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on.

검색결과 1,994건 처리시간 0.031초

솔잎 및 녹차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 김수민;조영석;성삼경;이일구;이신호;김대곤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19
    • /
    • 2002
  • 솔잎과 녹차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free radical 반응 및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검토하였다. 각종 항산화제와 항산화력 비교에서 추출물 농도별 지방산화 억제능력은 0.1%보다는 0.3%가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고, iron sources에 대한 binding 능력은 열수추출물이 우수하였다. Deoxyribose상에서의 hydroxyl radical 포집능력은 솔잎과 녹차 에탄올추출물이 대조구 보다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iron 함량은 솔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 함량은 녹차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열수추출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각종 항산화제에 비하여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의 감소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0.3%의 솔잎과 녹차 추출물은 pH 1.2와 pH 3.0에서 95%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 자체보다도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각종 육제품 제조시 첨가물로서 산화방지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제로서의 사용을 시사하는 것이다.

단백질의 유화작용(乳化作用)에 미치는 외적(外的) 조건(條件)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xternal Conditions on the Emulsifying Property of Proteins)

  • 이철호;김학량;양한철;이명원;배종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6
    • /
    • 1982
  • Swift변법에 의하여 분리대두단백질과 카제인의 유화용량을 측정할 때와 Acton변법에 의하여 유화안정도를 측정할 때의 여러 가지 실험조건이 측정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유화용량(EC)은 단백질의 농도$(0.1{\sim}0.3%)$와 교반속도$(6,000{\sim}12,000rpm)$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기름첨가속도 $0.8{\sim}1.0\;ml/sec$ 범위에서는 EC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으며 이온농도$(0.1{\sim}1M)$가 증가함에 따라 EC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에서 EC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EC의 변화는 단백질의 NSI 변화와 거의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화안정도(EC)는 단백질의 농도, 기름첨가량, 교반속도, 교반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pH의 변화에 따른 ES의 변화는 단백질의 NSI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NaCl$(0.1{\sim}1.0M)$ 첨가시 Na-case-inate의 ES는 높아졌으나 분리대두단백질의 ES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식품단백질의 유화작용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측정법을 선정하고 이 방법에 의하여 실험실에서 제조된 분리대두단백질의 유화작용을 평가비교하였다.

  • PDF

혼화재 종류 및 양생조건에 따른 속경성 SBR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Strengths of Rapidly Hardening SBR Cement Mortars as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According to Admixture Types and Curing Conditions)

  • 조영국;정선호;장덕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87-596
    • /
    • 2011
  •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긴급공사의 보수 보강 재료로 사용할 때, 초속경시멘트와 혼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시멘트의 빠른 응결과 시멘트 매트릭스 내부에서 형성된 폴리머 필름의 작용이 물리적 성질과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각종 혼화재료를 혼입함으로써 매트릭스 내부 공극을 충전하여 성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데, 양생방법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속경성 SBR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와 휨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혼화재료와 양생조건에 관하여 실험을 실시하여 그 영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초속경시멘트 모르타르에 SBR을 혼입함으로써 휨강도와 압축강도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여기에 메타카올린을 혼입함으로써 보다 더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양생방법에 있어서도 SBR을 사용한 경우에는 표준양생에서, SBR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중양생에서 강도발현이 크게 나타났다.

염기성 촉매를 이용한 o-xylene과 1,3-Butadiene의 알케닐화 반응 (Alkenylation of o-xylene with 1,3-Butadiene Over Base Catalysts)

  • 이종석;이수출;길민호;최일석;이재성;김재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0권6호
    • /
    • pp.669-675
    • /
    • 2002
  • 액상 NaK alloy, Na metal 그리고 지지체에 담지된 Na metal을 촉매로 이용하여 o-xylene과 1,3-butadiene의 alkenylation을 통한 OTP(ortho-tolyl pentene)의 합성 반응을 연구하였다. 액상의 NaK alloy 촉매인 경우 metal의 분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ultrasound로 처리하였고 촉매상은 매우 작은 입자로 쪼개져 emulsion을 형성하면서 분산도를 증가시킬수록 전화율과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Na metal의 경우 분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처리가 필요하였으며 미립자로 분산이 진행되는 동안 지체(induction) 시간이 필요하였다. 지지체에 담지된 Na metal의 경우 지지체에 관계없이 80 % 이상의 전화율을 지체 시간 없이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slurry 액상 반응계에서는 담지된 금속의 85 % 이상이 촉매에서 떨어져 나와 반응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응물인 1,3-butadiene과 생성물인 OTP간의 반응에 의한 부반응이 진행되어 1,3-butadiene의 양이 증가하면 부반응으로 생성된 oligomer 양이 증가하였으며 전화율이 증가하면 선택도가 반비례 관계로 감소하였다.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과 용해도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율의 비교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ability and Sun Protection Efficacy of Sunscreens Based on the Solubility and a Combination of Organic UV Absorbers)

