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sulfan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9초

Zerovalent Iron에 의한 유기염소계 살충제 Endosulfan의 탈염소화 (Dechlorination of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 by Zerovalent Iron)

  • 신현수;김택겸;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2-208
    • /
    • 2009
  • 유기염소계 살충제 endosulfan과 이의 토양 중 주 분해산물인 endosulfan sulfate의 ZVI에 의한 분해정도와 분해산물을 조사하였다. ZVI처리에 의해서 수용액내에서 endosulfan과 endosulfan sulfate는 pH가 낮을수록 분해율이 높았으며 pH 3.0에서 ${\alpha}$-endosulfan은 28%, endosulfan sulfate는 90%정도 분해되었고 acetone/water(50/50, v/v) 용액에서는 ${\alpha}$-endosulfan은 65%, endosulfan sulfate는 92%정도 분해되었다. ZVI에 의해 ${\alpha}$-endosulfan 및 endosulfan sulfate는 분해되어 2개의 미확인 물질을 생성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속도와 반감기를 비교해 보면 endosulfan sulfate가 ${\alpha}$-endosulfan에 비해 빠르게 분해되는 양상을 보였다. ZVI의 처리에 인해 ${\alpha}$-endosulfan과 endosulfan sulfate에서 생성된 2개의 미확인 물질은 GC-MS로 분석한 결과, 하나의 $Cl^-$$H^+$로 치환된 구조이성질체로 나타났다.

생쥐에서 Cytochrome P-450 효소계에 의한 ${\alpha}$-Endosulfan의 시험관내 대사시험 (in Vitro Metabolism Study of ${\alpha}$-Endosulfan with Microsomal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

  • 김인선;이강봉;심재한;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63-467
    • /
    • 1995
  • 생쥐(Balb/C) 간과 신장의 microsomal cytochrome P-450 효소계에 의한 ${\alpha}$-endosulfan의 시험관내 대사시험을 수행하였다. ${\alpha}$-Endosulfan은 endosulfan lactone(EL), endosulfan hydroxyether(EHE), endosulfan alcohol(EA), endosulfan sulfate(ES), endosulfan ether(EE) 그리고 ${\beta}$-endosulfan(${\beta}$-E) 등으로 대사되었으며 주요 대사산물은 간에서 EL(13.2%) 및 EA(11.5%)이었으며 신장에서 EA(17.4%) 및 EHE(19.3%)이었다. Microsome 배양액중 유기용매 추출성 대사산물은 63.4%이었으며 수용성 대사산물은 37.1%이었다. 수용성 대사산물은 EA(83.9%), EHE(4.5%) 그리고 ES(2.3%)로서 주요 수용성 대사산물은 EA이었다. Piperonyl butoxide는 ${\alpha}$-endosulfan으로부터 EE의 생성을 86%, EA의 생성을 92% 그리고 EHE, EL 및 ES의 생성을 대부분 저해하였다.

  • PDF

갯벌에서 분리한 유기염소계 살충제 Endosulfan 분해 세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Degrading Bacterium Isolated from Seaside Sediment)

  • 박미은;김영목;정용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07-215
    • /
    • 2011
  • An endosulfan degrading bacterial strain, K-1321, was isolated by endosulfan-enrichment culture from a seaside sediment collected at Dadaepo Beach, Busan, Korea.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a Serratia sp. based on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16S rDNA homology analyses. Serratia sp. K-1321 was able to completely degrade 50 ppm endosulfan in culture media and soil within 6 weeks at $25^{\circ}C$. GC/MS analysis revealed that endosulfan diol was an intermediate of the bacterial endosulfan degradation.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Serratia sp. K-1321 utilized endosulfan as a carbon source and metabolized endosulfan via a less toxic pathway, such as the formation of endosulfan diol as an intermediate.

In vivo 시험에 의한 잉어(cyprinus carpio L.)체내 endosulfan의 대사 (In vivo Metabolism of Endosulfan in Carp (cyprinus carpio L.))

