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on system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2초

W/O 에멀젼의 주요 구성 성분들이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에 있는 초산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in Constituents of W/O Emulsion on Removal of Acetic Acid in a Simulated Hemicellulosic Hydrolysate)

  • 임성진;이상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789-795
    • /
    • 2014
  • 초산은 묽은 산에 의해 처리되어 얻어진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 중 가장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중대한 에탄올 발효 저해물질이다. 그 가수분해액으로부터 초산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데 최적인 분리시스템을 찾기 위하여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으로 자일로스, 초산과 황산의 혼합물이 선택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에멀젼형 액막법이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초산을 제거하는데 적용되었다. W/O 에멀젼의 주요 구성 성분들, 즉 아민계 추출제 종류, 계면활성제 조성, 첨가제 종류와 회수제의 종류 및 농도가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에 있는 초산, 자일로스와 황산의 추출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특별한 실험 조건에서, 초산의 추출율은 95% 이상이었고, 자일로스의 손실은 미미하였는데, 이것은 현 에멀젼형 액막법이 경제성이 높은 공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장품용 오일 타입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융복합 화장품 적용 (Application of Nanoemulsions upon Type of Cosmetic Oils for Convergence Type of Cosmetics)

  • 조완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69-37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Tween 80/Span 80의 유화계에서, PIC(Phase Inversion Composition) 방법으로, 80 oC에서 화장품용 오일의 나노에멀젼 형성 가능성과 오일의 구조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탄화수소 계열의 LP 70, Isopar H 및 Pripure 3759는 모두 입도 분포가 40 nm 내외의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직쇄 구조의 실리콘 오일은 불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였으나 환상 또는 짧은 사슬의 실리콘 오일은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에스테르 오일류에서는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도가 증가하였고 분자량이 약 450 이상에서는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얻을 수 없었다. 오일의 친수성과 친유성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요구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에 대한 나노에멀젼의 입도는 HLB 값이 8-10 정도 범위에서 가장 입도가 작았다.

외용겔 및 다중유제크림의 코지산 방출특성과 피부자극성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and Skin Irritancies of Topical Gels and Multiple Emulsion Creams Containing Kojic Acid)

  • 유성운;박은우;최영욱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8권2호
    • /
    • pp.87-92
    • /
    • 1998
  • Kojic acid (KA) is an antimelanogenic agent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cosmetics to whiten the skin color. However, it has the drawbacks of the skin irritancy and the instability against the pH, temperature, and light.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various topical gels and multiple emulsion creams which can control the release of active ingredient, KA, were formulated employing cream bases of mineral oil with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and hydrophilic polymers such as chitosan, carbopol. and pluronics. Using Franz diffusion cells mounted with a synthetic cellulose membrane (MWCO 12,000),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of the formulations were evaluated by the HPLC assay of KA concentration in the receptor compartment of pH 7.4 phosphate buffered saline solution. Drug release from chitosan-based gels (ChitoGel) obeyed to the first order kinetics with a rapid release especially in the initial period. However, pluronic-based gels (PluGel) and carbopol-based gels (CarboGel) revealed controlled release of drug to some extent, followed by the square root-time kinetics. Moreover, the release of KA was further controlled with the W/O/W multiple emulsion creams (MultiCream), showing the apparent zero order release kinetics by virtue of dynamic ratecontrolling membrane of the oil layer. The flux $(J,\;{\mu}g/cm^2/hr)$ of ChitoGel. CarboGel. PluGel. and MultiCream in the initial period of 6hr were 73.30, 28.67. 24.04 and 7.72,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kin irritancy score of ChitoGel and MultiCream were observed as 2.5 and 2.3 respectively, in the rabbit skin irritation test. Although there were insignificant differences at p<0.05 between those formulations, it wa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W/O/W multiple emulsion creams containing KA might be a good candidate for an antimelanogenic drug delivery system due to the controlled release of acidic drug molecules.

