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character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6초

애니메이션 속성이 관람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네티즌 평점.리뷰 게시판을 중심으로 (Spectator Evaluation Process for Animation : Focusing on Netizen Grades and Review Bulletin Board)

  • 소요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3호
    • /
    • pp.115-131
    • /
    • 2008
  • 본 연구는 관객이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관람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관람 후 네티즌 평점 리뷰 게시판의 평점과 언급된 평가 내용들을 중심으로 하였고, 소비형태의 평가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초로 실용적 속성과 감성적 속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실용적 속성에서는 스토리, 캐릭터, 연출, 배경미술, 배경음악 성우더빙, 특수효과 제작사 등이 평가변인들로 나타났고, 감성적 속성에서는 재미 감동, 만족, 매력, 환상, 긴장 등의 평가변인들이 나타났다. 특히 두 속성간의 변인들은 개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두 속성간의 관계가 관람 후 애니메이션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애니메이션 관객은 구체적인 실용적 속성들에 대한 감성적 경험을 매개과정으로 작품 전체를 평가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PDF

<셰익스피어 인 러브> 인물 관계망을 통한 인지 감성 분석: 『로미오와 줄리엣』의 창작 및 욕망의 주체 (Cognitive Emotional Schema Analysis through Characters' Network in Shakespeare in Love : The Writing Process of Romeo and Juliet and the Subject of Desire)

  • 박은정;손기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425-435
    • /
    • 2016
  •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 인 러브> 시청자가 영화를 보는 과정에서 어떻게 스토리를 이해하고 감흥하는 지, 영화의 인물관계망을 중심으로 관객의 인지 감성 스키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4개의 인물관계망 그림을 절차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이들은 왜, 그리고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불후의 명작을 젊은 나이에 성숙하게 비극으로 만들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한 스토리 개연적 증거를 제시한다. 필자는 주인공 셰익스피어의 심리를 라캉의 "주체의 열망" 이론을 방법론으로, 셰익스피어의 글쓰기 과정이 셰익스피어로 하여금 영국 르네상스 시기의 대가로 도약하는 계기임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엘리자베스 여왕 영국 제국주의의 전성기 시대에 비올라를 욕망의 주체로 삼아서, 크리스토퍼 말로를 제치고 상류 사회로의 진입을 통해 예술적 대가로 도약하게 되었는지, 시청자의 스토리텔링 아키텍처를 인지 감성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레이어링을 사용한 3D 애니메이션 인간형 캐릭터의 감정 표현 방법 제안 (Suggestion of Emotional Expression with Human Character in 3D Animation using Layering Method)

  • 김주찬;석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17
    • /
    • 2015
  • 국내 게임 업계에서 비디오 게임 시장은 좁아지고 있고 그에 따른 자본과 인력 또한 줄어들고 있다. 이런 열악한 환경과 전문 기술력에서 나오는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보다 사실적이고 질적으로 뛰어난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과 평론가들에게서 캐릭터 감정 표현 및 전달이 잘 되었다고 평가받는 해외 전문 제작사의 애니메이션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애니메이션의 스크립트에서 Ekman의 6가지 기본 감정과 그레마스의 역동적 서술어를 이용해 캐릭터가 감정을 표현하는 행동을 선별하여 분석 및 분류하였다. 또한, 게임 제작 프로그램 유니티의 블렌딩 작업에 사용되는 '애니메이션 레이어'를 이용해서 캐릭터가 특정 감정을 표현하려 할 때 필요로 하는 행동들을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사용해서 감정을 표현하는 행동을 제작해주는 프로그램의 구상안을 제안한다.

초등학생들의 대인관계 기술 함양을 위한 통합적 적용방안 연구 (Study on the integrative appli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primary school students' personal relationship skills)

