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mulsification stability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ilkworm Larvae Protein Concentrate)

  • 박금순;박정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4-209
    • /
    • 1986
  • 번데기 단백질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농축 단백질을 조제하여 중요한 성질인 기능성을 대두 단백질과 비교하였다.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대두 농축단백질보다 지방 흡수력이 더 높았으며, 용해도와 수분 흡수력은 낮았다. 유화성은 62.8%로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더 높았으며, 유화력도 307ml/g으로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80^{\circ}C$로 가열한 후의 유화안정성도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65.8%로 대두 농축단백질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포말성은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더 낮았으며 포말안정성은 달걀알부민보다, 번데기, 대두 농축단백질이 더 낮았고, $5{\sim}7%$사이에 점도 증가 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높은 지방 흡수력과 유화성은 유화력을 이용한 식품제조에 좋은 단백질원으로서 이용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 PDF

Study on preparation of chitosan microcapsule

  • Jae-Don. Cha;Lee, Cheon-Il.;Lee, Geun-Soo.;Kim, Tae-Hu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294-302
    • /
    • 2003
  • Unstable cosmetic active ingredients could be degraded rapidly by chemical and photochemical process. Particularly, some of active ingredients like retinol are known to cause skin irritation when applied on the skin excessively. Therefore, it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o encapsulate cosmetic actives for the stabilization and skin prote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epare a chitosan microcapsule containing liposoluble cosmetic actives and to investigate the stabilization effect of actives when chitosan microcapsule was applied in cosmetic formulation. Chitosan, deacetylated form of chitin, has been of interest in the industrial applications due to its biocompatibility, biodegradability, non-toxicity, antimicrobial activity and also used as a wall material of capsule. Retinol was used as a core material and was stabilized by a wall of chitosan and antioxidants. The chitosan microcapsule containing retinol(CMR) was prepared by using coacervation method and W$_1$/O/W$_2$ emulsification techniques. The CMR has 0.5~10.0 ${\mu}{\textrm}{m}$ size distribution and a long-term stability of more than an year inside the cosmetic formulation(O/W). Remaining retinol percentages at 45$^{\circ}C$ after 8 weeks in the CMR dispersion were 15.6%(pH 4.0), 59.8%(pH 6.0) and 65.0%(pH 6.0 with antioxidant) respectively. Retinol stability when added CMR inside a ONV emulsion was better than that of ONV emulsion added non-capsulated retinol. As a result, remaining retinol at 45$^{\circ}C$ after 8 weeks in O/W emulsion added non-capsulated retinol and O/W emulsion containing CMR was 12.7%, 70.5% respectively. It appeared that chitosan treated microcapsule may be used for a potential encapsulation method of unstable active ingredients.

  • PDF

세라마이드 IIIB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거동 (Behaviour of Nanoemulsions Containing Ceramide IIIB and Stratum Corneum Lipids)

  • 조완구;김경아;장선일;조병옥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1-37
    • /
    • 2018
  • 오일/정제수(O/W) 나노에멀젼은 피부의 투과성을 변화시키는 효과적인 매개체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콜레스테롤, 팔미틴산과 같은 피부 각질층 지질과 세라마이드 IIIB (CIIIB)의 피부 적용을 위한 콜로이드성 운반체 역할을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와 특성화에 초점을 두었다. 나노에멀젼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자 크기, 나노에멀젼 안정성 및 CIIIB의 용해도와 관련하여 유화 공정 조건을 검토하였다. $80^{\circ}C$의 유화 온도 및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유화법을 통해 입자 크기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CIIIB는 오일 및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CIIIB의 농도가 증가하면 나노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Lipoid S75-3을 오일 상에 첨가하면 CIIIB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DSC 측정에서 보여지는 일부 상호 작용을 나타냈다. CIIIB와 피부 각질층 지질은 결정화 또는 물리적 불안정성 없이 성공적으로 나노 에멀젼에 혼입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하는 안정한 나노 에멀젼은 피부를 위한 효과적인 보습 시스템으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한 화장용 크림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Emulsion Stability for Cosmetic Facial Cream Emulsion Using Mixed Nonionic Emulsifier)

