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 bearing capacity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8초

모형실험을 통한 말뚝지지력의 평가 및 치수효과의 비교분석 (Evaluation of Pile Bearing Capacity and Scale Effect Using Model Pile Test)

  • 이인모;이정학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9권4호
    • /
    • pp.37-44
    • /
    • 1993
  • 실내 모형실험을 통하여 모형말뚝 한계깊이의 확인과 기존 선단지지력의 이론식들을 실내모형실험의 선단지지력 실측치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말뚝의 직경차이에서 유발되는 지지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실내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지반을 균질한 모래로 조성한 경우와 국내의 현장조건에 가깝게 모형지반을 조성한 모래/풍화토층 경우로 나누어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치수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모형말뚝의 선단지지력은 모래지반의 경우 응력수 준이 높을 때 한계관입깊이 효과를 나타냈으며, 모래1풍화토층의 경우 한계관입깊이를 확연히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그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정적지지력 공식으로부터 얻어진 계산치 들은 모형실험에 의한 실측치부다 훨씬 큰 값으로 과대평가 하는 경향이 있었다. 직경크기에 따른 지지력의 차이인 치수효과는 모래지반의 경우 확인할 수 있었으나. 모래/풍화토층 지반의 경 추에는 오히려 큰 직경의 말뚝이 작은 직경의 말뚝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얻었다.

  • PDF

지지지반의 종류별 SDA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산정 (Estimation of End Bearing Capacity of SDA Augered Piles on Various Hearing Stratums)

  • 홍원표;채수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11-129
    • /
    • 2007
  • SDA매입말뚝의 지지성능이 잘 발휘될 수 있는 표준시공법에 대한 매뉴얼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전국 33개 현장에서 SDA매입공법으로 시공한265개 시험말뚝에 대하여 405회의 동재하시험과 30회의 정재하시험을 시행하였다. 말뚝재하시험 결과 SDA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은 지층의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여러 설계기준에 제시된 기존의 지지력 산정식으로 산정한 값과 차이가 있었다. 말뚝재하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지지지반의 종류별로 SDA매입말뚝의 단위선단지지력을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네 개의 식을 제안하였다. 토사층과 풍화암반에 지지되는 말뚝의 단위선단지지력은 표준관입시험의 N치와의 상관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기반암 위의 단위선단지지력은 1500 $tf/m^2$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안식을 기존의 표준시방서에 제시되어 매입말뚝설계에 적용되는 기존의 식들과 비교 고찰하였다. 이들 제안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표준관입시험의 정밀도를 높여야하며, 현장에서 시험시공과 재하시험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질토 지반에서 N값과 말뚝의 길이비가 지지력 분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 Value and Pile Length Ratio on Bearing Capacity Distribution of Cohesionless Soil)

  • 이광우;유승경;한중근;박정준;김기성;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65-7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말뚝이 사질토 지반에서 지지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계지지력 산정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제안식을 이용하여 말뚝의 길이비와 N값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Meyerhof 제안식은 전체 지지력에 있어서 선단지지력과 주면마찰력의 분담률은 동일하게 평가하고, 지지력 분담률은 길이비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NAVFAC DM-7 제안식은 말뚝의 길이가 주면마찰력과 선단지지력 모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선단지지력에 더욱 큰 영향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N값과 말뚝의 직경에 의한 영향보다는 말뚝 길이요소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FHWA의 제안식은 말뚝의 지지력 산정 시, 주면마찰력에 의한 영향요소를 다른 제안식에 비해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극한지지력 평가 시에 주면마찰력의 영향을 더 크게 반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트지반에 타입된 말뚝의 지지력 증가효과 (The Effect of Bearing Capacity Increasement for Driven Pile in Silt)

  • 여병철;오세욱;배우석;안병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9-26
    • /
    • 2003
  • 최근 연약지반상의 말뚝기초설계에 있어서 경시효과는 말뚝의 지지력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지력 증가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두 곳의 현장에서 13개의 말뚝에 대해, 항타시 EOID(초기 동재하시험)을 실시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 재항타시험을 수행하였다. 느슨한 실트지반에 H말뚝, 강관말뚝, PHC말뚝을 항타에 의해 설치하고 9일 후 재항타 한 결과 H말뚝, 강관말뚝의 경우 지지력이 증가된 반면, PHC말뚝은 지지력의 증가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후 재항타시험을 수행한 결과 단단한 실트지반의 경우 H말뚝과 강관말뚝은 지지력이 1.17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PHC말뚝의 경우 6일 후 수행한 제 1차 재항타시험에서는 지지력이 감소하였다가, 13일 후 수행한 3차 재항타시험에서는 지지력이 1.38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절리암반에 설치된 단말뚝기초의 선단지지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Investigation on End Bearing Capacity of Single Pile Installed in Fractured Rock Mass)

  • 김태중;유충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61-7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유한차분 해석을 이용하여 절리암반에 시공된 말뚝기초의 선단지지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암반의 절리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Hoek-Brown 항복규준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의 수치해석이 수행되었다. 넓은 범위의 절리상태를 고려하기 위하여 GSI를 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고 말뚝 직경, 암반의 일축압축강도, Hoek-Brown 상수 $m_0$의 매개변수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매개변수들의 변화에 따른 절리 암반에 설치된 말뚝기초의 선단지지력 변화 경향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매개변수 분석에 따른 선단지지력 결과를 도출하였다.