  • 이강봉;심재한;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194-202
    • /
    • 1994
  • $^{14}C-{\alpha}-endosulfan$을 공시어인 잉어(Cyprinus carpio L.)에 대해서 $LC_{10}$ 농도$(4.5\;{\mu}g/L)$로 처리하여 in vivo 대사과정을 추적한 결과 endosulfan은 처리 직후에 공시어에 빠르게 흡수되었다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잉어체내로부터 제거되었다. 잉어의 간과 신장, 소화관에서 발견된 endosulfan의 대사물질로는 EE(endosulfan ether), EA(endosulfan alcohol), EHE(endosulfan hydroxyether), EL(endosulfan lactone)이었으며 주된 대사물질은 EE와 EA이었다. 다만 식물체와 포유류 등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진 ES(endosulfan sulfate)는 공시어의 어느 조직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14}C-endosulfan$의 공시어 머리와 근육, 소화관에서의 흡수는 처리 8시간 후에 최대에 이르렀으나 간과 신장에서는 각각 처리 30분과 4시간 후에 최대의 흡수량을 보였다. 공시어의 모든 조직에서 방사능량은 처리 8시간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때 간, 신장, 소화관 조직에서 $^{14}C-endosulfan$의 회수율은 $80{\sim}90%$로 나타났다. 하지만 처리 8시간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추출되지 않은 방사능량이 증가$(27{\sim}31%)$되었으며 8시간을 중심으로 수용성 물질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 PDF

미세조류를 이용한 유기염소계 농약 Endosulfan 및 Endosulfan 분해산물의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Organochloride Pesticide, Endosulfan and its Metabolites Using Microalgae)

  • 손호용;금은주;김종식;이중복;권기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7-362
    • /
    • 2006
  • A growth inhibition assay using Chlorella sp. AG 10002 based on the OECD 201 standard test procedure was applied to the toxicity testing of endosulfan and its reported metabolites. Comparison of dry cell weight, optical density (OD) at 680 nm,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dicated that optical density at 680 nm of culture broth is convenient, rapid, and accurate method for cell growth. In this microalgae system, the $IC_{50}$ values of endosulfan, endosulfan sulfate, endosulfan lactone, and endosulfan ether were determined as 9.45, 18.8, 18.2 and 37.5 mg/L, respectively. In a while, endosulfan diol did not show a significant toxicity up to 50 mg/L. Since endosulfan is liable at acidic or alkaline conditions, treatment of endosulfan in pH 3, 4, and 11 for 3 days resulted in reduced toxicity, as expec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icroalgae system is useful to evaluate various toxic chemicals and provide a new notion for bioremediation of endosulfan in aqueous systems.

생쥐 체내에서 $^{14}C-{\alpha}-Endosulfan$의 대사 (Metabolism of $^{14}C-{\alpha}-Endosulfan$ in Mouse in vivo)

  • 김인선;이강봉;심재한;서용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0-76
    • /
    • 1996
  • 생쥐 체내에서 $^{14}C-{\alpha}-Endosulfan$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등의 동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약제를 7.5mg $kg^{-1}$ 수준으로 복강주사 처리하여 수행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약제처리 후 4 일 이내에 처리 방사능의 63.9%가 소변을 통해 배설되었고, 그 후부터는 배설율이 일정하였다. 2. 약제처리 후 각 조직별 방사능의 분포는 처리 30분 이내에는 심장에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2시간에는 간과 신장에서 그 분포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분포율은 점점 감소하였다. 3. $^{14}C-{\alpha}-endosulfan$은 생쥐 체내에서 ${\beta}-endosulfan({\beta}-E)$, endosulfan ether(EE), endosulfan sulfate(ES), 그리고 endosulfan alcohol(EA)로 대사되었으며 주요 대사산물은 간에서 EA(13.25%) 그리고 신장에서는 EHE(19.37%)였다. 4. 소변중에 배설된 대사산물로는 EA(43.21%), ES(4.78%), ${\beta}-E$(7.21%), EE(3.72%), EHE(18.04%) 등이었다.

