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s

검색결과 2,236건 처리시간 0.023초

콩나물버섯과 미기록종 Mitrula paludosa (습지등불버섯 : 신칭)의 보고 (Note on the New Record of Mitrula paludosa (Geoglossaceae) in Korea)

  • 박용우;구창덕;홍대의;김태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4-10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미기록종인 자낭균 콩나물버섯과 (Geoglossaccae)의 Mitrula paludosa Fr.에 대하여 속명(모자버섯속)과 종명(습지등불버섯)의 한국명을 부여하고, 이 버섯의 내외부 형태, 서식지, 발생시기 등 생태적 특징을 보고 하는 것이다. 습지등불버섯은 속리산국립공원의 얕은 계류의 소나무 낙엽에서 5월${\sim}$6월에 발생하였다. 이 버섯은 자실체 크기가 20-50 mm으로, 갓은 밝은 노랑${\sim}$주황색이고 주름이 진 원통형 내지 구형이다. 갓의 길이는 $10\;{\times}10{\sim}20 $ mm정도며 매끄럽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버섯의 대는 흰색으로 $2{\sim}3\;{\times}\;5{\sim}10$ mm 원통모양으로 갓과는 뚜렷하게 구분된다. 자낭은 무색이며 단막이고, 크기는 $90{\sim}110\;{\times}\;5{\sim}6{\mu}m$ 였다. 자낭의 측면에 배열하는 측사는 $95{\sim}120\;{\times}\;1.0-1.5{\mu}m$으로 무색의 바늘형이고, 4-5개의 격벽을 지니고 있고, 자낭보다 $5{\sim}10{\mu}m$ 정도 길었다. 자낭 안에는 무색인 8개의 포자가 머릿구멍이 없는 자낭 끝을 향하여 비스듬히 기울여져 있었다. 자낭포자는 크기가 $13-17{\mu}m\;{\times}\;2.5-3{\mu}m$로 길고 좁은 오이모양의 타원형${\sim}$방추형이었다.

전달매트릭스법 및 유한요소-전달매트릭스 결합방법에 의한 구조계의 동특성 감도해석 (Sensitivity Analysis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Systems by the Transfer Matrix Method and the Combined Finite Element-Transfer Matrix Method)

  • 조대승;김극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143-157
    • /
    • 1992
  • 공진회피설계, 진동응답 크기 및 진동부가응력의 허용치 설계관점에서의 최적설계를 위해 사전에 지정된 동특성을 갖는 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초기설계된 구조물의 설계변경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초기설계에 대한 해석과 동시에 기준계(base system) 설계변수 변경에 따른 동특성 및 응답변화량을 계산하는 감도해석방법을 적용하면 효율적인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산화 모델링에 의한 구조계의 동특성 해석에 있어서 전달 매트릭스법(TMM) 및 유한요소-전달매트릭스 결합방법(FETMM)으로 해석가능한 구조계에 대해서는 이 방법들을 적용하는 것이 유한요소법보다 매우 효율적임은 잘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동특성 감도해석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이 유한요소법의 사용을 전제로 하고 있고, TMM 및 FETMM에 의한 동특성 감도해석 연구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TMM 및 FETMM에 의한 구조계의 동특성 감도해석방법을 제시하고, 중간구속조건을 갖는 양단 탄성지지보-기둥과 부가계를 갖는 보강판을 예로 해서 수치 실험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강도해석방법의 타당성과 효율성은 물론 최적 동특성 구조물을 추구하는 재설계 과정에 감도해석 결과를 이용하는 방법이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양파 간이저장시 통풍조건 및 통풍구 재료의 크기가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ntilation Condition and Ventilating Hole Sizes to Improve Quality Onion(Allium cepu. L) under Room Temperature)

  • 이찬중;김희대;정은호;김우일;서전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56-361
    • /
    • 2001
  • 양파 간이저장시 노지야적에 의해 발생하는 부패를 감소시켜 망과의 안전저장을 위하여 조립식 간이하우스를 이용하여 통풍조건 및 통풍구 재료의 크기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온도는 노지야적에 비해 강제통풍에서 0.3~3.6$^{\circ}C$높았고, 무통풍에 비해서는 1.4~8.2$^{\circ}C$가 낮았다. 그러나 처리간 유의차는 없었다. 상대습도는 통풍처리구에서 무통풍 및 노지야적에 비해 약간 높았다. 구중감소율은 노지야적에서는 2.5%, 무통풍에서는 2.9%, 자연통풍 2단에서는 3%, 강제통풍 2단에서는 4.3%였다. 8월 하순까지의 부패율은 자연통풍 2단 27.7%, 강제통풍 2단 25.4%,인데 비해 무통풍 34.6%, 노지야적 37.8%로 통풍처리구에서 부패가 적었다. 통붕구 재료의 크기가 클수록 평균기온은 조금 낮았고, 상대습도는 7월에 조금 높은 경향을 보이다가 8월 이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통풍 파이프 표면의 풍속은 통풍구의 크기가 작을수록 강했으며, 부위별로는 중간부위가 양끝쪽보다 낮았다. 부패율은 75mm통풍구 17.9%, 100mm통풍구 15.3%, 125mm통풍구 14.1%로 통풍구 크기가 클수록 부패는 적었다.

