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sulfan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6초

수생식물을 이용한 엔도설판(${\alpha},\;{\beta}$) 및 페니트로치온의 제거 (Phytoremediation of the pesticides, endosulfan (${\alpha}$ and ${\beta}$) and fenitrothion, using aquatic plants)

  • 김종향;이방희;허종수;이근선;고성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9-256
    • /
    • 2010
  • A phytoremediation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ee if some known aquatic plants can remove the pesticides, endosulfan-${\alpha},\;{\beta}$ and fenitrothion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crop protection and golf course management, and are likely to exist as residual pollutants in the aquatic ecosystems. Among the five aquatic plants tested in the microcosms, water lily Nymphaea tetragona Georgi showed the highest degradation efficacies (85~95%) for the three pesticides as opposed to the control(13~26%). The efficacies for the other plants were in the range of 46~80% in the order of Pistia stratiotes, Cyperus helferi, Eichhornia crassipes, and Iris pseudoacorus. Fenitrothion, an organo-phosphorus pesticide, was much more vulnerable to the phytoremediation than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endosulfan-${\alpha}$ and endosulfan-${\beta}$. The kinetic rate constants ($min^{-1}$) for removal of the three pesticides were more than 10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non-planting) in case of Nymphaea tetragona Georgi. This aquatic plant showed kinetic rate constants about 2 times as much as the lower kinetic rate constants shown by Iris pseudoacorus. The reason for the highest degradation efficacy of water lily would be that the plant can live in the sediment and possess roots and broad leaves which could absorb or accumulate and degrade more pollutants in association with microb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me of the selected aquatic plants planted near the agricultural lands and wetlands could contribute to remediation of pesticides present in these places, and could be applicable to protection of the aquatic ecosystems.

연안(沿岸) 패류(貝類) 서식지(棲息地) 저니토중(底泥土中)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the Mud Flat)

  • 서용택;임건재;심재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8
    • /
    • 1986
  • 주요(主要) 패류(貝類) 서식지중(棲息地中) 서남해안(西南海岸) 4개지역(個地域)을 선정(選定), 1983년 8월부터 10월에 걸쳐 저니토(底泥土) 시료(試料)118점(點)을 채취(採取),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량(殘留量)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alpha}-BHC,\;{\gamma}-BHC$와 PCNB, heptachlor, ${\alpha}-endosulfan,\;{\beta}-endosulfan,$ p, p'-DDE, dieldrin, o, p'-DDT 및 p, p'-DDT 등(等)이 M$2{\sim}98%$의 검출빈도(檢出頻度)를 보였고 그 평균잔류수준(平均殘留水準)은 ${\gamma}-BHC$$PCNB>{\alpha}-BHC>heptachlor{\approx}{\alpha}-endosulfan{\approx}\;p,\; p'-DDE{\approx}dieldrin{\approx}{\beta}-endosulfan{\approx}\;o,\;p'-DDT{\approx}\;p,\;p'-DDT$순(順)으로 $trace{\sim}0.04ppm$범위(範圍)였다. 지역별(地域別) 총잔류량(總殘留量)의 평균(平均)은 강진(康津), 광양(光陽), 여천(麗川) 및 영광(靈光)이 각각(各各) 0.058, 0.080, 0.016 및 0.075ppm이었다. DC-200 column을 사용(使用)하여 ${\gamma}-BHC$와 PCNB의 peak를 분리(分離)하였고 PCNB는 이를 환원(還元) 유도체(誘導體)인 PCA로 만들어 동정(同定)함으로써 공시시료중(供試試料中) PCNB가 잔류(殘留)됨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유기염소계 살충제 엔도설판이 토양세균 군집에 미치는 영향 평가 (Effect of an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 on Soil Bacteria Community as Evaluated by 16S rRNA Gene Analysis)

