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bacteriaceae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6초

충청 지역에서 분리된 대장균이 생성하는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유형의 검출 빈도 (The prevalence of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type produced by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from ChungCheong Area)

  • 육근돌;박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295-2302
    • /
    • 2014
  • 장내세균 가운데서 가장 빈번하게 나오는 대장균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ESBL)를 생성하는 효소의 검출빈도와 이들 균주의 ESBL 효소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균주는 충청지역 (대전, 충남, 충북)병원에서 2013년 2월부터 7월까지 6개월간 282 대장균 균주 중 ESBL을 생성하는 74균주(26.2%)를 수집하였다. 충청지역에 ESBL 균주를 포함한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률은 Aztreonam 30.8%, Cefotaxim 30.9%, 그리고 Ceftazidime 32.2%로 나타났으며 ESBL을 생성하는 균주는 ${\beta}$-lactam 항균제인 Aztreonam에 58.1%, Cefotaxim 100%, 그리고 Ceftazidime 63.5%의 내성률을 보였다. 동정된 ESBL 균의 CTX-M-2은 48 균주, CTX-M-8은 20 균주, PER-1 28 균주, 그리고 VEB-1 26 균주에서 나왔다. GES-1 형은 74균주 중 2균주가 충남에서만 유일하게 나타났다. ESBL 검출빈도와 유형의 정확한 파악은 병원감염관리와 항균제 처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Impacts of Irradiation Sources on Quality Attributes of Low-salt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Song, Dong-Heon;Kim, Hyun-Wook;Hwang, Ko-Eun;Kim, Yong-Jae;Ham, Youn-Kyung;Choi, Yun-Sang;Shin, Dong-Jin;Kim, Tae-Kyung;Lee, Jae Hoon;Kim, Cheon-Jei;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98-707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irradiation sources on quality attributes of low-salt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Control sausage was prepared with 1.5% sodium chloride (NaCl), whereas low-salt sausage was formulated with 0.75% NaCl (a 50% reduction; L-control). Sausage samples were vacuum-packaged, and low-sausages were irradiated with gamma-ray, electron-beam and X-ray at 5 kGy, respectively. The samples were stored at $4^{\circ}C$ for 28 d to determine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The pH of low-salt sausages was unaffected by irradiation at 5 kGy (p>0.05). Higher redness values were found at irradiated low-salt sausages compared to control (p<0.05).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control sausage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salt sausages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xtural parameters between low-salt sausage treatments. The overall sensory acceptability score of irradiated/low-salt sausages were lower than L-control due to decreased scores for cooked meat flavor but increased radiolytic off-flavor (p<0.05). The initial 2-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of irradiated/low-salt sausages were higher than control and L-control (p<0.05). However, the TBARS values of irradiated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at the end of storage. Irradiation could effectively inhibit the microorganism growth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nterobacteriaceae, and Pseudomonas spp.) in low-salt sausages (p<0.05). Therefore, our findings show that irradiation could be to improve microbial safety of low-salt sausages, and suggest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necessary to reducing radiolytic off-flavor of irradiated/low-salt sausages.

Edwardsiella tarda의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가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 (Roles of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in Edwardsiella tarda Pathogenesis)

  • 유종언;오영은;이태호;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743-1749
    • /
    • 2010
  • Edwardsiella tarda는 그람 음성의 장내세균과의 주요 어병세균으로 어류에 edwardsiellosis를 유발하는 전신감염성 병원체이다. 최근 병원성 세균의 외막 단백질들은 세균성 감염에 있어서 숙주와 반응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여겨져 연구가 되고 있다. 일본의 연구팀은 어류에서 에드워드병의 원인체인 E. tarda의 37 kDa 단백질이 넙치에서 높은 항원성을 제시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또한 그 연구자들은 37 kDa 단백질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이 GAPDH와 대응하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세균에서 알려진 N-말단 서열을 기반으로 primer를 제작하여 이에 상응하는 E. tarda DNA를 증폭하고 클로닝하였다. 이 DNA단편의 염기서열은 예상한 바와 같이 세균의 GAPDH유전자인 gapA와 높은 상동성이 있고, E. tarda GAPDH (etGAPDH)의 아미노산 서열은 다른 장내세균의 GAPDH와 70% 이상의 상동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E. tarda의 외막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E. tarda의 GAPDH가 외막에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gapA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하여 재조합 GAPDH를 과발현 시켰다. 과발현된 재조합단백질 GAPDH는 GAPDH 특이적인 항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고, 또한 넙치에 면역시켜 단일 단백질 백신으로서의 활용도를 모색하였다. 비록 재조합 GAPDH가 면역된 넙치에서 GAPDH에 특이적인 항체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E. tarda로 공격실험을 하였을 때 면역된 넙치의 생존율이 12.5%로 측정되어 면역된 그룹과 면역되지 않은 그룹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경주시를 관류하는 하천수에 대한 세균학적 조사 - 살모넬라에 대하여 - (The Bacteriological Survey of the Main Streams in Kyong-Ju City - on Samonellae -)