  • 최복희
    • 한국철학논집
    • /
    • 제25호
    • /
    • pp.71-71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어떻게 하면 바르고 선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 정서적 학습 이론에 근거한 통합적 접근"에 근거를 두고, 학생의 인격형성에 직간접적 영향을 끼치는 매체인 학교와 가정, 지역공동체(사회)를 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기관의 도덕교육과정과 주변환경의 잠재적 교육과정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사회정서적 능력 중에서도 본 논문은 연구의 중심 주제는 "사회인식(social-awareness) 및 대인관계 기술(relationship skills)"에 관한 부분을 특화하여, 동양윤리의 덕론을 활용하면서 인성교육의 통합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인식 및 대인관계 기술 함양"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동양윤리의 덕목들을 활용하였다. 사회적 역할 인식과 수행에서 합리적 태도를 선택하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이름을 바로잡는다(正名)"의 덕목을 활용하고, 내면의 도덕성 함양을 기초로 타인을 배려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나의 마음을 충실히 하여 남에게까지 미루어 이해한다(충서(忠恕))"를 활용할 수 있다. 또, 타인과의 갈등상황에서 신중한 자기반성을 우선하는 덕목으로는 "자기에게 돌이켜 구한다(반구제기(反求諸己))"가 있고, 대인관계에서 감정표현을 순화하는 "얼굴빛을 온화하게 하는 것이 어렵다(색난(色難))"는 덕목은 타인의 처지와 성격을 이해하고 그에 맞게 대처하는 방법이다. 대인관계에서 유익하고 긍정적인 성과를 도모하는 대인관계 기술로 "선한 점을 가려내어 그것을 따르고 선하지 않은 점은 고친다(택기선자이종지(擇其善者而從之), 기부선자이개지(其不善者而改之))"는 구절을 활용할 수 있다. 지속적인 대인관계에서 정서적 유능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오래 되어도 상대를 존중한다(구이경지(久而敬之))"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정명과 반구저기를 활용하여, 가정과 학교, 지역공동체의 세 영역을 통합한 하나의 방안을 구성해보았다.

애니메이션 및 영화에 등장하는 정서교감형 로봇의 캐릭터라이징 전략 - 외형과 행동 경향성 분석을 중심으로 - (Characterizing Strategy of Emotional sympathetic Robots in Animation and Movie - Focused on Appearance and Behavior tendency Analysis -)

  • 류범열;양세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8호
    • /
    • pp.85-116
    • /
    • 2017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및 영화와 같은 영상저작물에서 묘사되는 로봇이 핵심인물과 교감하고 애착을 형성하는 조건을 분석하여 정서교감형 로봇의 캐릭터라이징 전략을 정리하고자했다. 인공지능과 로봇 분야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 이상 공상과학의 영역이 아닌 현실의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영상저작물에서 창조된 정서교감형 로봇의 표현적 특성이, 향후 널리 보급될 것으로 예상되는 인간친화적 서비스 로봇계열의 표현적 구현 즉, 캐릭터성 구축에 있어서 의미 있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가정을 내릴 수 있었으며, 그 기초를 세우기 위한 목적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분석 대상은 현대적인 로봇의 개념을 천명한 1920년대 이후 제작된 영화와 애니메이션 중에서, 핵심인물과의 정서적 친밀성이 명확히 관찰되는 로봇 캐릭터로 한정했다. 그리고 로봇의 외형과 행동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1) 로봇의 외현적 인상을 5가지(인간적, 만화적, 도구적, 인공적, 애완동물적) 분류에 의해 유형화하고, (2) 성격의 외적 구현으로 여길 수 있는 행동 경향성은 DiSC 행동유형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유형화했다. 한편, 정서적 친밀성이 높은 로봇은 감정 수용력과 임무로부터의 독립성이 강하다는 공통점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교형과 안정형의 행동유형이 감정수용성이 높고, 사교형의 독립성이 높은 편이며, 신중형은 감정 수용성과 독립성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외현적 인상 분석을 통해 파악한 외형요인은 정서교감 능력에 대해 유의미한 관계성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정서적 교감 능력이 강한 로봇의 조건은, 현실의 인간 관계형성 과정과 유사하게, 첫인상보다는 소통을 통한 정서적 교감이 주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로봇의 캐릭터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실로 광범위한 분야에 대한 통섭적 역량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로봇 캐릭터를 디자인적 요인과 성격적 요인만으로 재단하기에는 인간과의 교감에 요구되는 방대한 정보를 온전하게 분석하기 어렵다는 한계 역시 통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를 위한 초석으로서, 간학문적 연구가 필요한 로봇의 개발에 애니메이션이 가지는 종합예술적 가치가 값지게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Criteria in ′Landscape and Memory′ as Sense of Pla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Mountainous Landscape