동재하시험에 의한 모래자갈층에 근입된 매입말뚝의 지지력 산정 (The Estimation of Bearing Capacity of Auger-drilled Pile in Sand-Gravel by Dynamic Load Test)

  • 최기철;문유호;오원근;천병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9-1826
    • /
    • 2007
  • This study results of performed field load test in order to estimate the best pile length assessment and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the pile foundation. End of initial driving(EOID) and restrike of pile dynamic loading tests were performed to calculate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the experimental pile side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estimated by theory. The results of allowable bearing capacity by EOID test is $1.08{\sim}1.21$ in the range of compared to the capacity calculated by the Structure Foundation Design Criterion. Allowable bearing Capacity by restrike of pile dynamic loading test is $1.32{\sim}1.48$ in the range of compared to the Structure Foundation Design Criterion. The Foundation Design Criterion underestimated the pile capacity. If the bearing capacity calculated by Structure Foundation Design Criterion is 100, EOID of pile dynamic loading test is 116, restrike of pile dynamic loading test is 138 for 20m pile used in this experimental.

  • PDF

강성도를 고려한 연약지반 표층처리공법 지지력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aring Capacity Evaluation Method of Surface Reinforcement Method for Soft Ground in Consideration of Stiffness)

  • 함태규;서세관;조삼덕;양기석;유승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118-1125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의 초연약지반에 적용 가능한 표층보강재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처리공법을 정립시키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표층처리공법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강성도를 고려한 지 지력산정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직포, 지오그리드, 강봉(대나무 대채재료)을 이용하여 광폭인장시험 및 보강재의 단부 구속조건을 완전구속, 부분구속(3종류)으로 한 21 종류의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Terzaghi의 지지력이론식은 직포와 지오그리드와 같은 연성보강재 사용시에는 지지력산정이 적절하나, 대나무 망과 같은 강성도가 큰 재료에 대해서는 강성도를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초연약지반 표층처리공법의 지지력산정방법을 Terzaghi 지지력이론식을 수정하여 강성도의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는 새로운 지지력이론식을 제안하였다.

  • PDF

지점부 부재의 부식손상에 따른 강거더 단부 지압강도 평가 (Evaluation on Bearing Capacity of End Girder Member with Local Corrosion)

  • 안진희;이원홍;김인태;정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74-82
    • /
    • 2017
  • 강교량은 유지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해안 과 같이 가설위치의 환경이 고온 다습한 경우 단면에 국부적인 부식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강거더 교량 의 지점부에서는 교대부와 강거더 단부의 공간이 협소하여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고 신축이음부로부터의 강우 및 동결 방지제가 누수되어 침전물을 습윤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복부판과 지점부 보강재에 집중적으로 부식이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로인한 구조성능 변화를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발생할 수 있는 강거더 단부 복부판과 보강재의 국부부식손상을 모사한 강재 실험체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단부 지압강도 변화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국부적 부식손상은 강거더 단부의 지압강도에 영향을 주며, 특히 수직 보강재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폐기물 매립지반에서의 PG Pile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G-Pile in waste landfill)

  • 천병식;최춘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9-426
    • /
    • 2000
  • Waste landfill consists of cover layer, glass, robber, sheet, food waste, etc and is in very loose state. So, the proper method must be applied to ground improvement of waste landfill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In this paper, analysis for field tests as static loading test, bearing capacity test were peformed. In result, PG pile method proved to be effective and economic, because it affected increase of end bearing capacity, the prevention of differential settlement and over 20% increase of density by expansion of pile.

  • PDF

폐기물 매립지반에서의 PG Pile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G-Pile in Waste Landfill)

  • 천병식;최춘식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9
    • /
    • 2000
  • Waste landfill consists of cover layer, glass, robber, sheet, food waste, etc and is in very loose state. So, the proper method must be applied to ground improvement of waste landfill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In this paper, analysis for field tests as static loading test, bearing capacity test were performed. In result, PG pile method proved to be effective and economic, because it affected increase of end bearing capacity, the prevention of differential settlement and over 20% increase of density by expansion of pi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