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to-end performance

검색결과 4,069건 처리시간 0.043초

풍력 블레이드 모의 시편의 내부 결함 검출을 위한 이미지 상관법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Image-Correlation Technique for Detecting Internal Defects in Simulated Specimens of Wind Turbine Blades)

  • 홍경민;박락규
    • 한국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05-212
    • /
    • 2020
  • 풍력 터빈 시스템의 성능에서 블레이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하중에 의한 손상에 취약하며 유지 보수 비용도 많이 든다. 따라서 블레이드 제조를 완료한 후에 결함을 찾아내고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 블레이드 손상을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풍력 터빈 블레이드의 주재료인 유리섬유와 탄소섬유 패널에서 내부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블레이드 제조 또는 작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복합재료의 섬유 파단을 모사하기 위해 적층된 재료의 중간층에 직경 5 mm의 홀을 가공한 후에, 비접촉 측정 기술인 이미지 상관법(digital image correlation, DIC)을 사용하여 내부 결함을 검출하였다.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가공된 시편에 인장 하중을 가하면서 이미지 상관법 시스템으로 변화되는 시편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분석하였다. 유리섬유 복합재료 시편에서는 인장 하중 방향으로 5%의 변형률부터 내부 결함이 검출되었으며 탄소섬유의 경우에는 1%의 변형률부터 내부 결함이 검출되었다. 재료 특성에 따라 내부 결함 주변에 일정 수준의 변형률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결함이 검출됨을 이미지 상관법 시스템으로 증명하였다.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모바일 신문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A Mobile Newspaper Application Interface to Enh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 이승환;홍성호;고승희;최희연;황성수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12
    • /
    • 2016
  • 최근 TTS(Text-to-Speech)기능을 활용한 시각 장애인의 스마트폰 사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TTS기능은 어플리케이션 내부의 문자 정보를 음성정보로 전환하며, 어플리케이션 내 정보를 순차적으로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어플리케이션 내부의 버튼 및 콘텐츠의 배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 제안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특히 다양한 콘텐츠가 포함된 신문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TTS 사용 환경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전맹인 이외에도 저시력 장애인을 고려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시각장애인의 접근성과 요구를 반영한 모바일 신문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TTS 사용 환경을 고려한 버튼 배치 및 검색 기능 및 이미 읽은 기사 분류 기능을 통해 빠르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잘못 발음되는 단어를 필터링하고 버튼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저시력 장애인을 위해 글자 크기 확대, 화면 반전 기능 등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인터페이스가 일반 신문 어플리케이션 및 기존에 제안된 시각장애인용 인터페이스보다 기사 검색 속도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면에서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Use of Leucaena leucocephala and Gliricidia sepium as Nitrogen Sources in Supplementary Concentrates for Dairy Goats Offered Rhodes Grass Hay

  • Ondiek, J.O.;Tuitoek, J.K.;Abdulrazak, S.A.;Bareeba, F.B.;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9호
    • /
    • pp.1249-1254
    • /
    • 2000
  • A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placement value of Leucaena leucocephala and Gliricidia sepium as nitrogen sources in commercial type supplements for dairy goats. Six crossbred $(Toggenburg{\times}Saanen)$ goats at late stage of lactation were alloca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in a double $3{\times}3$ Latin square design. The animals were offered rhodes grass (Chloris gayana) hay ad libitum and supplemented with either Leucaena-based concentrate (LBC), Gliricidia-based concentrate (GBC) or commercial based concentrate (CC). Voluntary food intake, milk yield and composition and changes in live weight were measured. The total dry matter (DM) intake was higher (p<0.05) in goats fed GBC than CC (1385 vs 1331 g/d). The DM intake for LBC (1343 g/d) was similar to CC (1331 g/d). The DM intake of hay was also higher (p<0.05) in goats fed GBC (834 g/d) than those receiving LBC or CC (789, 782 g/d, respectively). Animals supplemented with GBC recorded positive (11 g/d) weight gain while the other groups lost weight (13, 19 g/d) for LBC and CC respectively, although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composition of milk were: butterfat 58, 49 and 55 g/kg; crude protein 37.0, 35.4 and 36.1 g/kg; lactose 33, 29 and 30 g/kg; Ash 8.5, 8.5 and 7.9 g/kg and total solids 136.5, 121.9 and 129.0 g/kg, for goats fed LBC, GBC and CC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milk due to these dietary treatments. At the end of performance trial, a digestibility trial was conducted using 6 female goats allocated to the three treatments (LBC, GBC and CC) in an incomplete randomized block design and each goat received a different supplement in each of two successive period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utrient digestibility except for DM, which was higher (p<0.05) in CC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615, 622, 720 g/kg for LBC, GBC and CC, respectively). Economic analysis showed that CC diet was more expensive (0.20 US$/kg) and had a lower margin over supplementation (0.11 US$) compared to LBC and GBC (0.13 vs 0.12 US$/kg and 01.5 vs 0.12 US$, respectively). It is concluded that the Leucaena and Gliricidia could contribute as nitrogen sources in compounded diet supplements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production in dairy goats.

