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mployment Duration and Re-employment Pattern : An Analysis using Weibull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실업자의 재취업과 재취업 형태에 관한 연구 : Weibull Survival Model과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한 분석

  • Kang, Chul-Hee (Ewh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 Kim, Kyo-Seong (Sej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 강철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교성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 Published : 1999.12.25

Abstract

Little is known about unemployment duration and re-employment pattern.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unemployment duration and re-employment pattern using data by the 1998 national survey about the unemployed and their needs. A parametric survival model(Weibull model) is adopted to identify variables predicting unemployment duration. It is found that the data including people without unemployment insurance as well as people with unemployment insurance fit the Weibull model including the hazard distribution that the hazard of reemployment is increasing at an decreasing rate. Variables that affect unemployment duration are age, householdership, family income, size of prior employment organization, and cause of unemployment. In re-employment pattern,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re age, type of prior employment industry, prior employment pattern, and membership in unemployment insurance. This paper provides a basic knowledge about realities of unemployed individuals in the economic crisis period of Korea, identifies research areas for further research, and develop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unemployed.

이 연구의 목적은 실업자의 실업기간과 재취업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기초하여 보다 바람직한 고용관련정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보건사회연구원과 노동연구원이 공동으로 실시한 '1998년도 전국 실업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Weibull 모델과 Logistic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 실업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연령, 가구 월 평균소득, 가구주 여부, 결혼 여부, 이전 직장의 규모, 실직사유 등의 변수가 실업자의 실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고, 연령, 이전 직장의 직종과 근무형태, 고용보험가입 여부 등의 변수가 실업자의 재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불안정한고용상태와 실업, 그리고 실업과 불안정한 재취업의 순환을 반복할 수 있는 취약계층 근로자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실업대책의 필요성을 논하면서 정책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