  • 홍인권;김수인;박보라;최준호;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7권5호
    • /
    • pp.527-531
    • /
    • 2016
  • 화장품 제조의 기본원리인 유화과정은 섞이지 않는 두 액체성분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한 쪽의 액체를 다른 쪽의 액체에 분산하여 안정화된 유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9), EMU-02 (HLB = 12.9), EMU-03 (HLB = 12.4), EMU-04 (HLB = 12.5)이다. 4종류의 혼합유화제 모두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증가하고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 제조 시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는 감소하고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종류의 혼합유화제를 사용한 유화액 모두 층분리는 일어나지 않아 56일까지의 유화액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유화액의 점도는EMU-01 > EMU-02 > EMU-03 > EMU-04로 크게 측정되었으며, 입자 크기는 $EMU-01{\approx}EMU-02$ > $EMU-03{\approx}EMU-04$로 측정되어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할 경우 맞춤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황금추출물이 함유된 Cosmeceuticals의 제조: 유화안정성 및 항균특성 최적화 (Preparation of Cosmeceuticals Containing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Optimization of Emulsion Stability and Antibacterial Property)

  • 홍세흠;최용우;쉬원지아;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5권4호
    • /
    • pp.316-320
    • /
    • 2024
  • 천연물인 황금추출물과 천연유화제인 올리브 유화왁스를 사용하여 제조된 cosmeceuticals의 유화안정성 및 대장균에 대한 항균능력을 최적화하였다. 독립변수로는 황금추출물 첨가량과 올리브 유화왁스의 첨가량으로 설정하였으며, 반응치로는 제조한 cosmeceuticals의 유화안정도지수(ESI)와 대장균 억제직경을 설정하였다. CCD-RSM을 통하여 95% 신뢰구간 내에서 통계학적으로 합리적이며 신뢰성이 우수한 회귀방정식을 얻었다. 다중반응의 최적화를 통하여 유화안정도지수와 대장균 억제직경을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 유화조건으로 황금추출물 첨가량은 3.7 wt%, 올리브 유화왁스의 첨가량은 2.7 wt%이었으며, 산출된 유화안정도지수와 대장균 억제직경의 예측값은 각각 97.9%와 9.7 mm로 나타났다. 최적 조건에서 실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유화안정도지수 및 대장균 억제직경은 각각 95.0%와 9.4 mm로 측정되어 다중반응에 의한 예측값과의 평균오차율은 3.2 ± 0.4%로 나타났다.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opeptide Biosurfactant from Bacillus subtilis A8-8

  • Lee Sang-Cheol;Yoo Ju-Soon;Kim Sun-Hee;Chung Soo-Yeol;Hwang Cher-Won;Joo Woo-Hong;Choi Yong-Lar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16-723
    • /
    • 2006
  • A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al strain was selec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because of its ability to degrade crude oil and tributyrin $(C_{4:0})$.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A8-8 based on its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hen B. subtilis A8-8 was grown with crude oil as the sole carbon source, the biosurfactant from the strain emulsified crude oil, vegetable oil, and hydrocarbons. Soybean oil was the optimum substrate for the emulsifying activity and emulsion stability of the biosurfactant, both of which were superior to those of several commercially available surfactants. The biosurfactant was purified by a procedure including HCl precipitation, methanol treatment, and silica-gel chromatography. The partially purified biosurfactant was analyzed by TLC (thin-layer chromatography), SDS-PAGE, and HPLC and it reduced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from 72 mN/m to 26 mN/m at a concentration of 30 mg/l. Therefore, the purified lipopeptide biosurfactant has strong properties as an emulsifying agent and acts as an emulsion-stabilizing agent.

액정상을 이용한 O/W형 에멀젼의 제조 및 제형 안정화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Stabilization of an O/W Emulsion Using Liquid Crystalline Phases)

  • 안봉전;이진태;이인철;곽재훈;박정미;박찬익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36
    • /
    • 2004
  • Liquid crystalline phases were formed from acylglutamate; polyglyceryl-10 myristate and glycerine mixture and they were used as a base material for preparing an O/W emulsion. When an oil phase is added into the liquid crystalline phases, it was inserted into the dispersed liquid crystal droplets rather than stayed outside the liquid crystals, which can be known by the fact that the size of liquid crystal droplets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oil phase content.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droplet size, the complex modulus increases from 100 to 350 pascals and the loss angle decreases from 60 to 24 degrees, from which it can be known that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phase volume results in the increase in the elastic property of oil in liquid crystalline-phases (O/LC). When the water phase was lastly added into the O/LC phase, the emulsification occurred to form a O/W emulsion and the averaged particle size of the O/W emulsion changes from 22.5nm to 538nm with the addition of water phase. The results from the droplet size measurements and stability tests under accelerated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show that the obtained O/W emulsion is very consistent with time.

