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recover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픽셀 단위의 정밀한 방향성 보간을 이용한 공간적 에러 은닉 기법 (A Spatial Error Concealment Using Pixelwise Fine Directional Interpolation)

  • 김원기;구자성;진순종;정제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2C호
    • /
    • pp.124-13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송 에러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의 손실을 정밀한 방향성 보간(FDI: Fine Directional 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복원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공간 방향 벡터(SDV: Spatial Direction Vector)를 도입한다. 공간 방향 벡터는 손실블럭 주위의 영상 데이터의 에지 정보를 추출하여 구한다. 이 후 손실된 영상 블록은 공간 방향 벡터를 이용하여 픽셀단위로 적응적으로 보간함으로써 복원된다. 이러한 방식은 평탄한 영역뿐만 아니라 에지를 포함한 복잡한 영역도 우수하게 복원할 수 있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공간적 에러은닉 방법과 비교하여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eterminants of the Demand for Credit Facilities: Evidence from the Banking Sector in Jordan for the Period 2012-2021

  • ALRAWASHDEH, Salah Turki;ABKAL, Ahmad Mahmoud;ZYADAT, Ali Abdelh Fatta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0권1호
    • /
    • pp.181-187
    • /
    • 2023
  • The study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inflation rate, the real domestic product, the interbank lending interest rate, and the total deposits on credit facilities in Jordan for 2012-2021 through quarterly data. The study adopted the ARDL model. The study used the time series analysis method, as the study tests the stationarity of the time se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 of inflation on the total credit facilities was negative. In contrast, the impact of each of the total deposits, real GDP, and the interest rate of interbank loans on the total credit facilities was positive and significant. The study recommended the need for the banking sector in Jordan to develop risk management mechanisms in a way that allows it to adapt to economic cycles and crises by conducting stress tests and developing scenarios that ensure the formation of sufficient provisions to meet emergencies. The study also recommended that the macroeconomic policy should be based on creating a stable macroeconomic environment that allows the efficient employment of resources in all economic sectors in a way that achieves high economic growth rates, which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economic recovery and is reflected in income. Hence, individuals have a greater ability to repay loans.

SRF 제조·활용 시설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Effects of the Expanding Manufacture and Utilization of Solid Refuse Fuel (SRF) Facilities in Korea : An Input-output Analysis)

  • 조용철;박소연;유승훈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95-103
    • /
    • 2016
  •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면서 친환경적으로 폐기물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폐기물을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로 제조 및 활용하는 시설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에서 가장 최근에 발표한 2014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한편, SRF 제조 활용 시설 부문이 산업연관표에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시도하여 SRF 제조 활용 시설 부문을 중심에 두고 외생화를 하였다. 분석결과,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를 위한 1원 투자의 생산유발효과는 1.9993원이었으며,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6747원이었다. 아울러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를 위한 10억원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11.1982명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략적인 정보는 SRF 제조 활용 시설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대공황에 대한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The Great Depression in High School Social Science Textbooks : Critiques and Suggestions)

  • 김두얼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0권1호
    • /
    • pp.171-209
    • /
    • 2008
  • 대공황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역사적 사건 중 하나로, 현재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들은 근대 경제의 형성과 관련해서 대공황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하지만 대공황에 대한 교과서의 서술들을 분석해 보면, 부실한 논리 전개나 틀린 사실의 수록, 나아가 교육적으로 부적절한 표현들을 실은 사례가 다수 발견된다. 궁극적으로는 교과서들이 제시하고 있는 대공황에 대한 목적론적 해석, 즉 자유방임주의 혹은 시장의 본원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과잉생산이 초래되어 대공황이 발생하였으며, 국가개입을 통해 대공황이 해소되었다는 해석 자체가 경제사학자들의 연구 결과와 부합하지 않는다. 사회와 역사에 대한 균형 잡힌 인식의 함양이라는 사회교과의 목적을 위해서는 대공황에 대한 서술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마음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olor Mind Expression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Mind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 백현기;윤지원;하태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7-124
    • /
    • 2020
  •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교육 이외에도 인간의 정서, 행동, 신체 간의 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색채표현을 관찰하여 대학생의 내면과 성향을 이해하고, 색채표현활동이 심리표출과 자아표현, 감정 해소의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마음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찾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내면 감정과 정서 표현에 영향을 미쳤으며, 색채심리와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취업준비 등의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부정적 정서에 긍정적 및 심리적 회복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Recovery and Return to Work After a Pelvic Fracture

  • Papasotiriou, Antonios N.;Prevezas, Nikolaos;Krikonis, Konstantinos;Alexopoulos, Evangelos C.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2호
    • /
    • pp.162-168
    • /
    • 2017
  • Background: Pelvic ring fractures (PRFs) may influence the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of the injured.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functional outcomes and factors related to return to work (RTW) after PRF. Methods: During the years 2003-2012, 282 injured individuals aged 20-55 years on the date of the accident, were hospitalized and treated for PRFs in a large tertiary hospital in Athens, Greece. One hundred and three patients were traced and contacted; 77 who were on paid employment prior to the accident gave their informed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which was conducted in early 2015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included variables related to injury, treatment and activities, and the Majeed pelvic score. Univariat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ssessment. Results: Almost half of the injured (46.7%) fully RTW, and earning losses were reported to be 35% after PRF. The univariate analysis confirmed that RTW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ccident site (labor or not), the magnitude of the accident's force, concomitant injuries, duration of hospitalization, time to RTW, engagement to the same sport, Majeed score, and complications such as limp and pain as well as urologic and sexual complaints (p < 0.05 for all).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ccident sustained out of work (odds ratio: 6.472, 95% confidence interval: 1.626-25.769) and Majeed score (odds ratio: 3.749, 95% confidence interval: 2.092-6.720)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of full RTW. Conclusion: PRFs have severe socioeconomic consequences. Possible predictors of RTW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health management and policies.