  • PDF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 에테르 유체로된 유화계의 안정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bility of Emulsion Stabilized with Polyoxyethylene Dodecyl Ethers)

  • 이충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1-31
    • /
    • 1985
  •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 에테르 유도체로 안정화된 헥산 - 물의 유화계에서 소량의 장쇄알칸 및 장쇄알칸올이 유화안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장쇄알칸의 계면장력 및 원심분리에 의한 유화 안정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장쇄알칸올은 계면장력을 현저히 저하시켰으며, 원심분리시 coalescence에 의한 유화파괴 방지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시간 경과에 따른 유화안정도는 장쇄알칸이 장쇄알칸올 보다 더욱 효과적이었고 또 탄화수소쇄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욱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것을 유화제를 변경시켰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이것은 장쇄알칸을 첨가함으로써 분산상의 소수결합력을 증대시켜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감소되어 분자확산에 의한 유화파괴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유화계에서 유화파괴는 coalescence보다는 분자확산에 의해 지배됨을 알 수 있다.

  • PDF

지방산 및 지방알코올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안정성 (Stability of Nano-emulsions Containing Fatty Acid and Fatty Alcohol)

  • 조완구;김경아;장선일;조병옥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73-279
    • /
    • 2017
  • 본 실험에서는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는 지방산과 지방알코올을 Tween 80과 Span 80을 함께 사용하여 조성 상전이 유화법으로 O/W (oil-in-water) 저점도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지방알코올의 오일상에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혼합계면활성제의 HLB를 조절하여 입도 분포가 좁고 안정한 나노에멀젼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전상점 부근에서 지방산 및 지방알코올을 함유한 계 모두에서 유사한 점도와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보였으나 오일과 계면활성제만으로 구성된 계와는 다르게 넓은 수용액상 분율범위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냈다. 입자 크기가 100 nm 미만의 저점도 나노에멀젼은 실온에서 한 달 이상 안정하였다. 지방산 또는 지방알코올을 함유하고, 저에너지 유화법으로 제조된 저점도 O/W 나노에멀젼 제형은 화장품의 기재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Acrylamide Copolymers에 의한 Liquid Crystal Emulsions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Stabilization of Liquid Crystal Emulsions by Acrylamide Copolymers)

  • 류해일;장낙한;전윤석;이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005-2014
    • /
    • 2009
  • PDLC 필름을 제작하는 데는 여러 방법들이 있으나 그중 하나로서 에멀젼 기술에 기반을 둔 NCAP필름 제조방법이 있다. 이러한 에멀젼 기술은 물에 부분적으로 용해될 수 있는 PVA, PVP와 같은 고분자로 NCAP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제 없이도 안정한 액정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에 녹는 것과 물에 녹지 않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분자로 구성된 공중합체에 대하여 에멀젼의 안정성과 계면장력, 표면장력이 공중합체의 구성, 농도, 소수성 체인 등에 의존한다는 것도 연구하였다. Acrylamide-styrene(AA-ST)계 공중합체는 같은 농도조건에서 사용한 다른 공중합체보다 낮은 계면장력을 나타낸다. 낮은 계면장력 때문에 AA-ST 공중합체는 액정분자들과 좋은 친화성을 갖는다. 또한 액정표면에 쉽게 흡수되는 분자들이 액정 에멀젼 시스템을 더 안정화하다는 것과 형태학적 분석을 통한 액정의 안정성도 논의하였다.

The Effects of Suspension Composition on Defects in Aqueous Tape Casting of Alumina Ceramics

  • Shin, Hyo-Soo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647-652
    • /
    • 2004
  • In aqueous tape casting of alumina slurry system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spension compositions and the defects of the dried tapes were discussed. The suspensions compositions were controlled with the ratios of the solids, water and organics binder contents. The effects of the thickness of dried tape and kinds of binder system were also examined. In the defect free region, the apparent viscosity showed nearly same value due to the count balancing effect of solid and organic binder content on the apparent viscosity. When water content was constant, increasing solid led to decrease of organic binder content. The defect free region was narrowed with increasing of casting thickness. When linear type acrylic emulsion binders system (D1000 and D 1035) were used, defect free zone formed the belt type in the triangle of solid, water and organic binder content according to the line of constant water contents. However the defect free region was not found in the cross-link type emulsion binder system (D 1050).

