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on.

검색결과 1,994건 처리시간 0.092초

노간주나무 에탄올추출물의 지방 흡수 억제 및 지방분해 효능 (Anti-lipase and Lipolytic Activities of EtOH Extract from Juniperus rigida)

  • 이영섭;김정현;김효준;손은진;김찬식;정일하;조규형;김주환;김진숙
    • 생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6-220
    • /
    • 2010
  • Obesity is an important risk factor that significantly increases mortality and disease rates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and various diseases. So far, the most powerful way to inhibit fat absorption is pancreatic lipase inhibit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 of the extract of Juniperus rigida. Juniperus rigida extract (JRE) had a inhibitory effect on pancreatic lipase activity ($IC_{50}$=8.63 ${\mu}g$/ml). In in vivo oil-emulsion loading test, this extract also inhibited the intestinal fat absorption. In addition, we measured inhibitory effects of JRE on activity of phosphodiesterase (PDE) and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among the important enzymes associated with lipolysis. JRE strongly inhibited PDE activity ($IC_{50}$=4.56 ${\mu}g$/ml), whereas inhibitory effect on HSL activity was very weak compared with orlistat. As a result, JRE inhibited the absorption of fat by inhibiting the activity of pancreatic lipase and induced lipolysis through inhibition of PDE activity. Therefore, we suggest that Juniperus rigida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improving obesity.

토양구조개선제(土壤構造改善劑) 처리(處理)가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과 상추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me Soil Conditioners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Lettuce Growth)

  • 류인수;한정임;조인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9-255
    • /
    • 1995
  • 사토, 사양토, 양토, 식양토의 4개 토양에 Polyvinyalcohol(PVA), Polyacrylamide(PAM) 및 Bitumen을 분무처리하여 토양의 입단형성과 수분특성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한편, Pot 재배 시험을 통하여 PAM 처리가 상추의 발아율과 생육에 미친 효과를 검토하였다. 2mm 이상의 입단함량(粒團含量)은 Soil conditioner를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서 사토 0%, 사양토 45%, 양토 80%, 식양토 90%이었고 PVA, PAM 및 Bitumen의 처치에 의해서는 사도 20~52%, 사양토 55~76% 범위로 증가되었으나 양토와 식양토에서는 변화가 적었다. Soil conditioner 처리에 의해 내수성(耐水性) 입단(粒團)이 증가되었고 입단의 불안정성(不安定性)은 감소되었다. 토양(土壤)의 습윤각(濕潤角)은 PAV와 PAM 처리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Bitumen 처리에 의해서는 무처리토양과 비교하여 크게 높아져서 소수성이 증가되었다. 침수성과 흡수성은 Bitumen 처리에 의해 모든 토성에서 물의 이동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PVA와 PAM 처리에 의해서는 사토를 제외할 토성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PAM 처리에 의하여 상추의 발아율. 뿌리무게와 지상부 건물중이 무처리에 비해 크게 증가되고 그 효과는 사양토와 미사질양토에 비하여 사토에서 매우 컸는데 이는 PAM 처리에 의해 토양의 보수력과 기상비율이 함께 증가되어 상추생육을 촉진한 결과로 판단된다.

  • PDF

석류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 고종호;황명오;문주수;황성연;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1-17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석류씨의 물 추출물, 에탄을 추출물 및 석류씨 기름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석류씨의 물 추출물, 에탄을 추출물 및 석류씨 기름의 추출수율은 각각 28.9, 13.0 및 4.9%이었고 건조물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은 47 mg/g, 에탄을 추출물은 78 mg/g, 석류씨 기름은 40 mg/g이었다. 1000 ppm에서 이들 추출물들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18.8, 28.5 및 $9.7\%$이었다. 리놀레인산 기질에서의 항산화효과는 에탄을 추출물 > $\alpha-tocopherol$ > 물 추출물 > 석류씨 기름의 순이었고 리놀레인산 에멀젼 기질에서의 항산화효과는 $\alpha-tocopherol$ > 에탄을 추출물> 물 추출물> 석류씨 기름 순이었다. 항균효과의 경우, 석류씨 기름은 Micrococcus luteus,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서, 물추출물은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만 항균효과를 보였을 뿐,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에는 모든 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2,000 ppm 농도에서 물 추출물 $27.5\%$, 에탄올 추출물 $23.7\%$, 석류씨 기름 $39.6\%$이었고, SOD 유사활성은 1,000 ppm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 $15.9\%$ 에탄을 추출물 $34.9\%$, 석류씨 기름 $0.10\%$이었다.