반밀폐된 ISO 9705 화재실에서 비정상 화재특성 예측을 위한 FDS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FDS for Predicting the Unsteady Fire Characteristics in a Semi-Closed ISO 9705 Room)

  • 문선여;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1-28
    • /
    • 2012
  • 비정상(unsteady) 화재성장이 발생되는 반밀폐된 구획에서 환기부족화재의 열 및 화학적 특성에 관한 FDS(Fire Dynamics Simulator)의 예측성능 평가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규모 ISO 9705 표준 화재실의 출입구 폭이 0.1 m로 축소되었으며, spray 노즐을 통해 Heptane 연료유량은 선형적으로 증가되었다. 수치계산에 대한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동일 조건에서 수행된 실험결과와의 상세한 비교가 이루어졌다. 적절한 격자계를 이용한 FDS의 결과는 구획 내부의 온도 및 열유속(heat flux)은 비교적 잘 예측하지만, 비정상 CO 및 $CO_2$ 생성특성은 적절히 예측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수행된 유사조건의 정상상태 환기부족 구획화재에 대한 FDS 예측결과와 상반된 것으로서, 반밀폐된 구획화재 모델링에서 FDS를 이용한 비정상 CO 생성특성 예측에 상당한 주위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사료 내 단백질과 지방 수준이 참돔(Pagrus major) 치어의 성장, 사료효율 및 비특이적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and Innate Immunity of Juvenile Red Seabream Pagrus major)

  • 김성삼;오대한;최세민;김강웅;김경덕;이봉주;한현섭;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08-313
    • /
    • 2015
  • A $3{\times}3$ factori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the growth, feed utilization and innate immunity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Nine diets consisting of three protein levels (42%, 46% and 50% crude protein) and three lipid levels (10%, 14% and 18% crude lipid) were formulated. Triplicate groups of red seabream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to apparent satiation (5-6 times a day, from 08:00 to 18:00 h at 2-h intervals) for 10 weeks.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th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of fish fed P46L14 (46% protein and 14% lipid), P50L10 (50% protein and 10% lipid) and P50L14 (50% protein and 14% lipid)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P42L18 (42% protein and 18% lipid). The feed conversion ratios (FCR) of the fish were affected by dietary lipid levels (P<0.039), but not dietary protein levels. The FCR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lipid levels from 10% to 18% with the 46% and 50% protein levels. The weight gain, protein efficiency ratio, specific growth rate, feed intake and survival of fish were not affected by either dietary protein or lipid levels. Myeloperoxidase activity in the group fed P50L14 (50% protein and 14% lipi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group fed P42L10 (42% protein and 10% lipid) or P50L18 (50% protein and 18% lipid). However, the myeloperoxidase activity of fish was not affected by either dietary protein or lipid level. The fish fed P46L14 (46% protein and 14% lipid) and P46L18 (46% protein and 18% lipi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than did the fish fed P46L10 (46% protein and 10% lipid), P50L10 (50% protein and 10% lipid) of P50L18 (50% protein and 18% lipid). In conclusion, the optimum protein and lipid levels for the growth and feed utilization of juvenile red seabream were 46% and 14%, respectively, and the optimum dietary protein to energy ratio was 27.4 g/MJ.