  • PDF

초음파기구의 치근단 역충전와동형성 효율 및 치질에의 영향 (EFFICIENCY OF ULTRASONIC ROOT-END RETROGRADE CAVITY PREPARATION AND ITS INFLUENCE ON TOOTH STRUCTURE)

  • 이재환;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2호
    • /
    • pp.546-559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치근단 역충전와동을 형성하는 경우 와동형성의 효율과 치질의 균열 발생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발거된 상악 제 1 대구치 원심협측 치근 91개를 대상으로 치근단 3 mm를 치아의 장축에 직각되게 절단 제거한 다음 저속 round bur를 사용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제 1에서 제 10까지의 출력 각 단계의 stainless steeel 초음파 기구를 이용한 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치근단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고 각 치근단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stroke 수를 측정하였으며, 역충전와동 형성 전후의 치아 균열 발생을 fiberoptic을 이용한 입체현미경으로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초음파의 출력 단계가높을수록 역충전와동을 형성하는데 소요된 시간 및 stroke 수가 감소 하였으며 (p<0.001) 감소되는 양상은 선적 관계를 보였다 (p<0.001). 제7에서 제 10 단계까지의 고출력의 초음파 기구로 와동 형성한 군에서는 저속 round bur로 와동 형성한 군이나 제 1 단계에서 제 3 단계까지의 저출력 초음파 군, 제 4 단계에서 제 6 단계까지의 중출력 초음파 군에 비해 치아 균열의 발생 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p<0.01), 저속 round bur, 저출력의 초음파 기구 그리고 중출력의 초음파 기구로 형성한 군 사이에는 치아 균열의 발생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고출력의 초음파를 이용한 경우에, 와동형성전에 균열이 이미 존재했던 치아에서는 균열이 존재하지 않았던 치아에서보다 와동형성 후 균열이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p<0.001). 저출력의 초음파를 이용한 경우에, 초기 근단공의 크기가 작았던 경우가 근단공의 크기가 컸던 경우에 비해 와동형성 후 균열이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 (p<0.05).

  • PDF

소 유방염 유래 Staphylococcus aureus의 AFLP 지문분석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fingerprinting analysi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milk)

  • 김연수;김상균;황의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7-165
    • /
    • 2001
  •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technique is based on the polymorphism detection through selective PCR amplification of restriction fragments from digested genomic DNA and thus includes the procedures of the total DNA digestion by endonucleases, ligation of adapters to the ends of the fragments, and following the selective amplification of the restricted DNA fragments. This study were aimed to : (1) determine the genetic variability of S aureus strains, (2) estimate genetic diversity within and among these strains, (3) compar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se strains as genetic markers using AFLP techniques. Genomic DNA was digested with a particular combination of three restriction enzymes with specific recognition sites and the DNA fragments were ligated to restriction specific adapters and amplified using the selective primer combinations. In the S aureus strain, the number of scorable AFLP bands detected per each primer combination varied from 29 to 102, with an average of 61.59 using 27 primer combinations. A total of 1,663 markers were generated, 904 bands of which were polymorphic, showing a 33.48% level of polymorphism with these primer combinations. Among the primer combinations, E02/T02, E02/T03, E04/H02, E02/T01 and E04/H03 primer combinations showed a high level of polymorphism with 0.78, 0.76, 0.74, 0.71 and 0.70, respectively. But T03/H01, E01/T02 and E01/T03 primer combinations showed a low level of polymorphism with 0.38, 0.37 and 0.15, respectively, Therefore, the former primer combinations will be the most effective for AFLP analysis of S aureus. In SA1 sub-types the level of polymorphism of S aureus KCTC 1927 was similar to that of S aureus CU 01(0.825) and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rains such as S aureus CU 02 (0.715), S aureus KCTC 2199(0.625), S aureus KCTC 1916(0.607) and S aureus KCTC 1621 (0.553). In SA2 sub-types the level of polymorphism of S aureus CU 07 was similar to that of S aureus CU 08(0.935) and higher than those of both S aureus CU 04(0.883) and S aureus CU 05(0.883) and lower than those of S aureus CU 03(0.583). In SA3 subtypes the level of polymorphism of S aureus CU 11 was similar to that of S aureus CU 12(0.913) and lower than that of S aureus CU 15(0.623). The results proved that AFLP marker analysis of S aureus strain could be used to study the epidemiology of mastitis and in addition, common genotype in geographic region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vaccine or DNA marker for easy diagnosis of mastitis caused by S aureus infection.