벙커 C유를 사용한 에멀젼 연료유의 배기가스 특성 (Emission Evaluation of Emulsion Fuel Prepared from Bunker C Oil)

  • 임흥균;이명진;지경엽;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28권2호
    • /
    • pp.186-1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OIMS90과 NP12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물/벙커 C 오일 비율, 계면활성제 농도 및 조성, 유화 시간, 교반 속도 및 시간, 온도 등을 변화시키면서 유중수적형(water-in-oil, W/O) 에멀젼 연료를 제조하였다. OIMS90과 NP12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에멀젼 연료는 벙커 C 오일에 비하여 미세먼지, $NO_2$, CO, $CO_2$$SO_2$ 등의 연소배기 가스 중의 대기 오염물 방출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계면활성제 조성 OIMS90/NP12 = 4 : 6, 계면활성제 농도 500 ppm, 수분 함량 10%을 사용하여 $80^{\circ}C$에서 제조한 에멀젼 연료가 배기가스 오염물 저감 효과가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일러 효율 측정 시험 결과, 에멀젼 연료가 벙커 C 오일과 비교하여 우수한 디젤 엔진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었다.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합성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 -Poly[DMA-co-DAMA] 에멀젼을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방수성- (The Study on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Polymer Dispersion for Cement Modifier -The Waterproffing Effeet of Cement Mortar by Poly[DMA-co-DAMA] Emulsion-)

  • 김영근;허동섭;박홍수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669-680
    • /
    • 1994
  •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함유한 긴 탄화수소 화합물인 dodecylmetacrylate와 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로부터 DMA-co-DAMA를 합성하고 물에 쉽게 유화시키기 위해 양이온화 하여 아세트화 아크릴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와 아세트화 공중합체의 구조를 IR, NMR 등으로 확인하고 GPC로부터 분자량을 산출하였으며 C. H. N분석도 하였다. 아세트화 아크릴 공중합체는 물에 완전히 유화가 가능하였고 물에 대한 유화 안정성이 증진되었다. 위에서 합성한 아세트화 아크릴공중합체에 Sodium Silicate Sodium gluconate, Oleic acid, Triethanolamine을 브렌딩하여 제조된 혼화용 폴리머 분산제(PDCM-PDD)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가지고 용융시험한 결과 45배 희석시 강도비 1.02, 흡수비 0.36~0.57, 투수비는 수압 $100g/cm^2$에서 0.44, $3kg/cm^2$에서 0.55로 우수한 방수성을 확인하였다.

  • PDF

라벤더와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 나노에멀션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Lavander and Rosemary Essential Oil Nanoemulsions)

  • 김민수;이경원;박은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6-263
    • /
    • 2017
  • Purpose: Essential oils are secondary metabolites of herbs and hav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However, their applications for food protection are limited due to the hydrophobic and volatile natures of essential oils. Methods: In this study, essential oil nanoemulsions of rosemary and lavender were formulated with non-ionic surfactant Tween 80 and water using ultrasonic emulsification, and their antibacterial effect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nanoemulsions were evaluated against 12 strains of 10 bacterial species, and significant antibacterial effects were observed against four Gram-positive and four Gram-negative bacteria but no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Shigella sonnei. In the disc diffusion test, the diameter of the inhibition zone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nanoemulsions. Using cell turbidity measurement,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of the nanoemulsions, which is the lowest concentration reducing viability of the initial bacterial inoculum by ${\geq}99.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nanoemulsions. The largest bactericidal effects of lavender and rosemary essential oil nanoemulsions were observed against S. enterica and S. aureus, respectively. Conclusion: Nanoemulsion technique could improve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nanoemulsions by increasing the solubility and stability of essential oils. Our findings shed light on the potential use of essential oil nanoemulsions as an alternative to chemical sanitizers in food 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