  • 연제영;홍승덕;최세범;김타곤;이청희;이상길;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9-1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기 자외선 흡수제와 오일들 간의 용해도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의 안정성과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에 따른 이들의 자외선 차단 효율 변화를 조사하여 보다 안정하고 효율이 높은 자외선 차단제품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일의 종류, 농도 그리고 보관 조건에 따라서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도 및 안정성이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에멀젼상에서도 자외선 차단지수에 영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흡광도가 측정되었으며, 조합 시 각각의 자체 흡광도보다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있었고, 특정 성분과의 조합 시에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보관 조건에 따라서도 자외선 흡광도는 상이하게 측정되어, 자외선 차단 효율에 영향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구마 페놀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Phenolic Compounds in Sweet Potatoe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 이규희;권병구;임소영;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31-336
    • /
    • 2000
  • 식용유지에 대한 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와 돈지에 70% methanol 고구마 추출물을 가하여 $60^{\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를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비교하였으며, 고구마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여 HPLC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70% methanol 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목포18이 율미보다, 껍질부위가 속부위보다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고구마 페놀화합물 3개 분획 중 가장 강한 항산화능을 보인 것은 free phenolic acids(fraction-I)층 분획이었다. 껍질부위의 free phenolic acids 항산화능은 속부위보다 강하였고 율미가 목포18보다 항산화능이 높았다. 고구마 항산화 성분인 페놀화합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caffeic acid와 chlorogenic acid이었고, 함량은 caffeic acid는 율미껍질에 68.4mg%, 율미속에 2.8mg%, 목포18껍질에 47.2mg%, 목포18속에 4.6mg% 함유되어 있었으며, chlorogenic acid는 각각 67.4mg%, 1mg%, 92.6mg%, 1.2mg% 이었다. Linoleic acid-emulsion에 대한 항산화능은 caffeic acid가 chlorogenic acid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아토르바스타틴 칼슘을 함유한 폴리옥살레이트 미립구의 제조 및 방출거동 (Preparation and Release Behavior of Atorvastatin Calcuim - Encapsulated Polyoxalate Microspheres)

  • 이천중;김수영;이현구;양재원;박진영;차세롬;임동권;이동원;강길선
    • 폴리머
    • /
    • 제38권5호
    • /
    • pp.656-663
    • /
    • 2014
  •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옥살레이트(POX)를 이용하여 아토르바스타틴 칼슘을 함유한 미립구를 $O_1/O_2/W$ 에멀젼용매증발법으로 제조하였다. 약물의 함량, POX의 분자량과 농도 그리고 유화제인 PVA의 농도를 달리하여 아토르바스타틴 칼슘이 함유된 미립구의 형태학적 특성, 방출거동, 분해거동 등을 평가하였다. 아토르바스타틴 칼슘이 함유된 미립구에 대한 물리화학적 성질 및 형태를 X선 회절분석법과 시차주사열량계, 적외선 분광분석기, 그리고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미립구의 방출거동과 포접률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였으며 분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10일 동안 in vitro 실험을 통해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조 조건에 따라 아토르바스타틴 칼슘을 함유한 POX 미립구의 약물방출과 형태 제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아토르바스타틴 뿐만 아니라 유사 약물의 약물 방출과 형태 제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Red and Green Glassworts (Salicornia herbacea L.) on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Reduced-salt Cooked Sausages

