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rate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3초

Priming과 $GA_3$ 처리에 따른 도라지, 더덕 및 만삼의 출아(出芽)와 생장(生長) (Seedling Emergence and Growth Affected by Priming and $GA_3$ Treatments to Three Campanulan Plant Seeds)

  • 강진호;김동일;강신윤;심영도;한경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07-313
    • /
    • 1997
  • 발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수행된 초롱꽃과 약용작물의 종자처리(種子處理)가 출아율(出芽率)과 유묘생장(幼苗生長)을 촉진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도라지, 더덕 및 만삼 종자를 파종 전 증류수에 2일간 침지하거나, $Ca(NO_3)_2$ 150 mM에 2일간 priming 또는 $GA_3$ 0.1 mM에 3일간 침지한 3개(個) 처리(處理)로 구분하여 유묘 출아율(幼苗 出芽率)과 파종 38일 후에 유묘생장(幼苗生長)을 조사하였으며 만삼의 출아율(出芽率)이 낮은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종자의 내부구조를 관찰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묘 출아율(幼苗 出芽率)에서 도라지는 Priming과 $GA_3$ 처리, 더덕은 $GA_3$ 처리, 만삼은 priming처리에서 증류수로 침지 처리하는 것보다 높았고, 출아소요일수(出芽所要日數)도 도라지와 더덕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GA_3$처리로 단축되었다. 2. 공시종(供試種) 모두 하경축장(下經軸長)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던 반면, 도라지와 더덕은 priming처리로 초장(草長)은 짧고 주당엽수(株當葉數)도 적었으나 만삼은 차이가 없었다. 3. 지상부중, 근중(地上部重, 根重) 또는 주당 건물중(株當 乾物重)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GA_3$ 처리에서 높은 반면, priming 처리에서 낮았다. 4. 만삼의 출아율저조원인(出芽率低調原因)은 무경(無經), 천(賤)의 형태적(形態的) 결함(缺陷) 등 종자구조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작약종자(芍藥種子)의 채종시기(採種時期)와 후숙(後熟)이 출아(出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ed-gathering Time and After-ripening on Seed Emergence of Paeonia lactiflora Pall)

  • 정상환;서동환;김기재;이광석;최부술;김용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15
    • /
    • 1993
  • 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2년까지 2개년간 경상북도 농촌진흥원 특용작물 시험포장에서 풍기종과 의성종을 공시하여 채종시기와 종자 후숙방법별 100립중과 출현율을 경시적으로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기종은 의성종에 비해 100립중이 무거운 대립 종이었는데 두 품종 모두 7월 25일경 100립중이 최대가 되었고 이후 점차 감소되어 7월 25일 이후 종자가 등숙되는 시기로 판단되었다. 2. 채종시기에 따른 출현율은 풍기종이 7월 5일 채종한 종자에서 7.8%의 출현율을 나타내었고 의성종은 10일정도 늦었는데 두 품종 모두 8월 15일 채종에서 평균 출현율은 풍기종이 96.7%, 의성종은 94.0%로 가장 높았다. 3. 종실채종과 협실채종에서 후숙시킨 것은 후숙시키지 않고 즉시 파종한 것 보다 출현율이 높았는데 특히, 7월 5일${\sim}$8월 5일 사이의 조기 채종에서 출현율이 높고 8월(月) 15일(日) 이후 채종에서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또한 종실 및 협실 후숙에 있어서 7월 5일과7월 15일 채종한 것은 10일간 후숙한 것보다 $20{\sim}30$일 후숙시킨 것이 출현율이 약간 높은 경향이고 7월 25일 이후 채종에서는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PDF

Study of the Effects of Sodium Chloride on Segregation-Distorter Action in D. melanogaster: 4. Treatment of Sodium Chloride on the Pupal Stages