셰일가스정 천이유동 생산자료분석의 기술적 고려사항 (Technical Consideration for Production Data Analysis with Transient Flow Data on Shale Gas Well)

  • 한동권;권순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 수압파쇄와 수평시추가 적용된 셰일가스정에서 생산자료의 유동형태에 따라 적절한 분석 방법과 궁극가채량을 산출하는 기법을 결정하는 방법을 정리한 흐름도를 제안하였다. 또한 1차 천이유동만이 나타나는 현장자료에 대해 생산천이유동 분석을 수행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log-log 그래프와 시간제곱근 그래프 분석을 통해 생산자료의 유동 특성을 분류할 수 있고, 이 결과, 1차 천이유동만이 나타나는 생산자료는 이 유동이 종료되는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여 이 시점을 기준으로 생산성을 각각 예측하여야 한다. 이 시점은 미세탄성파 탐사자료 해석을 통해 균열자극부피의 면적을 계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공저압력자료나 미세탄성파 탐사자료가 없다면 셰일가스정에 적절한 경험적 방법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예측할 수 있다. 생산기간이 짧은 자료는 상대적으로 생산기간이 긴 인접 생산정의 자료를 활용하여 생산기간의 적절성을 평가한 후 필요하다면 생산초기 자료를 제외하고 분석하는 것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탄성파 탐사자료 해석에 의해 산출된 SRV는 분석방법이나 분석자의 주관에 의해 과대, 과소 평가될 수 있기 때문에 파쇄 단계, 파쇄유체 주입량, 생산성 분석을 통한 적절성평가를 수행하여 필요한 경우, 저류층 시뮬레이션, 균열모델링, 생산천이분석을 통해 재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전자 알고리즘에 기반한 자연언어 문장의 정량적 질 평가 방법 (A Quantative Evaluation Method of the Quality of Natural Language Sentences based on Genetic Algorithm)

  • 양승현;김영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11호
    • /
    • pp.1372-138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자연언어 문장의 객관적 정량적인 질 측정 방법의 구축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문장 퇴고 시스템의 사례에 적용해 본다. 문장의 질을 평가한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주관적이고 정량화가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질의 객관적 계량화가 가능한지 여부가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진화적 접근 방법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질의 측정 공식을 유도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론의 핵심은 간단히 말해서 사람이 행하는 정성적인 판단을, 이에 가장 근접하는 정량적 측정 체계로 전환시키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것을 위해 정량화 문제를 문장의 단순 언어 특징들의 변화값을 이용한 최적화 문제로 환원시키고, 다시 이 최적화 문제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해 해결함으로써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보면, 본 논문에서 제시한 최적화 방법은 주어진 훈련용 예제와 검증용 예제 중 각각 99.84%, 99.88%를 만족시키는 해를 찾아내었으므로 정량적 질 평가 공식의 유도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출된 측정 공식을 이용해서 실제 퇴고 시스템 평가에 적용한 결과 문장 질의 측정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질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갖는 또 한가지 중요한 의미는 최종 사용자의 구매 의사나 개발자의 공학적 의사 결정을 위한 객관적 성능 평가 자료의 제공에 이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of building a quantitative measure of the quality of natural language sentences, particularly produced by document revision systems. Evaluating the quality of natural language sentences is intrinsically subjective, so what is most important as to the evaluation is whether the quality can be measured objectively. To solve such problem of objective measurability, genetic algorithm, an evolutionary learning method, is employed in this paper. The underlying standpoint of this approach is that building the quality measures is a task of constructing a formulae that produces as close results as can to the qualitative decisions made by humans. For doing this, the problem of measurability has been simply reduced to an optimization problem using the change of the values of simple linguistic parameters found in sentences, and the reduced problem has been solved effectively by the genetic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optimization task satisfied 99.84% and 99.88% of the given objectives for training and validation samples, respectively, which means the method is quite effective in constructing the quantitative measure of the quality of natural language sentences. The actual evaluation result of a revision system shows that the measure is useful to quantize the quality of sentences. Another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measure would be to provide an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data of natural language systems on a basis of which end-users and developers can make their decision to fit their own needs.