  • PDF

오염총량관리제의 시공간적 미래 토지이용 변화분석을 위한 CLUE-S 모델의 적용 및 평가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CLUE-S Model for Spatio-Temporal Analysis of Future Land use Change in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 류지철;안기홍;한미덕;황하선;최재완;김용석;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8-42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land uses and to evaluate land-based pollutant loads in the future under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using CLUE-S model. For these ends, sensitive parameters of conversion elasticities in CLUE-S model were calibrated and these calibrated parameters of conversion elasticities, level II land cover map of year 2009, and 7 driving factors of land use changes were used in predicting future land uses in 2002 with two scenarios(Scenario 1: non area restriction, Scenario 2: area restriction). This projected land use map of 2020 was used to estimate land-based pollutant loads. It was expected that urban areas will increase in 2020 from both scenarios 1 and 2. In Scenario 1, urban areas are expected to increase within greenbelt areas and deforest would be expected. Under Scenario 2, these phenomena were not expected. Also the results of estimation of BOD and TP pollutant loads, the BOD difference between scenarios 1 and 2 was 719 kg/day in urban areas and TP difference was 17.60 kg/day in urban areas. As show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LUE-S model can be useful in future pollutant load estimations because of its capability of projecting future land uses considering various socio-economic driving factors and area-restriction factors, compared with conventionally used land use prediction model.

분리 메밀 단백질의 유화 및 기포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mulsifying and Foaming Properties of Buckwheat Protein Isolate)

  • 손경희;최희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51
    • /
    • 1993
  • Buckwheat protein isolate was tested for the effects of pH, addition of sodium chloride and heat treatment on solubility, emulsion capacities, emulsion stability, surface hydrophobicity, foam capacities and foam stability. The solubility of buckwheat protein isolate was affected by pH and showed the lowest value at pH 4.5, the isoelectric point of buckwheat protein isolate. The solubility significantly as the pH value reached closer to either ends of the pH, i.e., pH 1.0 and 11.0. The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solubility were as follows; at pH 2.0, the solubility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NaCl was added; at pH 4.5, it increased above 0.6 M; at pH 7.0 it increased; and at pH 9.0 it decreased. The solubility increased above $80^{\circ}C$, at all pH ranges. The emulsion capacity was the lowest at pH 4.5. I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pH approached higher acidic or alkalic regions. At pH 2.0, when NaCl was added, the emulsion capacity decreased, but it increased at pH 4.5 and showed the maximum value at pH 7.0 and 9.0 with 0.6 M and 0.8 M NaCl concentrations. Upon heating, the emulsion capacity decreased at acidic pH's but was maximised at pH 7.0 and 9.0 on $60^{\circ}C$ heat treatment. The emulsion stability was the lowest at pH 4.5 but increased with heat treatment. At acidic pH, the emulsion stabil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NaCl concentration but decreased at pH 7.0 and 9.0. Generally, at other pH ranges, the emulsion stabil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ed heating temperature. The surface hydrophobicity showed the highest value at pH 2.0 and the lowest value at pH 11.0. As NaCl concentrationed, the surface hydrophobicity decreased at acidic pH. The NaCl concentr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surface hydrophobicity at pH 7.0, 9.0 except for the highest value observed at 0.8 M and 0.4 M. At all pH ranges, the surface hydrophobicity was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foam capacity decreased, with increased in pH value. At acidic pH, the foam capacity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in NaCl concentration. The highest value was observed upon adding 0.2 M or 0.4 M NaCl at pH 7.0 and 9.0. Heat treatments of $60^{\circ}C$ and $40^{\circ}C$ showed the highest foam capacity values at pH 2.0 and 4.5, respectively. At pH 7.0 and 9.0, the foam capacity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in temperature. The foam st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different pH values. The addition of 0.4 M NaCl at pH 2.0, 7.0 and 9.0 showed the highest stability and the addition of 1.0 M at pH 4.5 showed the lowest. The higher the heating temperature, the lower the foam stability at pH 2.0 and 9.0. However, the foam stability increased at pH 4.5 and 7.0 before reaching $80^{\circ}C$.

