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needs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28초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 생활실태와 서비스 욕구 분석 (Analysis on Life Condition and Needs for Welfare Servi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dult in Gyeongbuk)

  • 박주영;김동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29-244
    • /
    • 2018
  • 본 연구는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성인 여성장애인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1명, 고졸이하, 무배우, 정신적 장애로 경제활동 고용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2명, 고졸이하, 유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일상생활지원, 경제활동 고용,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1인 가구, 자녀수 3명, 초졸이하, 무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건강 의료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경제활동 고용 지원으로 직업훈련, 취업지원, 경력개발 지원으로 최근 경북 핵심사업인 신소재 산업, 스마트 프로젝트, 농산업, 관광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또한, 직업재활시설의 확대도 요구된다.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일상생활 지원, 임신 출산 양육 지원이 요구되므로 산간지역으로 대중교통 접근이 어려운 곳은 교통인프라 마련과 여성장애인 전용 산부인과 지정제 도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건강 의료 서비스 지원으로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등과 연계하여 정기 방문, 신체 및 심리 지원, 가정활동 지원이 필요하다.

Time Use Analysis of Married Paid Workers by Employment Types

  • Lee, Hyun-Ah;Cho, Hee-Keum;Lee, Seung-Mie;Han, Young-Sun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6권2호
    • /
    • pp.5-13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ime use of employees to see how they make a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We tried to analyze time use and time pressure of married paid work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work and family balance. Methodology - Time use was compared by employment types and time pressure groups.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ime pressure, dividing two employment types. The data were selected from the 2009 Korean Time Use Survey. Results - Those who feel time pressure among full-timers spent more time on work and housework and less time on personal care and leisure than those who do not feel time pressure. Logit analysis on time pressure showed that full-timers feel more time pressure than part-timers do. Gender, age, education, income, day-off type, and the presence of preschool children were significant variables on time pressure. Conclusion - These results imply that time use and time pressure for married paid workers are affected by employment types. Flexibility of labor needs to enhance work and family balance for female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고용 불안에 관한 미국 커리어 자기계발 담론의 고찰 (A Study of Career Self-Help Discourse on Employment Insecurity in the U.S.)

  • 주정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34-140
    • /
    • 2019
  • 본 논문은 미국 화이트칼라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한 융합 정보를 제공하고 대중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체들 중 하나로써 커리어 자기계발 조언을 고찰한다. 이에 본 논문은 특히 커리어 자기계발 조언이 1980년대 이래 점차 일반화되어 온 미국 화이트칼라 고용 불안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으며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논문은 대표적인 커리어 조언서 및 자기계발서들의 고찰을 통해 이 문제를 고찰하고 이들이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의 고용 불안을 불가피한 것으로 제시하며 이를 긍정적인 변화로 받아들이도록 조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의 문제점으로 고용 불안에 관한 커리어 자기계발 담론이 어떻게 기업의 필요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본다.

수도권 주부의 취업유무에 따른 가사작업수행과 코하우징 요구의 차이 (Housework Performance and Difference of Cohousing Need Depending on the Housewife's Employment Status in the Metropolitan area)

  • 최정신;한주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75-190
    • /
    • 2004
  • The purposed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a basic material of Korean-typed cohousing plan for a dual-income family b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ohousing residing environment needs. Selecting Employed and unemployed housewives as this research's subject,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1) The housewives takes responsibility of the household work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are employed. Also, more than half of employed housewives stated that the time of nursery facilities was shorter than their needs and that they favored a nursery facility located inside the residential area. 2) The most meaningful difference of cohousing residing environment needs was the demand for sharing household work in terms of cohousing need of the subjects. The desirable cohousing area is the suburbs of the metropolitan areas and the preferable resident organization is need to be organized by people sharing the same goal through an announcement. 3) The need of cohousing and residence intention were generally low, but the employed housewives' need was higher than the unemployed ones.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 (Differences and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by Employment Type)

  • 문영만
    • 산업노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9-175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데이터(5차~13차)를 사용하여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직이 비정규직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을 고용형태별로 세분화하여 직무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비정규직 내에서는 한시적 근로가 가장 높았으며, 장기임시직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직업선택 방식에 따른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발적으로 직업을 선택한 경우가 비자발적으로 직업을 선택한 경우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정규직은 모든 변수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정규직은 고용유형에 따라 제한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 방식에 따른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의 경우, 자발적으로 직업을 선택한 그룹은 경력변수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자발적으로 직업을 선택한 그룹은 성별, 임금 등 일부변수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를 분석할 시에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만 구분하는 것보다 고용형태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으며, 직업선택 방식(자발적/비자발적) 또한 고려될 필요가 있다.

