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ulsion particle size

Search Result 23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Nanosilica Composite

  • Kim, Byung-Kyu;Seo, Jang-Won;Jeong, Han-M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98-201
    • /
    • 2003
  • Aqueous emulsion of polyurethane (PU) ionomers were reinforced with hydrophobic nanosilica to give composites. The aqueous emulsion was stable and the particle size increased as the content of hydrophobic nanosilica was increased. The reinforcing effect of nanosilica i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se composites were examined by dynamic mechanical and tensile tests, and the Shore A hardness was measured. Enhanced thermal and water resistance and marginal reduction in transparency of these composites were observed compared with pristine polymer. These results were similar with those of our previous studies on waterborne PU/organoclay nanocomposites.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나노에멀젼 연구 (A Study on Nano-emuls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Hippophae rhamnoides Leaf Extract)

  • 채교영;권순식;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260-2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0.01, 0.03, 0.05, 0.10%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고, 5주 동안 이들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입도분포 및 피부 투과능을 평가하였다. 나노에멀젼은 균질기(homogenizer) 처리 후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은 단분산 형태를 나타내었다. 5주 동안 실험에서,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가장 안정하였다. 0.0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함유 나노에멀젼의 in vitro 피부 투과 실험을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Oil-in-water (O/W) 에멀젼과 비교할 때 나노에멀젼이 피부 흡수가 더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O/W 에멀젼보다 안정성과 피부 투과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에멀젼 증발법에 의한 산화텅스텐 분말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ungsten Oxide powders Using Emulsion Evaporation Methods)

  • 신창훈;안종관;이응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43-550
    • /
    • 1998
  • 에멀젼 증발법에 의해 구형의 산화텅스텐 분말을 제조하는 연구를 하였다. 분말의 특성은 TGA, X-ray 회절, SEM, image analysis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텅스텐 이온이 함유된 수상과 등유, 계면활성제, 파라핀유로 이루어진 유기상을 고속으로 교반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에멀젼을 $160^{\circ}C$의 등유욕내에서 증발시틴 후 얻어진 침전물을 $160^{\circ}C$에서 하소하여 텅스텐 산화 분말을 제조하였다. 산화텅스텐 분말의 평균 입경은 $0.5\;\mu\textrm{m}$ 였으며 모양은 구형이었다. Watre-in-oil형 에멀젼으로 제조된 $W_{3}$는 oil-in-water 형의 것보다 응집도가 적었다. 계면활성제의 HLB값이 증가할수록, 에멀젼 중의 텅스텐 이온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평균입도가 작아졌으며, $W_{3}$ 입자들의 응집도는 증가하였다. 계면활정제로 사용한 Span 80의 농도는 8 vol%가 적당했고, 에멀젼 제조시 교반속도는 5000rpm이 적당했다.

  • PDF

Brij계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용크림 O/W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Emulsion Stability of Cosmetic Facial Cream O/W Emulsions Prepared by Brij Type Non-ionic Emulsifie)

  • 박보라;이승민;최준호;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440-44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비이온성 유화제인 Brij 78&72와 Brij 98&92 유화제를 혼합하여 HLB value에 따른 O/W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혼합유화제로는 포화지방산인 Brij 78&72 (steareth-20&steareth-2, EMU-01)와 불포화지방산인 Brij 98&92 (oleth-20&oleth-2, EMU-02)를 사용하였다. 또한 O/W 유화액의 안정성은 유화액의 점도, 액적크기, 액적크기분포, zeta-potential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시간에 따른 유화액의 점도는 EMU-01의 경우 증가하였고, EMU-02는 HLB value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액적크기는 시간에 따라 두 유화제 모두 증가하였으며, EMU-01과 EMU-02 모두 mineral oil의 required HLB value (10.5)과 가장 유사한 HLB = 10.8의 유화제가 액적크기가 가장 작고 높은 조밀도를 보여 유화 안정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Zeta-potential은 두 유화액 모두 HLB value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HLB = 10.8 이상의 유화액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포화지방산계인 EMU-01이 불포화지방산계인 EMU-02보다 큰 zeta-potential을 나타내어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하였다.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한 화장용 크림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Emulsion Stability for Cosmetic Facial Cream Emulsion Using Mixed Nonionic Emulsifier)

  • 홍인권;김수인;박보라;최준호;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7권5호
    • /
    • pp.527-531
    • /
    • 2016
  • 화장품 제조의 기본원리인 유화과정은 섞이지 않는 두 액체성분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한 쪽의 액체를 다른 쪽의 액체에 분산하여 안정화된 유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9), EMU-02 (HLB = 12.9), EMU-03 (HLB = 12.4), EMU-04 (HLB = 12.5)이다. 4종류의 혼합유화제 모두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증가하고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 제조 시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는 감소하고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종류의 혼합유화제를 사용한 유화액 모두 층분리는 일어나지 않아 56일까지의 유화액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유화액의 점도는EMU-01 > EMU-02 > EMU-03 > EMU-04로 크게 측정되었으며, 입자 크기는 $EMU-01{\approx}EMU-02$ > $EMU-03{\approx}EMU-04$로 측정되어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할 경우 맞춤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폐 Polystyrene을 이용한 중공 미세구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Hollow Microspheres Using Waste Polystyrene)