  • PDF

영재에 대한 의무교육 제도의 교육법적 검토 (Discussion of Education Laws on Compulsory Education and its Limitations for the Gifted)

  • 박창언;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543-568
    • /
    • 2008
  •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에게 부과되어 있는 의무교육 제도의 이론과 관련 판례의 분석을 통해 향후 영재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 법과 제도의 정비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의무교육이 권리 사상으로 발전해 왔으며 이를 보장하기 위한 법적 근거와 체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의 교육권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영재교육과 관련된 의무교육과 이의 법적 근거를 고찰하여 법적인 사항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재와 의무교육에 대한 논의를 행하였다. 여기서는 의무교육의 관점을 소개하고 이들 관점에 대해 영재교육에서 추구하여야 할 대상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의무교육에 대한 영재교육 관련 법률의 검토를 행하여 법적인 정비과정과 더불어 현실적 제약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판례의 경향성을 논의하였으며, 이들의 논거가 어떠한 것인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논의 결과, 영재교육에서 연령주의를 채택하는 의무교육 제도는 실질적으로 영재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제약하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판례는 주로 행정법적 조리에 의한 접근을 행함으로써 교육적 논리 정립에 따른 성과가 더 많이 구축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Poly A tail이 없는 SV 40 spliced RNA의 구조 및 핵내 축적의 원인 (The Structure and The Reason for Nuclear Accumulation of Poly A(-) Spliced SV40 RNA)

  • 박주상;노정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
    • /
    • 1989
  • SV40 바이러스가 원숭이 세포(CVIP)에 감염한 후기에 생기는 poly A(-) 19S RNA의 5'끝과 splicing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primer extension 및 그 변형방법을 행하였다. 이 RNA의 5' 끝은 SV40 후가 RNA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cap 자리 인 잔기 325 위치임이 밝혀졌다. 또한 splicing 유형도 세포질의 polyA(+)인 19S RNA와 같은 잔기 373에서 잔기 5581까지의 intron이 제거된 형태이었다. Sl 뉴클리아제에 의한 분석결과 이 RNA의 3' 끝은 polyadenylation 위치로부터 상위로 약11kb에 걸쳐 다양하게 존재함을 알았다. 정상적인 cap 자리와 splicing 형태를 지닌 이 RNA가 왜 핵에 축적되는지의 이유를 조사하였다. 이 RNA상에 사용되지 못한채로 남아있는 3' splice 부위가 핵내 편재를 유발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3' splice 부위를 결손시킨 돌연변이 SV 40 pNA를 세포에 도입시켰다.. 그 결과 3'splice 자리가 없는 RNA는 세포질에 많이 축적됨을 관찰하였다. 이 결손 RNA의 세포질내 축적은 결손으로 인해 RNA의 안정성이 증가함으로써 비롯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actinomycin D 추적실험을 통해 밝혔다. 따라서 정상적인 19S spliced RNA가 세포질로 이동되는 과정을 방해하는 것은 사용되지 않은 3' splice 부위에 형성된 pre-splicing 복합체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안드로이드 앱 변조 방지를 위한 APK 덮어쓰기 기법 (An APK Overwrite Scheme for Preventing Modification of Android Applications)

  • 최병하;심형준;이찬희;조상욱;조성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5호
    • /
    • pp.309-316
    • /
    • 2014
  • 안드로이드 앱(Android app, APK)을 역공학하여 디컴파일된 소스 코드를 획득하는 것이 용이하다. 공격자는 디컴파일된 소스코드를 불법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얻거나 악성코드를 삽입하여 앱을 변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역공학 방지 방법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앱에 대한 불법 변조를 방지하는 APK 덮어쓰기 기법을 제안한다. 연구 대상은 임의 프로그래머에 의해 작성된 앱들이다. '대상 앱'(원본 앱)에 대해, 서버 시스템은 (1) 대상 앱의 복사본 생성, (2) 그 대상 앱을 암호화, (3) 복사본의 DEX (Dalvik Executable) 부분을 스텁(stub) DEX로 교체하여 스텁 앱 생성, (4) 암호화된 대상 앱 및 스텁 앱을 배포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암호화된 대상 앱 및 스텁 앱을 다운받는다. 스텁 앱이 스마트폰에서 실행될 때마다, 스텁 앱은 런처(launcher) 앱과 협력하여 암호화된 대상 앱을 복호화한 후 자신을 덮어쓰게 하여 원본 대상 앱이 실행되게 한다. 실행이 끝나면 복호화된 앱은 삭제된다. 제안 기법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여러 대중적인 앱들로 실험하여 보았다. 실험 결과, 제안 기법이 안드로이드 앱에 대해 역공학 및 변조 공격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