  • 안재형;박인철;김완규;한병학;유재홍
    • 농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2017
  • 유기염소계 살충제 엔도설판은 2012년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인도와 중국을 비롯한 국가들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잔류성과 이동성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에서 검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엔도설판이 토양세균의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16S rRNA 유전자 파이로시퀀싱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엔도설판을 100 mg/kg의 수준으로 밭토양에 처리했을 때 세균의 Operational taxonomic unit (OTU) 수와 다양성 지수가 감소했다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Proteobacteria와 Verrucomicrobia 문의 점유율은 증가하고 Chloroflexi와 Spirochaetes 문의 점유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엔도설판 처리가 토양세균 군집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엔도설판 처리 시 Sphingomonas와 Burkholderia 속에 속하는 OTU의 점유율이 배양 초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Pseudonocardia와 Opitutus 속에 속하는 OTU의 점유율은 배양 후기에 높게 나타났다. 이전 연구에서 Sphingomonas, Burkholderia, Pseudonocardia 속에 속하는 균주들이 엔도설판을 분해하였으므로 이 속에 속하는 OTU들이 토양에서 엔도설판의 분해에 단계적으로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HepG2 인간 세포주, Lumbricus rubellus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내분비교란물질의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Using Human HepG2 Cell Line, Lumbricus rubel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손호용;김홍주;금은주;조민섭;이중복;김종식;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19-924
    • /
    • 2006
  • 다양한 독성물질 및 이들의 대사산물의 효율적인 생물독성 평가시스템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분비계 교란물질인 endosulfan, bisphenol A, vinclozolin 및 3,5-dichloroaniline을 대상으로 인간 간암세포주, 지렁이, 효모를 이용한 세포독성 및 성장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인간 간암세포주 독성평가에서는 endosulfan, 3,5-dichloroaniline, bisphenol A의 순으로 독성이 나타났으며, 지렁이 독성평가에서는 endosulfan, bisphenol A, 3,5-dichloroaniline의 순으로 독성이 나타났다. 효모를 이용한 독성평가에서는 3,5-dichloroaniline, endosulfan, bisphenol A의 순으로 독성이 나타나 다른 시스템과는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vinclozolin의 경우 3가지 독성평가 시스템에서 모두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물질을 서로 다른 생물 독성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경우, 부분적인 오류가 나타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독성 유무 판단은 가능하더라도, 독성 정량평가 및 독성 정도를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결과는, 다양한 물질 및 이들의 대사산물의 일차적 독성평가에는 지렁이 및 효모시스템이 빠르고 경제적임을 암시하고 있으며, 독성이 인정될 경우 인간세포주 및 동물시험에 의한 검증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전국 농경지 토양 중 농약 잔류량 모니터링 및 연차별 변화 (Long-term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rable Soils in Korea)

  • 박병준;이병무;김찬섭;박경훈;박상원;권혜영;김진효;최근형;임성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3-292
    • /
    • 2013
  • 작물재배지 토양에서 농약잔류량의 연차별 변동량을 파악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6년까지 8년간 4년 1주기로 전국의 논,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 순으로 농경지 토양에 대하여 동일지점과 동일시기에 농약잔류분포와 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논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1999년도에 butachlor 등 14종 농약이 최고 0.25 mg $kg^{-1}$ 수준까지 검출되었고, 검출 빈도는 0~21.7%로 butachlor가 가장 높았다. 2003년에 논토양의 경우 7성분이 검출되어 0~36.0% 검출빈도를 나타냈고, 그 중 isoprothiolane과 oxadiazinon이 36.0과 33.3%로 가장 높은 검출 빈도를 나타냈다. 시설재배지에 대한 농약잔류는 2000년에 57종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65.3%로 토양살충제인 endosulfan과 살균제인 procymidone이 65.3과 50.0%로 높게 잔류되었다. 2004년에는 19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0~21.3%로 2000년에 비해 상당히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특히, endosulfan과 procymidone의 검출빈도는 각각 21.3과 9.3%로 2000년에 비해 낮게 검출되었다. 밭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2001년도에 25종 농약이 최고 2.24 mg $kg^{-1}$까지 검출되었고, 검출빈도는 0~53.5%이었으며 endosulfan과 pendimethalin이 각각 53.5과 18.2%로 높게 검출되었다. 2005년에는 2001년과 같이 검출된 성분의 수는 동일하였으나 endosulfan 성분의 검출빈도가 70.0%로 높게 나타났다. 2002년 과수원토양에 대한 농약잔류는 26종 농약이 검출되었고 endosulfan 성분이 최고 1.43 mg $kg^{-1}$ 수준까지 검출되었으며 검출빈도는 45.3%이었다. 2006년은 20종 농약성분이 검출되어 2002년보다 검출빈도가 낮았다. Endosulfan 성분은 2002년에 비해 5.3%로 낮게 검출되어 잔류분포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In-Situ Flushing기법이 Endosulfan으로 오염된 토양의 생물학적 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itu flushing on the Bi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Endosulfan)