  • 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Kim, Yong-Jae;Ham, Youn-Kyung;Yeo, In-Jun;Jeong, Tae-Jun;Choi, Yun-Sa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78-38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ed and green glasswort on the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reduced-salt cooked sausages. The control was formulated with 1.5% NaCl; then, three reduced-salt treatments were prepared, with 0.75% NaCl (RS), 0.75% NaCl+1.0% red glasswort (RSR) and 0.75% NaCl+1.0% green glasswort (RSG),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glasswort within the added amount of 1% had no influence on the pH value of the reduced-salt cooked sausages, regardless of the glasswort type. In terms of color, RSG treatment conveyed a higher hue angle value than the RSR treatment (p<0.05). Increases in the protein solubility (total and myofibrillar proteins) and apparent viscosity of reduced-salt meat batter that were due to the addition of glasswort were observed;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glasswort (p>0.05). Furthermore, the addition of glasswort, regardless of its type, resulted in decreased cooking loss, and increased emulsion stability. As a result, reduced-salt cooked sausages formulated with either red or green glasswort demonstrated similar textural properties to those of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type of glasswort within an added amount of 1% had no influence on the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reduced-salt cooked sausages, except for the colo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lor alteration by the addition of glasswort, the red glasswort, which in comparison with the green glasswort could minimize the color changes of reduced-salt cooked sausages, might be an effective source for manufacturing meat products.

색도를 동일하게 조정한 Model Melanoidin들의 항산화효과 및 특성 (Antioxidative Effect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odel Melanoidins with Same Color Intensity)

  • 임원용;김정상;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45-1051
    • /
    • 1997
  • Model melanoidin으로서 glucose-glycine, glucose-lysine, xylose-arginine melanoidin을 색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제하여 항산화효과 및 항산화효과와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melanoidin들은 대조군에 비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lanoidin들의 갈색도의 정도를 동일하게 하여도 당과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서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DPPH에 의한 전자공여성도 실험에 사용한 세 model melanoidin중 가장 커서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항산화성과 전자공여성이 관계있음을 알 수 있었다.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 관련 물질의 특성을 알기위하여 melanoidin을 Sephadex G-50에서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 melanoidin의 종류에 따라 다른 분리 패턴을 나타내었다. 분획별 항산화효과를 비교한 결과 xylose-arginine melanoidin이 가장 강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이 glucose-lysine melanoidin이었으며 glucose-glycine melanoidin이 가장 낮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어 당의 경우 glucose보다 xylose에서, 아미노산의 경우 glysine보다 lysine에서 항산화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분획물의 특성 중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가 큰 물질은 갈색도가 높으면서 ninhydrin 양성반응을 나타내고 환원성이 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50에서 65사이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glucose-lys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65에서, glucose-glyc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60에서 각각 강한 항산화 효과물질이 검출되었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광범위한 갈색물질의 용출범위에서 환원작용을 나타내어 앞에서 model melanoidin 중 가장 강한 항산화 효과 및 DPPH에 의한 전자공여성을 나타낸 성질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신선초 생즙의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C의 함량 및 항산화능의 변화 (Changes of Contents of ${\beta}-Carotene$ and Vitamin 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ice of Angelica keiskei stored at different conditions)

  • 박원봉;김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5-379
    • /
    • 1995
  • 신선초 생즙에 들어있는 ${\beta}-Carotene$, vitamin C, 불포화지방산의 함량과 생즙의 항산화능이 보관온도 및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다. 생즙을 $-18^{\circ}C{\sim}35^{\circ}C$에서 24시간동안 보관한 후 ${\beta}-Caroten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18^{\circ}C$에서 파괴율이 가장 낮았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파괴율이 점점 커지며, $35^{\circ}C$서는 67.70%가 파괴되고 색깔도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즙을 보관상 최적온도인 $4^{\circ}C$에서 $6{\sim}48$시간 보관한 후 ${\beta}-Caroten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괴율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즙을 $4^{\circ}C$에서 $24{\sim}72$시간동안 보관한 후 vitamin C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시간경과에 따른 파괴율이 ${\beta}-Carotene$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4^{\circ}C$에서 72시간동안 보관한 생즙과 냉동건조한 생즙의 지방산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72시간동안 보관한 생즙과 냉동건조처리한 생즙은 신선한 것과 비교하여 볼 때 지방산 조성상의 뚜렷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항산화성분을 첨가한 linoleic $acid-H_2O$ emulsion을 1일동안 incubation시킨 결과 신선한 생즙과 24시간동안 보관한 생즙은 ${\alpha}-tocopherol$의 항산화능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48시간, 72시간동안 보관한 생즙의 항산화능은 ${\alpha}-tocopherol$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성분을 첨가하고 $2{\sim}10$일동안 incubation시켰을 때에는, 생즙의 항산화능이 ${\alpha}-tocopherol$보다 떨어지는 것을 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