Cellulose를 이용한 가식성(可食性) Film의 제조와 물리적 특성연구 (Preparation of Cellulose-Based Edible Film and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 송태희;김철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
    • /
    • 1996
  • Hydrocolloid film에 lipid 액을 입혀 제조한 film A와 hydrocolloid 용액에 beeswax의 함량과 용해 상태를 달리하여 제조한 film B와 C의 물리적 특성을 검토해 본 결과, 제조에 있어서는 film A보다 film B와 C의 제조가 용이하였다. 세가지 film의 두께는 0.03 mm 정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1-3%의 수분함량과 59-68%의 지방을 함유한 film으로 세 film 모두 백색을 나타내었다. 인장강도는 film A가 우수하였으며, 투습도에서는 lipid 액의 뚜렷한 효과로 감소하였으며 film A와 B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냉동전후의 투습도에서 film A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film B와 C는 냉동 후의 투습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산소투과도는 film A와 C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자현미경으로 film의 표면특성을 관찰한 결과, film A는 지방구의 분포가 일정하였으나 B와 C는 지방구의 편재를 볼 수 있었으며 1년 저장 후 film A는 bilayer층의 delamination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전반적인 물리적 특성은 film A가 우수하나 장기저장에 있어서는 보다 제조법이 용이한 film B와 C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이며, film B와 C의 균일하지 못한 표면 형상을 개선하는 방법과 투습도 및 산소투과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앞으로 개선할 과제로 여겨진다.

  • PDF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taraxacum officinale in vitro and in vivo

  • Zhang, Jian;Kang, Min-Jung;Kim, Myung-Jin;Kim, Mi-Eun;Song, Ji-Hyun;Lee, Young-Min;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4호
    • /
    • pp.200-203
    • /
    • 2008
  • Obesity has become a worldwide health problem. Orlistat, an inhibitor of pancreatic lipase, is currently approved as an anti-obesity drug. However, gastrointestinal side effects caused by Orlistat may limit its use.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against pancreatic lipase in vitro and in vivo were measured to determine its possible use as a natural anti-obesity agent.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95% ethanol extract of T. officinale and Orlistat were measured using 4-methylumbelliferyl oleate (4-MU oleate) as a substrate at concentrations of 250, 125, 100, 25, 12.5 and $4\;{\mu}g/ml$. To determine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in vivo, mice (n=16)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com oil emulsion (5 ml/kg) alone or with the 95% ethanol extract of T. officinale (400 mg/kg) following an overnight fast. Plasma triglyceride levels were measured at 0, 90, 180, and 240 min after treatment and incremental areas under the response curves (AUC) were calculated. The 95% ethanol extract of T. officinale and Orlistat, inhibited, porcine pancreatic lipase activity by 86.3% and 95.7% at a concentration of $250\;{\mu}g/ml$, respectively. T. officinale extract showed dose-dependent inhibition with the $IC_{50}$ of $78.2\;{\mu}g/ml$. A single oral dose of the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increases in plasma triglyceride levels at 90 and 180 min and reduced AVC of plasma triglyceride response curve (p<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T. officinale exhibits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pancreatic lipase in vitro and in vivo. Further studies to elucidate anti-obesity effects of chronic consumption of T. officinale and to identify the active components responsible fo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ncreatic lipase are necessary.

N-(butoxymethyl)-2-chloro-2',6'-diethylacetanilide(Butachlor) 제제(製劑)의 안정성(安定性) (The Stability of N-(butoxymethyl)-2-chloro-2', 6'-diethylacetanilide(Butachlor) formulation)

  • 홍종욱;이정훈;김장억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56-62
    • /
    • 1984
  • Butachlor를 유제(乳劑)와 입제(粒劑)로 제제화(製劑化)할 때 화학적(化學的) 안정성(安定性)과 약효(藥效)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 중(中) 수분(水分), pH, 담체(擔體), 유화제(乳化劑) 및 유기용제등(有機溶劑等)으로 제제조성(製劑組成)을 달리 했을 때와 자외선조사시(紫外線照射時)의 주성분(主成分) 경시변화(經時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제제형태(製劑形態)에 따른 경시변화율(經時變化率)은 암실보관시(暗室保管時)에는 제형(製形)에 상관(相關)없이 16시간(時間) 후(後)까지 안정(安定)하였으나 자외선조사시(紫外線照射時)에는 주성분(主成分) 분해율(分解率)이 유제(乳劑) > sand 피복입제(被覆粒劑) > zeolite 흡착입제(吸着粒劑)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물과 pH를 조절(調節)한 후(後)의 유탁액상태(乳濁液狀態)에서는 주성분(主成分)의 분해(分解)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유기용제(有機溶劑)로 유제(乳劑)를 조제(調劑)하여 $50^{\circ}C$에서 보관(保管)시킨 후(後)의 주성분(主成分) 분해율(分解率)은 극성유기용제(極性有機溶劑)인 benzene, xylene이 비극성유기용제(非極性有機溶劑)인 iso-propyl alcohol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화제(乳化劑)의 종류(種類)에 따른 주성분(主成分) 분해율(分解率)은 Tween 60이 Hy-620C 및 Newkalgen-MC에 비(比)해 높게 나타났다.