대학생 취업 소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Time to College Students' Employment)

  • 김민석;안은비;유경숙;정효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7-35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소요기간 및 정규직으로의 취업 소요기간에 있어서 개인의 특성, 대학의 특성 및 대학에서의 교육 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1개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문계열 전공자에 비해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 전공자의 취업소요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나 전공계열에 따른 취업 소요기간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또한 남성일수록, 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자일수록 취업 소요기간이 길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분석에서 취업 소요기간은 대학 특성 및 대학에서의 경험보다 개인 특성으로 더 많이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공계열별 차별화된 지원, 학생들의 요구에 맞춘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 결론을 도출하였다.

청년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조건과 직업탐색행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Good Job Condition of Which Young People Think and the Impact of Job Search Behavior on Employment)

  • 장욱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51-368
    • /
    • 2021
  • 본 논문은 청년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조건과 직업탐색행동이 취업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과변수로는 취업여부와 더불어 구직성과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조건으로는 기업측면에서는 임금·급여, 환경측면에서는 직업안정성, 개인측면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탐색행동이 취업여부 및 구직성과에 영향을 주는 핵심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들이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구직스트레스는 취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에 대한 경험은 취업 및 구직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년들의 취업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청년구직자의 적극적인 직업탐색행동 빈도를 높여주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청년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청년정책 서비스 모델개발과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양성과 임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in Training and Employment of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 조주환;김상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64-472
    • /
    • 1997
  • 과학교사 교육의 목표는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가장 이상적이고 훌륭한 과학교사를 양성하는데 두고 있으며, 양성 교육과정은 전문적 이론과 실제를 통한 수준 높은 학술적 체험과 활동 과정을 거쳐 '유능한 과학교사'와 동시에 '존경받는 스승'을 양성하는 과정이어야 한다. 따라서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양성 체제와 임용 제도의 문제점 및 그 개선 방안은 첫째, 임용시험 제도 폐지와 수습 교사 제도를 도입하거나, 공 사립학교가 공히 공개 임용시험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둘째,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편으로 과학내용학, 과학교육학의 협동적 연구를 강화하고 현장의 요구와 교육과정의 연계를 구현하며 셋째, 교사 양성 기관의 행 재정적 지원 체제를 확립하여 우수 과학교사 양성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 PDF

사서직 고용현황 및 인력개발에 대한 현장사서 요구 분석 (Analysis of Field Librarians' Employment Need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Librarianship)

  • 노영희;안인자;오세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91
    • /
    • 2013
  • 사서직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인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과 관련된 인력수급 전략과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 고도화를 위한 기초 취업 현황, 취업 환경 및 관련 이슈의 종합적 분석 등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 환경과 관련 제도 및 법을 포함하는 정책적 환경, 인적자원 양성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사서직 수요조사를 통하여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서직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서직의 여성에 편중된 성별 불균형 현상, 비정규직 증가, 그리고 도서관 분야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임금이나 복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사서의 사서직 교육 요구사항으로 현장 전문가 멘토링, 단기인턴십, 사서실습 등을 제시하고 있었고, 취업요건으로 인턴이나 실습,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경력관리 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관기관의 사서자격증 보유자는 20%나 더 많은 사서자격증 보유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자의 재취업과 재취업 형태에 관한 연구 : Weibull Survival Model과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한 분석 (Unemployment Duration and Re-employment Pattern : An Analysis using Weibull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 강철희;김교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9권
    • /
    • pp.5-40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실업자의 실업기간과 재취업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기초하여 보다 바람직한 고용관련정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보건사회연구원과 노동연구원이 공동으로 실시한 '1998년도 전국 실업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Weibull 모델과 Logistic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 실업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연령, 가구 월 평균소득, 가구주 여부, 결혼 여부, 이전 직장의 규모, 실직사유 등의 변수가 실업자의 실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고, 연령, 이전 직장의 직종과 근무형태, 고용보험가입 여부 등의 변수가 실업자의 재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불안정한고용상태와 실업, 그리고 실업과 불안정한 재취업의 순환을 반복할 수 있는 취약계층 근로자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실업대책의 필요성을 논하면서 정책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