이내에 90%이상의 기주 치사율을 보여 농작물 해충방제를 위한 생물농약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Heterorhabditis megidis Gwangju Strain (Nematoda: Heterorhabditidae)으로부터 분리한 Photorhabdus temperata의 어류 및 쥐 독성평가 (Toxicity Assessment of Photorhabdus temperata Isolated from Heterorhabditis megidis Gwangju Strain (Nematoda: Heterorhabditidae) in Fish and Rat)

  • 박순한;정남준;추영무;김영준;김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3-118
    • /
    • 2022
  • Photorhabdus is a bacterial symbiont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of the genus Heterorhabditis in the family Heterorhabditidae. Photorhabdus is known to have nematicidal activity in addition to insecticidal activity. P. temperata isolated from Korean indigenous H. megidis Gwangju strain also produced high control efficacy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and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penetrans. P. temperata has drawn interest as a potential bionematicide for the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thereby. For the registration as an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 the toxicity of P. temperata was assessed by the acute toxicity test in carp (Cyprinus carpio) and acute oral and dermal toxicity tests in Sprague-Dawley rat (Rattus norvegicus) in compliance with the guidelines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the acute toxicity test in fish, neither lethality nor abnormal responses of carp were observed. Body length and weight of carp and changes in DO concentrations and pH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reated group and the untreated control. In the acute oral and dermal toxicity tests, clinical signs, abnormal behavior, mortality, and pathological findings were not observed in all the experimental rats. The weight increment of all rats was normal. Acute toxicity results of P. temperata in fish and rats belonged to categories III, IV, and IV of RDA, respectively. Toxicit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P. temperata could be a safe and promising bionematicide against root-knot nematodes and root lesion nemat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