  • PDF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수성접착제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ater-based Adhesive Using Gemini Type Nonionic Reactive Surfactants)

  • 신혜린;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5호
    • /
    • pp.597-605
    • /
    • 2019
  • 수용성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여 수계 접착제에 적용하였다.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말레산 및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다른 폴리 옥시 에틸렌 세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FT-IR 및 $^1H-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합성된 화합물은 밝은 노란색 왁스의 형상이었고, 화합물의 운점은 $78^{\circ}C$ 이상이었다. 측정된 임계 미셀 농도(c.m.c)는 $1.0{\times}10^{-4}{\sim}7.0{\times}10^{-4}mol/L$이었고 표면장력은 25.9~32.0 mN/m이었다.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몰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화력이 향상되었다. Ross-Miles 법에 의한 화합물의 발포 높이는 1.4~4.5 cm이었다. 본 연구에서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수성 접착제의 유화 중합에서 유화제로 사용되었으며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준비된 접착제의 고체 함량은 59%이었다. 접착제의 평균입자크기는 164~297 nm이었다. 접착제의 초기 점착성의 볼 번호는 20~32이었으며, 박리 강도는 $1.8{\sim}2.1kg_f/mm$이었다. 점도 유지율은 30 days 동안 99%로 확인되었다. 합성된 제미니형 비이온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점착력을 위한 유화제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한 SBR 혼합물의 미세구조 분석 (Microstructural Analysis of SBR Blends Using Infrared Spectroscopy)

  • 김여울;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2호
    • /
    • pp.103-109
    • /
    • 2014
  • 유화중합 SBR (E-SBR)과 용액중합 SBR (S-SBR) 블렌드를 제조하여 이들의 미세구조(styrene, 1,2-unit, cis-1,4-unit, 그리고 trans-1,4-unit 함량)를 투과 방식 휴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Valley-to-valley 바탕선으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TV)이 객관적으로 가장 타당한 방법이나 cis-1,4-unit의 피크 세기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cis-1,4-Unit이 포함된 4가지 미세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바탕선을 보정하지 않은 방법(TM)과 최대 투과도를 99%로 조정한 방법(TB)을 TV 방법과 비교하였다. TB 방법으로 구한 결과가 TM 방법으로 구한 결과보다 TV 방법으로 구한 결과와 좀 더 가깝게 나타났다. TM 방법과 TB 방법으로 구한 흡광도를 ISO/FDIS 21561:2005(E)에 제시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미세구조 함량을 결정하였다. E-SBR/S-SBR 블렌드 비에 따른 styrene, 1,2-unit, 그리고 trans-1,4-unit 함량의 변화는 비교적 선형성을 보였으며, TM 방법과 TB 방법으로 얻은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cis-1,4-Unit 함량의 변화는 TM 방법과 TB 방법에 상관없이 직선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잎새버섯이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체의 보습력과 자극완화 효과 (Anti-irritation and Moisturizing Effects of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Grifola frondosa)

  • 이범천;김진화;배준태;이동환;심관섭;표형배;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41
    • /
    • 2005
  • 잎새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세포외 다당체(exopolysaccharide, GF-glucan)의 피부보습과 SLS에 의한 피부손상에 대한 자극완화 효과를 연구하였다. 사람을 이용한 피부수분 보유 효과 및 피부 수분 손실량을 평가한 결과, 피부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손실량 또한 전어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하였다. GF-glucan을 함유한 화장품의 자극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 피부에 $0.5\%$ SLS 첩포로 유발된 자극성 피부염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한 결과, SLS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정도가 피검자의 피부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GF-glucan이 함유된 제품의 도포 부위에서 대조 부위에 비해 홍반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자극유발 후 피부에 대한 수분유지와 피부 수분 손실량을 감소시킴으로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잎새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하여 생산한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세포외 다당체인 GF-glucan을 화장품에 응용하면 우수한 보습효과와 자극 완화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화장품을 개발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제주산양산삼이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transferase)를 통해 피부 장벽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Jeju Wild Ginseng Extracts on Skin Barrier via Serine-Palmitoyltransferase)

  • 김효민;이정노;김재문;김성규;박성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9-126
    • /
    • 2016
  • 피부는 스모그, 담배연기 및 UV와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가장 큰 기관이며, 보호 기작으로서 각질세포와 그 사이를 메우고 있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의 세포간지질이 라멜라 액정 구조로 피부 장벽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간지질 중 세라마이드 생합성과 관련되어 있는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transferase, SPT)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SPT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을 5% 함유한 제형을 2주간 피부에 도포 후 TEWL을 측정하였을 때,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을 함유한 에멀젼 도포부위의 TEWL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이 SPT의 발현 증가를 통해 세포간 지질의 핵심성분인 세라마이드의 생합성을 증가시켰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은 피부장벽기능을 개선시켜 TEWL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장벽 강화 및 보습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