  • PDF

토양유기물 함량이 인삼근의 endosulfan 흡수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 on plant uptake factor of ginseng for endosulfan)

  • 오경열;최근형;배지연;이득영;이성우;김진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401-40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경작지 포장 조사를 통한 인삼근의 endosulfan 흡수이행성(PUF)을 산출하고, 토양 유기물 함량과 endosulfan에 대한 인삼근의 PUF에 관한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Endosulfan 흡수이행 시험포장의 총 endosulfan 잔류량은 0.013-0.136 mg kg-1이었다. Endosulfan에 대한 인삼근의 PUF는 0.243-1.708로 인삼근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대생장에 의한 PUF값 감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토양 유기물 함량과 endosulfan에 대한 인삼근의 PUF값은 5% 유의수준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2=0.6102). 따라서, endosulfan 오염 우려지역에서의 인삼경작을 위해서는 가급적 높은 토양유기물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endosulfan의 흡수이행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endosulfan의 면역독성 저감 (Radiation-induced Degradation and Immune Toxicity Reduction of Endosulfan)

  • 김현주;김태훈;함준상;김기혁;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51-454
    • /
    • 2012
  • Endosulfan is an organochlorine pesticide that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world for higher agricultural production. Its extreme toxicity, however, has caused health and environment concerns that have led to an interest in detoxification. In this study, the radiolytic degradation of endosulfan was investigated. Endosulfan in methanol solution (100 ppm) was irradiated at 0, 10, 30, and 50 kGy, and subsequent changes in immune toxicity and degradation of endosulfan were observed. The concentration of endosulfan that was used in this experiment did not affect the cell proliferation. The irradiation of endosulfan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O, indicating a decrease in the immune toxicity of endosulfan by irradiation. The concentration of endosulfa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irradi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suggest that gamma irradiation can degrade endosulfan and can reduce its immune toxicity.

In vivo 시험에 의한 잉어체내 $^{14}C-endosulfan$의 대사 (In vivo Metabolism of Endosulfan in Carp (Cyprinus carpio))

  • 이강봉;심재한;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203-209
    • /
    • 1994
  • $^{14}C-{\alpha}-endosulfan$(100 nM, $41\;{\mu}g$)을 공시어의 각 조직(간, 신장, 소화관) 추출액에 처리하여 대사물질의 생성과 이에 미치는 cofactor의 영향을 시험관내 반응으로 비교한 결과, 105,000 g soluble fraction에서 phase I system에 해당되는 cofactor의 첨가시 공시어의 간 조직에서 가장 높은 대사물질 생성율을 보였고 phase II system에서는 NADPH를 cofactor로 첨가하였을 때 간과 신장조직에서 높은 대사물질 생성율을 보였다. 하지만 소화관 조직에서는 GSH 단독처리나 GSH+NADPH의 혼합처리시 높은 대사물질 생성율을 보였다. 또한 microsomal fraction에서는 phase I system에 해당되는 cofactor의 첨가시 공시어의 소화관 조직에서, phase II system의 경우 NADPH 단독처리나 NADPH+GSH 혼합처리시 대사물질의 생성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공시어의 간과 신장에서는 MFO에 의한 대사작용이, 소화관에서는 GST에 의한 대사작용이 활발하다고 할 수 있었다. 공시어의 각 조직에서 높은 생성율을 보인 대사물질은 EA(endosulfan alcohol), EE(endosulfan ether), EHE(endosulfan hydroxyether)이었으며 in vivo 시험에서와 마찬가지로 endosulfan sulfate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alpha}-endosulfan$은 잉어체내에서 ${\beta}-endosulfan$으로 이성화되었다가 EA로 가수분해되거나 직접 EA로 가수분해되어 다시 EE나 EHE로 산화되며 EHE는 EL(endosulfan lactone)로 산화되는 것으로 제안할 수 있었다.

  • PDF

Biominerlization and Possible Endosulfan Degradation Pathway Adapted by Aspergillus niger

  • Bhalerao, Tejomyee 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1호
    • /
    • pp.1610-1616
    • /
    • 2013
  • Endosulfan is a chlorinated pesticide; its persistence in the environment and toxic effects on biota are demanding its removal.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the tolerance of the previously isolated fungus Aspergillus niger (A. niger) ARIFCC 1053 to endosulfan. Released chloride, dehalogenase activity, and released proteins were estimated along with analysis of endosulfan degradation and pathway identification. The culture could tolerate 1,000 mg/ml of technical grade endosulfan. Complete disappearance of endosulfan was seen after 168 h of incubation. The degradation study could easily be correlated with increase in released chlorides, dehalogenase activity and protein released. Comparative infrared spectral analysis suggested that the molecule of endosulfan was degraded efficiently by A. niger ARIFCC 1053. Obtained mass ion values by GC-MS suggested a hypothetical pathway during endosulfan degradation by A. niger ARIFCC 1053. All these results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bioremediation strategies to remediate the pollutant under study in th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