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ee safety behavior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7초

제조업체에서 상사-구성원 교환관계가 부하직원의 직무몰입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Manufacturing Company's Leader-Member Exchange on Employee's Job Commitment and Safety Behavior)

  • 최형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3-81
    • /
    • 2016
  • In manufacturing company, safety is a important issue because it can cause many cost and problems of company. So reduce safety accident can increase manufacturing company's productivity. Safety accident has close relationship with employee's behavior, which is 'safety behavior'. In this study, researcher try to find out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and employee's job commitment effect on safety behavior in manufacturing company. A total of 279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manufacturing company's employees.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study show us that leader-member exchange has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job commitment and safety behaviot. And job commitment has posi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 Base on this empirical result, researcher provide critics and manageric implication for manufacturing companies.

"윤리적 리더십이 안전을 만든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Ethical Leadership Makes Safety" :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Safety Behavior)

  • 김병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59
    • /
    • 2022
  • Considering that extant studies on safety behavior have paid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employee's safety behavior.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fluence of CSR on safety behavior and its intermediating mechanism such as mediator and moderator. To be specific,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psychological safety in the CSR-safety behavior link, also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psychological safety. As expected in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at CSR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psychological safety, which has a positive (+) impact on safety behavior. Also, employee's psychological safet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SR and safety behavior. Lastly, ethical leadership moderated the CSR-psychological safety link.

제조업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가 근로자 안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sk Assessment on Employee Safety Behavior in Manufacturing Workplaces)

  • 노현승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0-59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risk assessment on employee safety behavior in manufacturing workplace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ystem in the workplace affect the risk assessment of manufacturing sites. Methods: This research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s 201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ata. The sample for study is 1,967 manufacturing workplac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hi-square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25.0). Results: As a result of the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risk assessment had an effect on employee safety behavior (t=4.435, p=<.001). Furthermore, the size of the workplace affected employee safety behavior (t=2.494, p=<.001). In addition, the presence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rganizations affected employee safety behavior (t=4.301, p=<.001). The factors of the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 (𝑥2=35.245, p=<.001),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mmittee (𝑥2=149.440, p=<.001), and the supervisor (𝑥2=16.472, p=<.001)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risk assessment in the manufacturing workplace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isk assessment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level of workers' safety behavior in manufacturing workpla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or activating risk assessment at manufacturing workplaces.

건설업에서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용불안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Worker's Safety Behavior: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 서정규;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27-138
    • /
    • 2017
  • 건설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산업안전사고의 감소율이 현저히 낮으며, 안전사고가 종사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을 미치는 등 그 사고의 결과가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전관리가 그 어느 산업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업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건설사에 종사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이 안전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안전행동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건설업에서 종사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인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부산지역 건설업 종사원 20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그리고 규범적 몰입 모두 안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즉 안전에 대한 종업원의 행동을 개선하고, 조직이 정한 안전행동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조직에 대한 몰입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결과 지속적 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용불안의 조절효과만이 나타났다. 즉, 고용불안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즉 고용불안이 "저"인 집단이 고용불안이 "고"인 집단보다 지속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았다. 조직몰입이 건설업 종사자의 안전에 대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불안의 조절효과에 관한 본 연구의 실증연구 결과를 토대로 건설업 경영자에 제공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ole of Supervisor Behavioral Integrity for Saf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p-Management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Performance

  • Peker, Mehmet;Dogru, Onur C.;Mese, Gulgu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2호
    • /
    • pp.192-200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mployee perceptions of supervisor behavioral integrity for safe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p-management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i.e., safety compliance and safety participation) and the mediated relationships through safety motivation. Methods: Data collected from 389 blue-collar employees were analyzed using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op-management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and the mediating role of safety motivation were replicated. Moreo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mediated relationships between top-management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through safety motivation were stronger for employees who report high supervisor behavioral integrity for safety.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e role of supervisor behavioral integrity for safety in clarifying how the employee perceptions of top-management safety climate transfer to the employee safety behaviors through the motivational pathway.

코칭 리더십은 안전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일의 의미와 조직 지원 인식의 순차적 매개 효과 (The Influence of Coaching Leadership on Safety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Moderating Effect of Perspective Taking)

  • 김병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443-4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코칭 리더십이 안전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았을 뿐만 아니라, 이 두 변인 사이의 정교한 작동 기제(순차적 매개 변인들)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코칭 리더십과 안전 행동 사이에서 구성원들의 일의 의미와 조직 지원 인식이 순차적으로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250명의 직원들로부터 세 시점에 걸쳐서 수집한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 방정식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코칭 리더십은 직원들의 일의 의미와 조직 지원 인식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안전 행동을 향상시켰다.

코칭 리더십과 직원들의 안전 행동 사이의 관계: 조직 지원 인식과 조직 동일시의 순차적 매개 효과, 그리고 직무 과부하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The Association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 Overload )

  • 홍윤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69
    • /
    • 2023
  • Previous works on safety behavior have paid less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several leadership styles on safety behavior. Among the various leadership styles, I focus on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safety behavior. To be specific,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coaching leadership on safety behavior and its underlying mechanisms (mediator) as well as contextual factor (moderator). This research examine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Also, work overload will negatively moderate the coaching leadership-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link. My results showed coaching leadership increases employee safety behavior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addition, work overload functions as a negative moderator which diminishes the positiv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건설안전교육이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on Unstable Behavior)

  • 김영권;박종용;김성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54-164
    • /
    • 2021
  • 연구목적: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이 실시된 지 10년이 지난 지금 더 이상의 보수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으며,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한 사람은 신규채용자교육도 면제되고 있어서 안전교육이 부실화되고 있다. 조속히 보수교육과 신규채용자교육의 법제화로 불안전한 행동의 유발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건설안전교육인 기초안전보건교육과 신규채용자교육이 불안전한 행동인 Human Error와 위반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를 설문을 통한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조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과 신규채용자 교육이 재해의 인적 요소인 Human Error와 위반 행동 감소에 많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속적인 안전교육이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기초안전보건교육의 보수교육과 신규채용자 교육의 법 개정으로 안전교육의 부실화를 방지하여야 한다.

서번트 리더십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 효과 및 조망 수용의 조절 효과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Safety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Moderating Effect of Perspective Taking)

  • 김병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301-30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이 안전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을 뿐만 아니라, 이 두 변인 사이의 작동 기제, 즉 매개 변인 및 조절 변인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과 안전 행동 사이에서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감이 매개할 것이며, 이에 더해 이들의 관점 수용 능력이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사이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235명의 직원들로부터 세 시점에 걸쳐서 수집한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직원들의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로 안전 행동을 향상시켰다. 이에 더해서, 관점 수용 능력은 서번트 리더십이 심리적 안전감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증폭시켰다.

윤리적 리더십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 효과 및 도덕 정체성의 조절 효과 (The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on Safety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Moderating Effect of Moral Identity)

  • 김병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433-44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이 안전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았을 뿐만 아니라, 이 두 변인 사이의 작동 기제(매개 변인) 및 조절 변인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과 안전 행동 사이에서 직원원들의 심리적 안전감이 매개할 것이며, 이에 더해 이들의 도덕 정체성 수준이 윤리적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사이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227명의 직원들로부터 세 시점에 걸쳐서 수집한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로 안전 행동을 향상시켰다. 이에 더해서, 도덕 정체성 수준은 윤리적 리더십이 심리적 안전감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증폭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