근무년수에 따른 학교급식 영양사의 근무환경.급식환경 및 직무 수행도 분석 (Job environment, foodservice environment and work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 according to years of service in Daejeon/Chungnam province)

  • 한장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6호
    • /
    • pp.573-58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jobs and foodservice environments, as well as work performances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in accordance to the years of service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a total of 415 from selec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areas.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tatus of their job environments and foodservice environments by frequency, and the averages and differences in work performance with regard to 12 work parts and 57 works using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ccording to the years of service. Six parts among 12 work par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years of service. The 6 work parts were menu (nutrition) management, utensil recovery and management, sanitation management, foodservice administration & evaluation, dietary habit guide, and other works. The 11-15 years group ranked as the top on the total score and means of work performance. While the 16-years or more group, 6-10 years group, and under 5 years group followed consecutivel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job or foodservice environments and work performances showed that work performances of school dietitians were mostly influenced by employment status, education level, and annual salary among the variables of job or foodservice environments. Other works, dietary habit guides and menu management were mostly influenced by variables of job and foodservice environments.

이산선택모형을 이용한 워크아웃기업의 회생요인 분석 (Success Factors of the Korean Corporate Workouts)

  • 강 동 수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6권1호
    • /
    • pp.71-10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기업구조조정의 세부수단을 계량화하고 각 수단과 워크아웃기업의 회생 여부 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채권자 및 채무자 관점 모두에서 워크아웃을 신청할 당시 기업의 채무구조가 동 기업의 회생 여부에 매우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부채조정수단이 워크아웃기업에 큰 영향이 없었던 가운데 이 중 출자전환이 비교적 유효한 구조조정 수단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구노력, 고용조정, 그리고 경영진 및 지배구조 교체는 워크아웃기업의 회생 여부에 미친 유의성이 낮았다. 워크아웃기업이 회생하는 데 있어서 세부적인 기업구조조정수단, 즉 채무재조정, 자구노력, 고용조정, 지배구조개선 등보다는 워크아웃 신청 당시 기업의 채무구조가 중요하였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워크아웃은 기업구조조정을 통한 효율적인 자원배분보다는 채권회수율을 제고하려는 채권자와 금융위기를 극복하려는 정책당국자의 유인구조에 충실하였던 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 PDF

CAD 프로그램을 활용한 트리코트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Tricot Textile Design Process using Tricot CAD Program)

  • 최경미;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5호
    • /
    • pp.1-16
    • /
    • 2015
  • The appearances and geometry structures of knitted fabrics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ir functions as textile fabrics. Structural design of the woven fabric, prior to the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e weaving mill, often leads to a similar predictable appearance in the final outcome with the corresponding weave design. The increase of the employment of elastic textile yarns in knitting fabrics for comfort stretch or outdoor sports wear knit products has, however, resulted in difficulties in predicting the final appearance of the knit structure design. Due to the stretchability and exceptional recovery behavior of the elastic yarns such as polyurethane elastomeric yarns, the appearance of the final product often differs from the initial knit design. At textile CAD program for preparing tricot knit designs has been employed in this study to predict the two dimensional appearance of the desig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designs and corresponding knit products seem to be acceptable for the two-dimensional textile CAD program in this study. However, when elastomeric yarns are partially employed in the polyester filament tricot product, a considerable amount of departure from the design is apparent due to the constriction and/or deformation of property differences in the elastomeric yarns and polyester filament yarns. Therefor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eparture of the final tricot product from the initial tricot design, especially in the case employing elastomeric yarns in the knit structure together with regular polyester filament yarns. For measuring the three-dimensional departure, a 3D scanning system has been used for the mesh reconstruction of the fabric specimen. Hopefully, the result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guide to modify and improve the current textile CAD program proposed for the two-dimensional simulation of the tricot.

과중채무자의 사회경제적 박탈에 관한 연구 (Indebtedness and Socioeconomic Deprivation : A Study of Debt Relief Program Users)

  • 탁장한;박정민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173-20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르게 증가하는 가계부채가 중요한 사회적, 경제적 이슈가 된 현 시점에 과중채무자들의 생활상을 물질적 결핍과 사회적 결핍을 포괄하는 '사회경제적 박탈' 개념을 활용하여 조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채무조정제도를 이용하는 과중채무자들을 면접조사한 데이터(N=209)를 분석하였고, 한국복지패널의 일반집단 및 저소득집단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과중채무집단이 일반인구 및 저소득집단에 비하여 생계, 고용, 주거, 건강, 사회적 관계 차원에서 모두 결핍수준이 월등히 높으며, 과중채무집단 내부에서는 개인파산집단의 결핍수준이 개인회생, 개인워크아웃, 기타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토대로 과중채무자와 채무조정제도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