  • Jino Kwon;Shin, Joon-Hwan;Park, Myoung-Sub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9
    • /
    • 2003
  • Since the experience of major landscape change during last half of the century due to war and rapid urbanization, the traditional character has been weakened, and it is necessary for a reconsideration to improve the landscape for the future. To review these relationships, the importance of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ature has been suggested. Therefore identification of a new concept based on the 'socio-cultural influence of landscape' and 'sense of place' which are related to peoples' previous experience, is required. Furthermore more practical definitions and criteria to reveal the relationship are necessary. Among the terms suggested to describe sense of place such as 'home', 'place identity', 'place-based meaning' and 'settlement identity' etc., the 'home' is selected to represent our surrounding landscape. For more practical classification of home landscape, additional terms are suggested and defined based on both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and between memory derived from previous experience and shared values with in the community. The additional term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role of landscape character related to humans' are; ⅰ) Personal Landscape: Landscape of an individual human, which derives from previous personal experience; involves distinguishable character for a given person, and it is emotional and flexible depending on circumstances. ⅱ) Ordinary Landscape: Landscape of the 'common interest' between members of a community, which is acceptable as a surrounding for everyday daily life, it produces the richness and variety of landscape. ⅲ) Kernel Landscape: Landscape of the 'common ground' which is acceptable to the majority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it provides variety and stability for periods of time, and it could strongly represent community attitudes toward nature. ⅳ) Prototype Landscape: Landscape as the 'common denominator' of overall community from past to present and towards the future, which encompasses all the kernel landscape throughout history. It provides a sense of place, balances the homogeneity of character throughout overall communities. Some part of this can be shared throughout history to shape an overall sense of place. It can also represent short terms fashions. For a prototype landscape to reveal sense of place, there are a couple of points which we should underline the commencing point. First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should be based on a given character of surroundings. Secondly, reoccurring landscape elements which have sustained in history can lead to sense of place, and should be reviewed the influences between nature and humans.

  • PDF

제2수지-제4수지 길이 비율과 기질 및 성격 특성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2^{nd}$ to $4^{th}$ Digit Length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University Students)

  • 전상원;김석현;오동훈;이유상;이선혜
    • 생물정신의학
    • /
    • 제17권3호
    • /
    • pp.136-144
    • /
    • 2010
  • Objectives : The $2^{nd}$ to $4^{th}$ digit length(2D : 4D) ratio reflects the amount of exposure and sensitivity to the prenatal sex hormone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convenient and useful way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sex hormone in the determination of human behavioral trai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2D : 4D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 assumed that 2D : 4D ratio would show a strong correlation with temperament which is defined to be an inclination of an automatical emotional response to a stimulus. Methods : Participants were 104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2 self-report measures :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Temperament Test. We examined the 2D : 4D ratio of each subject by measuring the lengths of the $2^{nd}$ and $4^{th}$ fingers using a photocopy measurement.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es using correlation test and t-tes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2D : 4D ratio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 We found out the typical sex difference in 2D : 4D ratio. Women had significantly higher 2D : 4D ratio than men. TCI-Character factor(TCI-C) didn'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2D : 4D ratio. TCI-Tempterament factor(TCI-T) and the item of Temperament Tes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2D : 4D ratio. In correlation analysis of the total group including all women and men, the 2D : 4D rati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 subscale(shyness with stranger) of harm avoidance scales in TCI-T. In correlation analysis of women's group, the 2D : 4D rati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wo subscales( fear of uncertainty) and[shyness to stranger] of harm avoidance scales in TCI-T. In correlation analysis of men's group, the 2D : 4D ratio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 sanguine temperament item of the Temperament Test.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mount of exposure to sex hormone in the prenatal period seems to have an impact on the determination of temperament and characteristics.

정서 상태와 얼굴표정간의 연결 능력의 발달 (Developmental Changes in Emotional-States and Facial Expression)

  • 박수진;송인혜;김혜리;조경자
    • 감성과학
    • /
    • 제10권1호
    • /
    • pp.127-1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얼굴표정을 통하여 다른 사람의 정서 상태를 판단하는 능력이 연령(3세, 5세, 대학생), 성별(남, 여), 얼굴제시영역(얼굴전체, 눈), 정서의 종류(기본정서, 복합정서)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표정과 정서어휘 간의 연결이 비교적 분명하게 나타나는 32개의 정서 상태를 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표정사진은 32개의 정서 상태에 해당하는 얼굴표정을 배우에게 연기하도록 하여 사용하였다. 과제는 각 실험참가자에게 정서유발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야기 속의 주인공이 어떤 얼굴표정을 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한 후 네 개의 얼굴표정 중에 적절한 것을 선택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얼굴표정을 판단하는 능력이 증가하였으며, 눈만 제시한 경우보다는 얼굴전체를 제시하였을 때, 복합정서보다는 기본정서에서 더 좋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여자는 제시영역에 따른 수행의 차이가 없는 것에 반해, 남자는 눈 조건에 비해 얼굴조건의 경우에 더 좋은 수행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령, 얼굴제시영역, 정서의 종류가 얼굴표정을 통해 타인의 정서를 판단하는데 영향을 줌을 시사한다.