  • 권순영;우제완
    • 청정기술
    • /
    • 제12권4호
    • /
    • pp.205-21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폐 polystyrene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적의 정제조건을 확립한 다음, 이를 활용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Polystyrene 중공 미세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회수된 PS를 이용하여 다중유화법($W_1/O/W_2$)에 의해 PS/PVA 두층을 갖는 중공 미세구를 얻을 수 있었다. 1단계 반응인 $W_1/O$ emulsion 생성 시 초음파처리는 입자 크기와 분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으며, 20초 처리하였을 때 평균입자크기 $1.35{\mu}m$, 입도분포 $0.8{\mu}m{\sim}2.8{\mu}m$인 고분자 중공 미세구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W_2$상 계면활성제로 gelatin 또는 Tween 80을 사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입자 크기도 작고 균일한 고분자 중공 미세구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마요네즈 제조시에 난황 사용량에 따른 유화 안정성의 비교 (A Comparison of Emulsion Stability as Affected by Egg Yolk Ratio in Mayonnaise Preparation)

  • 차가성;김재욱;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5-230
    • /
    • 1988
  • 난황의 사용량을 각각 2%, 3.5%, 5%, 6.5%, 8%, 9.5%로 변화시켜 시험 제조한 마요네즈에 대하여 동결법 및 진동 원심법에 의해 유화 안정성을 비교하였고, 점도 및 입경을 측정하였다. 난황 함량이 많을수록 기름 입자의 크기가 작고, 점도가 높았으며, 유화 안정성이 좋았다. 동결에 대한 안정성은 난황 6.5% 이하에서 급격히 떨어졌으며. 진동에 대한 안정성은 난황 2%, 3.5%의 경우 매우 나빴으나, 난황 5% 이상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마요네즈의 점도는 $-10^{\circ}C$ 보존의 초기 24시간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10^{\circ}C$ 보존 중의 입경은 난황 6.5% 이하의 경우 계속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난황 8%, 9.5%의 경우에는 분리에 이르기 전까지 비교적 변화가 적었다. 마요네즈의 유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조의 기본 배합에 있어서 유화제인 난황을 6.5% 이상 사용하는 것 이 적절 하다고 판단되 었다.

  • PDF

지유(地榆)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harmacologic activation as cosmetic material of Sanguisorbae radix)

  • 장영아;김영훈;신재천;한상익;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9-85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at producing emulsion by using butanol fractions of Sanguisorbae radix(SRA-B) which have high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then evaluating stabilities of the emulsion. Methods : We measured antioxidant efficacy of SRA-B by using DPPH assay. Also, we checked the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by using the Western blot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RA-B3. We prepared emulsion containing SRA-B3(E-SRA-B3) and analysed its particle size distribution under a microscope. Also, we performed the test for stability of the emulsion. Results : SRA-B3 showed the highest efficacy in electronic donating abilities' activity. The Western blot'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tein expression's amount of iNOS and COX-2 in macrophage stimulated by LPS were reduced by SRA-B3 treatmen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E-SRA-B3 was $5{\sim}6{\mu}m$ in diameter and was $6.7{\mu}m$ in a view of the particle distribution. For a period of a observation, E-SRA-B3 has not made particular changes with storage temperature. It was observed that E-SRA-B3 could preserve its stable condition without a particular difference of viscosity during 28 days.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RA-B3 has potentiality enough to be applied to industrialization and could be utilized as antioxidative natural materials and anti-inflammatory cosmetics.

라텍스 입자구조가 필름형성 및 필름물성에 미치는 영향( I );모델 복합 라텍스 입자의 제조 및 특성 (Effect of Latex Particle Morphology on the Film Formation and Film Properties of Acrylic Coatings ( I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del Composite Latex)

  • 주인호;안재원;변자훈;우종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5
    • /
    • 2004
  • In this study, various model composite latexes were synthesized using n-butyl acrylate and methyl methacrylate as comonomers by seeded multi-staged emulsion polymerization. Monodispersed model composite latex particles with size of 190 nm and polydispersity index of 1.05, which have various morphology including random copolymer particle, soft-core/hard-shell particle, hard-core/soft shell particle, and gradient-type copolymer particle, homopolymers particles were prepared. The designed morphology of model composite particles were confirmed.

SPG 막유화법을 이용한 고분자 입자 제조기술의 동향 (Technology Trend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ic Particles by SPG Technique)

  • 이상국;김성욱;최경호;임은희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3호
    • /
    • pp.222-231
    • /
    • 2009
  • 단분산이면서 마이크로 크기의 입자로 쉽게 조절이 가능한 SPG (Shirasu porous glass) 막유화법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SPG 막유화법은 다중에멀젼, 단분산, 다양한 형태 등을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능성 입자를 만드는데 적합한 방법으로 최근 적용분야로는 토너입자, 식품첨가제, 약물전달 등으로 적용분야가 넓다. SPG 막유화법에서 입자크기 및 형태 조절 요소로는 개시제, 첨가제, 단량체, 가교제, 중합금지제 등이 있으며, SPG의 장점인 단분산을 싼 단가로 대량생산에 접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