  • 최익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2권2호
    • /
    • pp.268-275
    • /
    • 1989
  • 1988년 6, 7월 2개월간 경주시내를 관류하는 주요 하천수의 16개 지점을 선정하어 2주 간격으로 채수하여 일반세균수, 최확수 및 병원성 장내세균중 Salmonella 검출을 시도한 결과 얻은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세균수 측정결과 6월에는 오릉교지점이 비교적 낮게 측정되었고($1.1{\times}10^2/ml,\;1.58{\times}10^4/ml$), 서천교 및 형산강 합류점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5.3{\times}10^4/ml,\;4.1{\times}10^4/ml,\;8.2{\times}10^5/ml,\;5.7{\times}10^5/ml$). 7월 1차에서는 보문교지점에서 $1.1{\times}10^5/ml$으로 가장 낮게 2차에서는 서천교지점이 $8.4{\times}10^4/ml$으로 가장 낮고, 보문호지점에서 $7.4x10^6/ml$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2. 최확수 측정결과에서 6월 1, 2차 측정 모두 1,600으로 높게 나온 지점은 문천교, 월성교, 고훈교등 3지점이었으며 7월 1, 2차 측정 모두 1,600이상으로 나온 곳은 문천교, 월성교, 고훈교, 신평교, 경주교, 형산강 합류점등 총 6지점 이었으며, 이중 문천교, 월성교, 고훈교, 경주고등 4지점은 2,400이상으로 측정되었다. 3. Salmonellar 군의 분리성적은 총 212균주 중에서 76주(35.8%)가 Salmonella 군으로 동정되었고 이중에서 Salmonella typhi 5주(2.36%), Salmonella paratyphi A는 5주(2.36%), Salmonella paratyphi B는 3주(1.42%), 기타 Salmonella군은 63주(29.72%)로 분리 동정되었다.

  • PDF

음식물폐수와 축산분뇨의 혼합소화에서 적정 혼합비 및 소화슬러지의 위생성 연구 (Optimal Mixing Ratio of Wastewater from Food Waste and Cattle Manure and Hygienic Aspect in Batch Type Anaerobic Digestion)

  • 정두영;정명희;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2호
    • /
    • pp.93-1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돈분폐수와 음식물폐수를 대상으로 대장균을 비롯한 병원성균의 존재여부를 파악하였으며, 이들을 여러 비율로 혼합한 혼합폐수를 대상으로 $55^{\circ}C$의 고온의 회분식 혐기소화를 실시하여 최적의 유기물 분해를 위한 혼합비율 및 혐기소화과정에서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장균 등의 분변성 장내세균은 축산폐수에서만 발견되었으며 식중독세균인 포도상구균은 음식물과 축산폐수 양쪽에서 발견되었다. 각 폐수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고온 회분식 혐기소화과정을 거친 결과 각 폐수의 비율이 50:50인 R3 반응조에서 가장 높은 유기물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며, 이때 $BOD_5$, CODcr SS의 감량율은 각각 23.2%, 24.7%, 19.7%로 나타났다. 한편, 소화과정 중 미생물상의 변화는 각 혼합반응조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총 세균수의 경우, 반응 최종일까지 상당량의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 등의 분변성 장내세균의 경우에는 반응 10일째 대부분이 사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포도상구균의 경우, 반응기간 내내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며 최종 반응일 까지 1,000~5,000 CFU/mL 정도의 개체수가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Microbial Community of Healthy Thai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Their Core Gut Microbiota, and Pathogen Risk