  • 전민하;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2호
    • /
    • pp.39-47
    • /
    • 2001
  • 회분식 세척실험에서 적용된 혼합계면활성제 중 $POE_5$ + $POE_14$, SDS+$POE_5$가 endosulfan의 탈착에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성실험 결과 SDS+POE$_{5}$는 미생물의 활성을 다소 저해시키는 경향이 있어 $POE_5$ + $POE_14$ (1:1) 1%를 세척제로 선정하였다. In-Situ flushing 실험에서는 세척용액의 주입 flux가 1.5L/min/m$^2$일 때 67%의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보조용매로서 메탄올과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에는 각각 75%와 81%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In-situ flushing기법의 적용에 따른 농도 저감이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기 농도 13mg/kg dry soil과 3mg/kg dry soil인 토양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결과 제거 효율은 각각 86% 및 81%였으며, 2가지 토양 모두 24시간 이후에는 미생물에 의한 작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상에서 용액상으로의 물질전이 속도가 율속 단계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가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물질전이 속도가 향상되어 생분해가 지속적으로 일어났으며 초기 농도 3mg/kg dry soil인 경우 120시간이 경과한 후 89%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와 보조용매가 동시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순응기간이 보다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탄올과 에탄올의 경우 각각 84% 및 83%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무용매 고체 시료 주입기(SFSI)를 이용한 작물 중 잔류농약의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analytical method for pesticide residues in crops by using gas chromatograph / solvent free solid injector (GC / SFSI))

  • 김미라;이연;박병준;최주현;김인선;심재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7-242
    • /
    • 2005
  • SFSI (Solvent free solid injector)를 이용하여 추출과 정제과정이 필요없는 신속한 농약잔류분석법을 개발하고, 이 분석법의 실효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내분비계장애추정농약으로 알려진 endosulfan, metribuzin, trifluralin, 그리고 vinclozolin의 작물 중 잔류양상을 분석하였다. SFSI에 주입된 시료는 동결건조 후 사용하였으며, SFSI에서 시료의 충분한 기화를 위한 pre-heating time을 조사한 결과 endosulfan과 trifluralin은 1 분, metribuzin은 10 분, vinclozolin은 5 분이었다. 또한 농약들의 최소검출량은 endosulfan, metribuzin, trifluralin 그리고 vinclozolin에서 각각 0.05, 0.1, 0.05, 0.05 ng이었다. 분석대상농약의 작물별 회수율은 배추 중 endosulfan은 74%, 상추 중 metribuzin은 $98{\sim}107%$, 시금치 중 trifluralin은 $86{\sim}95%$, 그리고 고추 중 vinclozolin은 $94{\sim}95%$이었다. 현장시료에 적용해 본 결과 상추에서 metribuzin이 0.6 ng/m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한우 집단 폐사를 유발한 엔도설판 중독 사례 (Devastating endosulfan poisoning in Korean native cattle)

  • 이보람;이현경;이경현;윤순식;김미경;박중원;정선향;이명헌;배유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69-271
    • /
    • 2013
  • Here, we report the poisoning case of 10 cows. Several distinct clinical signs such as convulsion, excessive salivation, circling, lateral recumbency, and death were observed. Necropsy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abnormal findings. Moreover, no bacteria or viruses were detected in tissue, blood, and feeding food. However, endosulfan was detected from the stomach contents and microbials.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death of cows may be closely associated with endosulfan poisoning.

고정화 미생물을 이용한 세척유출수의 처리 (Treatment of Flushing Effluent Using Immobilized Cell)

  • 전민하;소정현;최상일;김인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20-22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endosulfan으로 오염된 토양을 in-situ flushing으로 정화시 발생되는 세척 유출수의 고정화 미생물에 의한 처리 효율 및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초기 endosulfan 농도 및 pH가 각각 5mg/L, 5.6인 세척유출수의 체류시간을 1, 3, 5시간으로 하여 고정화미생 물 충진 컬럼에 적용한 결과, 제거효율은 각각 62, 82, 89%로 체류시간이 증가될수록 향상되었으며 3가지 조건 모두 약 80시간 이후에 정상상태에 도달하였다. 체류시간 3시간에서 유입수내 endosulfan 농도를 50mg/L 및 100mg/L로 증가시킨 결과, 제거효율이 각각 70% 및 50% 부근까지 저하되었다. 유입수의 pH를 4.0과 9.0으로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각각 73%와 66%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pH 9.0보다 4.0에서 제거효율이 약간 높은 이유는 사용 배지의 pH가 약산성을 띠기 때문에 알칼리 상태보다 약산성에서 미생물의 활성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유출수를 재순환 시킨 결과 제거효율이 90%까지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재 순환되는 유출수의 농도 저감 및 고정화 미생물과의 재 접촉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입수에 공기를 주입한 결과, 유출수의 재순환 없이도 약 40시간 후에 93%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이는 미생물 활성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