  • PDF

스텝 애니메이션과 감성 표현 사이의 정량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quantitative correlation between step anim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s)

  • 이지성;정재욱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141-148
    • /
    • 2004
  • 본 논문은 스텝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되어지는 감성을 정의하고, 스텝 관련 감성 자극 요소들을 추출 측정, 분석하여 스텝의 직관적인 감성 표현을 정량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실험 방법으로는 스텝 관련 27개의 감성 표현 어휘와 36개의 샘플 스텝 동영상의 상관관계를 설문 조사하였다. 통합된 데이터를 수량화 이론 III류를 이용하여 스텝의 감성적 멘털구조를 2차원 평면화 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감성 스텝은 가로의 자신감 축과 세로의 안정감 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밝혀내었다. 감성 스텝의 2차원 분포도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 불안감 쪽> 2사분면과 <자신감, 안정감 쪽> 3사분면은 데이터가 풍부한 반면 <소심함, 불안감 쪽> 1사분면과 <소심함, 안정감 쪽> 4사분면의 데이터 분포가 희박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그래프 분석을 통해 불안감이 느껴지면서 소심한 감성과 안정감이 느껴지는 소심한 캐릭터의 감성은 스텝만으로 표현하기에는 난해한 감성 표현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스텝의 신체 물리적 요소로는 <스텝의 간격> <스텝의 속도> <골반(Y축)의 움직임 각도> <팔 스윙 폭> <척추(x축)의 움직임 각도> <신체의 기울기> 6가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텝의 속도>와 <신체의 기울기>가 스텝의 감성 자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캐릭터의 미묘한 감성 상태를 스텝 애니메이션에 자연스럽게 표현해 내는 과정에 있어 애니메이터들의 주관적인 가성 표현들을 객관화, 정량화시키고자 하였으며 향후 이 데이터들을 활용한 멀티컨텐츠의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인성교육 이해방식과 방법론에 관한 일고찰 - 인간 본성과 감정의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한 인성교육으로의 전환 -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Method and Methodology of Character Education: A Transition to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a Correct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s Human Nature and Emotions)

  • 김성실
    • 대순사상논총
    • /
    • 제42집
    • /
    • pp.201-226
    • /
    • 2022
  • 인성교육은 먼저 인성에 대한 명확한 정의로부터 시작된다. 인성이 인간의 본성 혹은 성격이라는 주장들이 있으나 교육적 측면으로 이해한다면 인성은 곧 선하냐 악하냐에 대한 문제로 귀결된다. 인간의 본성으로 보나 성격으로 보나 결국 교육이라는 의미에서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입장에서의 교육과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입장에서의 교육은 상당한 차이가 난다. 오늘날 현대교육은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입장에서 교육은 미성숙한 자를 성숙한 상태로 이끄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면 한번도 선하게 된적도 없는 우리의 본성을 무슨 수로 선하게 만드는 교육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인가. 인성교육이 단순히 잘못된 사례를 중심으로 고쳐나가는 방식의 에티켓 교육이나 주입식 예의범절 교육이 된다면 그 이전에 잘못된 교육사례의 답습밖에 안될 것이다. 그런 의미의 인성교육은 교육이 아니라 교정이다. 교육은 인간의 미성숙하기에 끊임없이 교정·교화해나가는 절차가 아니라 완전한 나를 깨닫고 이해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본고에서는 인성교육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입장 하에서 인간의 선한 본성으로 드러난 감정을 중심으로 감정의 자기이해가 올바른 인성교육임을 말하고자 하였다. 인성은 교육 가능하지만 이때의 교육은 결코 없던 인성을 채워넣는 방식이 아닌 이미 완전하고 선한 나의 본성을 이끌어내는 방식이어야 한다. 어떤 행동을 '하지마'라는 부정적 명령보다 '왜 하면 안될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 그리고 그 이전에 내 감정이 그렇게 느끼고 말해주는 것에 귀 기울여 듣는 '감정의 자기이해'가 녹아들어가는 인성교육이 된다면 가장 바람직한 교육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