미세 유체제어 방식 드랍렛 제작 기술을 이용한 자가치유 캡슐 제작 및 특성 분석 (Self-healing capsule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 analysis using microfluidic control method droplet manufacturing technology)

  • 지동민;송원일;이자성;아르만도;김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1-252
    • /
    • 2022
  • The microfluidic controlled droplet manufacturing system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ethods for capsule manufacturing. The microfluidic control method can control the type and size of the capsule by changing the size and configuration of the channel.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hannels, capsules of uniform size can be mass-produced. In this paper, a capsule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flow-focusing and T junction method was designed.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is system was verified by manufacturing multi-emulsion capsules with a size of 2.2 to 3 mm.

  • PDF

${\omega}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한 고안정성 수중유적형 유화계의 확립 (Optimization of the Conditions for the O/W Emulsion Containing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 장판식;조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14-1119
    • /
    • 1998
  • 지방질층(${\omega}3$계 고도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정제어유)과 수분층(고분자 물질의 분산 호화액)이 3:2(w:w)의 비율로 혼합되고 유화제가 0.50%(w/w)의 농도로 첨가된 O/W형 유화계내에서 첨가된 유화제와 고분자물질의 종류 및 조성이 유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HLB값이 11.0 이상 또는 2.8 이하인 단일종류의 유화제가 첨가된 실험구가 99.0 이상의 높은 ESI값을 갖는 안정한 유화계를 형성하였으며, HLB값이 $3.4{\sim}8.6$ 범위의 단일 종류 유화제를 첨가한 경우는 40.0 이하의 낮은 ESI값을 갖는 불안정한 유화계를 형성하였고, 특히 HLB값이 0.6인 유화제 PGPR(polyglycerol polyricinoleate)을 첨가한 경우는 100.0의 높은 ESI값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안정한 유화계를 형성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PGPR과 PSML(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을 함께 0.50%(w/w)의 농도로 첨가하면 단일 종류의 유화제를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ESI값이 모두 높은 유화계를 형성하였으며, 유화제의 최적 조성은 PGPR이 0.25%(w/w), PSML이 0.25%(w/w)이었다. 피복물질로서는 waxy corn starch와 agar를 각각 0.25%(w/v) 및 0.50%(w/v)의 농도로 고르게 분산 액화시킨 수분층을 사용한 유화계에서 최대의 ESI값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콩기름 및 콩기름-물 에멀젼기질(基質)에서의 마이얄형(型) 갈색화반응생성물(褐色化反應生成物)과 일부(一部) 산화방지제(酸化防止劑)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from a Maillard Browning Mixture and Some Antioxidants in Soybean Oil and Soybean Oil-Water Emulsion Systems)

  • 맹영선;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3-282
    • /
    • 1981
  • 콩기름기질(基質)과 에멀젼기질(基質)에서 반응(反應) 2 및 30시간(時間) 후(後)의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액(褐色化反應液)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抽出物)(M-2와 M-30, 각각 10 ml과 BHA, BHT, TBHQ와 ascorbyl palmitate (각각 0,02%, w/w)의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效果)를 비교(比較)하고저 하였다. Control 및 각(各) 기질(氣質)은 $45.0{\pm}0.5^{\circ}C$에서 저장(貯藏)되었으며, 5일(日)마다 과산화물(過酸化物)값과 TBA값을 측정(測定)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주로 POV 측정결과(測定結果)에 의거한 무수기질(無水氣質)에서의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效果)의 순서(順序)는 As. palmitate, TBHQ >> M-30, M-2 > BHT, TBHQ ,BHA 였으며, 에멀전기질(基質)에서의 순서(順序)는 As. palmitate >> M-30, M-2 > BHT, TBHQ, BHA였었다. 한편,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추출물(抽出物)들은 무수기질(無水基質)에서 보다는 에멀전 기질(基質)에서 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에멀전 기질(基質)에서는 그 효과(效果)는 phenol계(系) 산화방지제(酸化防止劑)인 BHT, TBHQ, BHA 보다 더 컸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