  • Ruengsomwong, Supatjaree;La-ongkham, Orawan;Jiang, Jiahui;Wannissorn, Bhusita;Nakayama, Jiro;Nitisinprasert, Sun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0호
    • /
    • pp.1723-1735
    • /
    • 2016
  • Pyrosequencing analysis of intestinal microflora from healthy Thai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exhibited 893 OTUs covering 189 species. The strong species indicators of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were Prevotella copri and Bacteroides vulgatus as well as bacteria close to Escherichia hermanii with % relative abundance of 16.9 and 4.5-4.7, respectively. Core gut microbiota of the vegetarian and non-vegetarian groups consisted of 11 and 20 different bacterial species, respectively, belonging to Actinobacteria,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commonly found in both groups. Two species, Faecalibacterium prausnitzii and Gemmiger formicilis, had a prevalence of 100% in both groups. Three species, Clostridium nexile, Eubacterium eligens, and P. copri, showed up in most vegetarians, whereas more diversity of Collinsella aerofaciens, Ruminococcus torques, various species of Bacteroides, Parabacteroides, Escherichia, and different species of Clostridium and Eubacterium were found in most non-vegetarians. Considering the correlation of personal characters, consumption behavior, and microbial groups, the age of non-vegetarian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4 (p = 0.001) to Bacteroides uniformis but exhibited a moderate one to Alistipes finegoldii and B. vulgatus. Only a positive moderate correlation of body mass index and Parabacteroides distasonis appeared. Based on the significant abundance of potential pathogens, the microbiota of the non-vegetarian group showed an abundance of potential pathogen varieties of Bilophila wadsworthia, Escherichia coli, and E. hermannii, whereas that of the vegetarian group served for only Klebsiella pneumoniae.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microbiota of vegetarians with high abundance of P. copri and low potential pathogen variety would be a way to maintain good health in Thais.

어린잎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 중 식중독 미생물 분석 (Analysis of Foodborne Pathogens in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from Harvesting and Processing Steps)

  • 오태영;백승엽;최정희;정문철;구옥경;김승민;김현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63-68
    • /
    • 2016
  • 어린잎 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에서 원료농산물과 토양 및 용수 등 환경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생산단계 어린잎 채소와 환경 시료의 일반 세균수는 모두 6.8 log CFU/g 이상 분석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어린잎 채소와 토양에서 각각 3.2 log CFU/g 및 3.5 log CFU/g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가공공정 단계에서는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 모두 세척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최종제품 단계에서는 오염수준이 감소되었다. B. cereus의 경우 생산단계에서는 어린잎 채소와 토양 또는 지지토에서 오염도가 높았으며, 가공공정에서는 원료 대비 최종 제품에서 약 1.4 log CFU/g 정도 감소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정성분석 결과 생산단계에서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이 음성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B. cereus를 이용하여 rep-PCR에 의한 유전적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생산단계의 경우 지지토와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의 유전적 상동성이 높아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지지토에 오염된 균주가 어린잎 채소로 이행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 반면 가공공정에서 분리된 균주의 경우 유전적 상동성이 낮아 공정 중 재 오염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였다.

우리나라 가축(家畜)에서 분리(分離)한 Salmonella 및 대장균(大腸菌)의 내성인자(耐性因子) R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R Factors in Salmonella and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Korean Domestic Animals)

  • 하대유;정선식;강병규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1-27
    • /
    • 1971
  • Recent reports confirm that R factors is widespread in Korea among Enterobacteriaceae isolated from humans. However, no reports have been made concerning the incidence of transferable drug resistance in domestic animals in this country. A total of 211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including 94 strains from dogs, 76 strains from pigs, 30 strains from chickens, and 21 strains from cow milk, were examined for drug resistance and distribution of R factors. And, respective two strains of Salmonella E group and Salmonella cholerasuis which were isolated from dogs and pigs, respectively were also examined for the same purposes. Of 211 strains of E. coli isolated, 66.8%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8 antibacterial agents such as streptomycin(SM), tetracycline(TC), chloramphenicol(CP), ampicillin sodium(AP), nalidixic acid(NA), gentamicin(GM), and polymyxin B(PX). Among the isolates, 86.2% of the strains from dogs, 70% of the strains from chickens, 43.4% of the strains from pigs, and 28.6% of the strains from milk, respectively,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the drugs. The following percentage of resistance of E. coli to each individual drugs was encountered: of 94 strains from dogs, AP, 64.9%; SM, 20.2%; NA, 12.8%, CP and PX, 8.5% each; GM, 2.1% each; GM, 2.1%. Among 76 strains from pigs, 42.2% and 2.6% each were resistant to TC, AP and PX, respectively. Among 30 strains from chickens, 43.3% were resistant to SM, TC, AP, respectively, and no strains were resistant to the other drugs. No strains of the isolated from milk were resistant to the drugs, except that 28.6% were resistant to SM and AP, respectively. Of the strains from dogs, multiply resistant strains(56.8%) were more than singly resistant one(43.2%) and sixteen different drug resistant patterns were observed.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patterns were AP TC AP and SM CP AP NA. Of the isolates from other sources,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resistant patterns were as follows: TC among the strains from pigs; SM TC AP from chickens; SM AP from milk. Of the resistant strains from dogs, 32% carried R factors and the most common resistance patterns of R factors were AP TC AP and SM TC CP, whereas 35.2% of the resistant strains from pigs carried R factors of which the most common encountered pattern was TC. Of the resistant strains from chickens, 46.9% carried R factors of which the most common patterns were SM TC TC AP and AP, whereas 50% of the resistant strains from milk carried R factors of which the most common pattern was SM. Of 4 strains of Salmonella isolated, no strains were resistant to the drugs, except that only one strain of Salmonella E group isolated from a dog was resistant to AP. The strain did not harbor R factor.