상용 부품 비정형 데이터와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부품 단종 예측 방안 연구 (Study on predicting the commercial parts discontinuance using unstructured data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박연경;이익도;이강택;김두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77-283
    • /
    • 2019
  •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부품의 개발 및 상용화는 가능 하였으나, 이에 따라 부품의 단종 주기는 단축 되었다. 이는 수천 품목 이상의 부품을 활용하여 개발하고, 장기간 운영하는 무기체계의 수리 부속 보급을 어렵게 하였으며, 무기체계 운용 가용도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등은 전담 기구를 만들어 대응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상용 부품단종 예측도구를 활용하여 단종을 예측하고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상용 부품단종 예측도구에서 단종 정보가 제시되지 않는 부품에 대한 대응 및 관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용 부품단종 예측도구에서 제공하는 부품에 대한 정형, 비정형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전처리 및 Embedding 과정을 거쳐, 신경망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용 부품에 대한 단종 정보 (LC Risk, YTEOL)를 예측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델의 예측 성능을 데이터 기술 통계량과 비교 평가 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결론에는 본 연구의 활용 방안과 한계점 및 발전 방향에 대하여 기술 하였다.

k-Nearest Neighbor와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에 의한 제재목 표면 옹이 종류의 화상 분류 (Visual Classification of Wood Knots Using k-Nearest Neighbor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Kim, Hyunbin;Kim, Mingyu;Park, Yonggun;Yang, Sang-Yun;Chung, Hyunwoo;Kwon, Ohkyung;Yeo, Hwanm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229-238
    • /
    • 2019
  • 목재의 결점은 생장과정에서 또는 가공 중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따라서 목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목재의 결점을 정확하게 분류하여 용도에 맞는 목재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사람에 의한 등급구분과 수종구분은 주관적 판단에 의해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목재 품질의 객관적 평가 및 목재 생산의 고속화를 위해서는 컴퓨터 비전을 활용한 화상분석 자동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IFT+k-NN 모델과 CNN 모델을 통해 옹이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하는 모델을 구현하고 그 정확성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섯 가지 국산 침엽수종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옹이 이미지 1,172개를 획득하여 학습 및 검증에 사용하였다. SIFT+k-NN 모델의 경우, SIFT 기술을 이용하여 옹이 이미지에서 특성을 추출한 뒤, k-NN을 이용하여 분류를 진행하였으며, 최대 60.53%의 정확도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이 때 k-index는 17이었다. CNN 모델의 경우, 8층의 convolution layer와 3층의 hidden layer로 구성되어있는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정확도의 최대값은 1205 epoch에서 88.09%로 나타나 SIFT+k-NN 모델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옹이의 종류별 이미지 개수 차이가 큰 경우, SIFT+k-NN 모델은 비율이 높은 옹이 종류로 편향되어 학습되는 결과를 보였지만, CNN 모델은 이미지 개수의 차이에도 편향이 심하지 않아 옹이 분류에 있어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NN 모델을 이용한 목재 옹이의 분류는 실용가능성에 있어 충분한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상환경과 DDPG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율 비행체의 소노부이 최적 배치 연구 (Research on Optimal Deployment of Sonobuoy for Autonomous Aerial Vehicles Using Virtual Environment and DDPG Algorithm)

  • 김종인;한민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2-16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대잠전의 필수 요소인 소노부이를 무인항공기가 최적의 배치로 투하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Unity 게임엔진을 통해 음향 탐지 성능 분포도를 모사한 환경을 구성하고 Unity ML-Agents를 활용해 직접 구성한 환경과 외부에서 Python으로 작성한 강화학습 알고리즘이 서로 통신을 주고받으며 학습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잘못된 행동이 누적되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방지하고 비행체가 목표지점으로 최단 시간에 비행함과 동시에 소노부이가 최대 탐지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강화학습을 도입하고. 심층 확정적 정책 그래디언트(Deep Deterministic Policy Gradient: DDP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소노부이의 최적 배치를 달성하였다. 학습 결과 에이전트가 해역을 비행하며 70개의 타겟 후보들 중 최적 배치를 달성하기 위한 지점들만을 통과하였고 탐지 영역을 확보한 모습을 보면 겹치는 영역 없이 최단 거리에 있는 지점을 따라 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최적 배치의 요건인 최단 시간, 최대 탐지 영역으로 소노부이를 배치하는 자율 비행체를 구현하였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