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Method and Methodology of Character Education: A Transition to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a Correct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s Human Nature and Emotions

인성교육 이해방식과 방법론에 관한 일고찰 - 인간 본성과 감정의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한 인성교육으로의 전환 -

  • Received : 2022.04.25
  • Accepted : 2022.09.14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Character education begins with a clear definition of character. There are claims that humanity is reducible to human nature or personality, but when approached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human nature soon boils down to the question of its ultimate goodness or wickednes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systems that emerge from the standpoint that human nature is evil versus the standpoint that human nature is good. With regards to educational outcomes, this can be observed both in terms of human nature and personality. Modern education today sees education as leading the immature to a mature state from the standpoint that human nature is evil. But if human nature is evil, how could we implement an education that would render it good? If character education becomes a system of etiquette education or one of instilling manners whereby simple wrong cases are righted, it would be nothing but a follow-up to the wrong educational cases that had been carried out previously. In that sense, character education is correction; not education. Education should be done in a way that realizes and understands the perfect self rather than unfolding as a process of constantly correcting and reinforcing immature human beings. In that sense, this paper posits that enabl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own emotions would serve as a correct form of character education. This would be a system of focusing on emotions that reveal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Personality can be educated, but education at this time should be a way to bring out a student's already good and even perfected nature. This is more realistic than replacing a 'faulty' character with a good character which supposedly did not exist previously. If personality education morphs into 'emotional self-understanding,' contemplations on 'why not to do' unsavory acts rather than mere negative commands 'don't do that,' and listening to what one's emotions intuit prior to and after given actions, then that would arise to the true standard of a good education.

인성교육은 먼저 인성에 대한 명확한 정의로부터 시작된다. 인성이 인간의 본성 혹은 성격이라는 주장들이 있으나 교육적 측면으로 이해한다면 인성은 곧 선하냐 악하냐에 대한 문제로 귀결된다. 인간의 본성으로 보나 성격으로 보나 결국 교육이라는 의미에서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입장에서의 교육과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입장에서의 교육은 상당한 차이가 난다. 오늘날 현대교육은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입장에서 교육은 미성숙한 자를 성숙한 상태로 이끄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면 한번도 선하게 된적도 없는 우리의 본성을 무슨 수로 선하게 만드는 교육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인가. 인성교육이 단순히 잘못된 사례를 중심으로 고쳐나가는 방식의 에티켓 교육이나 주입식 예의범절 교육이 된다면 그 이전에 잘못된 교육사례의 답습밖에 안될 것이다. 그런 의미의 인성교육은 교육이 아니라 교정이다. 교육은 인간의 미성숙하기에 끊임없이 교정·교화해나가는 절차가 아니라 완전한 나를 깨닫고 이해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본고에서는 인성교육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입장 하에서 인간의 선한 본성으로 드러난 감정을 중심으로 감정의 자기이해가 올바른 인성교육임을 말하고자 하였다. 인성은 교육 가능하지만 이때의 교육은 결코 없던 인성을 채워넣는 방식이 아닌 이미 완전하고 선한 나의 본성을 이끌어내는 방식이어야 한다. 어떤 행동을 '하지마'라는 부정적 명령보다 '왜 하면 안될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 그리고 그 이전에 내 감정이 그렇게 느끼고 말해주는 것에 귀 기울여 듣는 '감정의 자기이해'가 녹아들어가는 인성교육이 된다면 가장 바람직한 교육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논어」
  2. 「맹자」
  3. 「중용」
  4. 「순자」
  5. 「육조단경」
  6. 「전습록」
  7. 「주자어류」
  8. 「퇴계선생문집」
  9. 송민규 외, 「인성교육진흥법의 한계에 대한 철학적 분석」, 「교육사상연구」 34-3, 2020. https://doi.org/10.17283/jkedi.2020.34.3.55
  10. 차성현, 「인성교육 개념의 재구조화」, 「제6회 청람교육포럼 및 제53차 KEDI 교육정책 포럼 발표문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2.
  11. 박철홍 외, 「현대교육학 개론」, 서울: 학지사, 2013.
  12. 플라톤, 「메논」, 이상인 옮김, 서울: 이제이북스, 2009.
  13.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