  • PDF

형랙배양검사 성적의 분석 -1984년에서 1987년까지 - (Analysis of the Results of Blood Cultures, 1984~1987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 김정숙;이채훈;최명숙;전창호;김경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49-60
    • /
    • 1988
  • 1984년부터 1987년까지의 최근 4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시행한 혈액배양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년간 8083검체의 혈액이 배양되어 582검체에서 균이 분리되어, 총 혈액배양 양성율은 7.2%이었고, 분리균주 중 다균성 감염증은 16예(2.8%)였다. 2) 분리균주의 분포는 그람 양성균이 189, 그람 음성균이 393이었고, 그람 양성균의 균종별 분리는 Staphylococcus aureus가 82, coagulase 음성 Staphylococcus가 73, 기타 Staphylococcus sp.가 20의 순이었다. 그람 음성균은 Escherichia coli가 75, Salmonella typhi가 80, Salmonella paratyphi A가 72이고, 그 외 Kldbsiella, Enterobacter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포도당 비발효 그람 음성균은 Pseudomonas cepacia가 46, Pseudomonas aeruginosa가 16, 그 외 Acinetobacter등이 소수 분리되었다. 3) Salmonella균종을 제외한 모든 균종에서 매년 증가되는 양상을 보이고, 병원내 감염균으로 간주되는 Serratia, Acinetobacter균종이 1984년의 6.35%에서 1987년에는 17.7%롤 증가되었다. 4) Aeromonas hydrophilia는 6~10월에 높은 분리율을 나타애고, Salmonella typhi는 1월과, 5월에서 8월사이, Salmonella paratyphi A는 1월과 6월에서 9월사이에서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다. 대개 모든 균종에서 여름철에 분리율이 높았다. 5) 분리균종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Staphylococcus aureus와 장내세균에서는 기본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나타낸 반면, 포도당 비발효 균종은 약 32%에서 기본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원성 감염의 주요 원인균은 Serratia, Acinetobacter, Pseudomonas, Enterobacter균종에서는 항생제의 내성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 PDF

패류중의 저온성 대장균군 및 세균 Flora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SYCHROTROPHIC COLIFORM AND BACTERIAL FLORA IN SHELLFISH)

  • 신석우;강성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26
    • /
    • 1979
  • 패류에서 저온성 대장균군의 위생학적 의의 및 패류의 위상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1978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참굴, 바지락, 홍합, 고막을 시료로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균수의 범위는 생균수가 $1.3\times10^3-2.5\times10^6/g$, 대장균군이 $>\~5.5\times10^2/g$, E. coli MPN이 $2\~9$. $2\times10^2/100g$으로 생균수는 4월에서 10월사이에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패류의 위생학적 기준치를 초과하였고 E. coli 최확수도 7검체에서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장균군 373균주중 298균주가 분류동정되었고 이 가운데서 E. coli 1이 138균주$(46\%)$, K. aerogenes 1이 71균주$(46\%)$였다. 3. $5^{\circ}C$에서 발육가능한 저온성 대장균군은 분리균 373균주중에서 186균주로 $50\%$였다. 4. 세균 flora는 분리균 453균주 가운데서 Vibrio가 240균주$(53\%)$, Pseudomonas가 91균주$(20\%)$로 이들 2균속이 우세한 세균류를 구성하고 있었다. 5. 세균류의 계절적 변동은 Vibrio가 5월에서 10월사이 분포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Moraxella 동계아만 검출되었으며 그 외의 균속은 큰 변동이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1977년도 문교부 학술연구 조성비에 의한 것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