  • Chung, Yong-Jai;Kang, Moon-Ju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5-131
    • /
    • 1971
  • 초파리의 번데기 시기에 NaCl을 처리하였을때 우활율과 SD작용에 변동이 있는가를 보기 위하여 6가지 계통, 즉 SD 계통 4가지와 다른계통 2가지를 써서 6가지 농도의 NaCl사육배지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화율(즉 NaCl에 대한 저항성)은 계통간이나 NaCl의 농도간이나 다같이 매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우화율은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 저하는 완만한 편이고 발생의 각 단계중에서 번데기 시기가 NaCl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다. 3. SD계통의 우화율은 다른 계통에 비하여 대체로 낮은 편인데, 이것은 SD계통이 NaCl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계통에 비하여 약한 것을 말한다. 4. SD작용의 척도라고 볼 수 있는 k 값은 NaCl의 농도간에 유의한 차가 없으나 계통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Original-SD 계통의 k값은 Recombinant-SD계통의 k값보다 높고 또한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5. NaCl은 SD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발생의 어느 단계에 NaCl을 처리하거나 관계없이 일단 우화만 되면 SD작용에는 변동이 없다.

  • PDF

Birdsfoot Trefoil과 Red Clover의 포장출현율 예측을 위한 몇가지 Stress 검정법 비교 (Comparision of Combined Stress Tests for Predicting Field Emergence of Lotus corniculatus and Trifolium pratense)

  • 김석현;최진용;정민홍;한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1-177
    • /
    • 1992
  • 실험실에서 실시한 검정으로 Lotus와 Red clover 종자의 포장출현율 예측에 효과적인 검정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상이한 조건에서 재배된 종자를 퇴화조절검정법, 인위노화검정법과 전기전도도 검정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이들을 포장출현율과의 관련성을 구명 하였던 바 1. Lotus와 Red clover의 포장출현율을 예측할 때 퇴화조절검정에서는 (equation omitted)=12.786+0.65X($R^2$=0.687), 인위노화검정에서는 (equation omitted)=25.989+0.39X($R^2$=0.260), 전기전도도검정에서는 (equation omitted)=141.932-0.86X($R^2$=0.238)으로써 예측할 수 있었으며 2. 이들 세가지 검정에서의 결과와 포장출현율과는 다음과 같은 다중회귀방정식으로 나타낼수 있었다. (equation omitted)=-198.16+2.3493X$_1$-1.5564X$_2$+1.981X$_3$($R^2$=0.916) 여기서, X$_1$, 퇴화조절검정법 ; X$_2$, 인위노화검정법 ; X$_3$, 전기전도도검정임. 3. 이러한 결과는 단일검정법으로 실내에서 포장출현율을 예측하려면 인위노화검정법이나 전기전도검정법 보다도 퇴화조절검정법이 비교적 효율이 높았으며, 이들 세가지 방법을 병용할 때에는 단일검정법보다도 효율을 증가시킬수 있었다.

  • PDF

탄닌 함유 사초식물의 발아 및 생육특성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annin Containing Forage Crops)

  • 허삼남;이성운;최순호;차장옥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1-216
    • /
    • 2001
  •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annin containing forage crops (such as chicory, birdsfoot trefoil, Lotus pedunculatus, sulla, lespedeza, crownvetch, sainfoin), germinativity, seedling vigor, and productivity were studied. Although the cumulative germination percentage (CGP) of chicory and birdsfoot trefoil was low, the germination rate(GR) and days to reach 50% of final germination(Gt50) were excellent. Crownvetch, lespedeza and sainfoin showed poor germination. Chicory seeds were light but the rate of emergence and establishment were high. Seeds of Lotus pedunculatus and birdsfoot trefoil were also small, but their rates of emergence and establishment were quite good. On the other hand, seeds of sainfoin and crownvetch were heavy but their emergence and establishment rate were very low. Lespedeza was the best in getting over the hot summer, and crownvetch also survived well during summer. Chicory was good in productivity and early growing but its persistence was not good. In case of birdsfoot trefoil and Lotus pedunculatus their early growing were slow but their productivity and persistence were fairly well. Lespedeza, crownvetch, and sainfoin showed poor growth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chicory would be better to use as short term high productive forage crop, and Lotus pedunculatus and birdsfoot trefoil could be used as continuous functional forage crops in Korea. (Key words : Tannin. Germination. Chicory. Birdsfoot trefoil, Lotus pedunculatus)

  • PDF

발아 및 입묘율 향상을 위한 파종전 종자처리 모형설정에 대한 제언 (A Proposed Model for Prosowing Seed Treatments to Promote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 강진호;윤수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21-328
    • /
    • 2003
  • Various presowing seed treatments have been used to enhance the rates of germination and afterward seedling emergence. Seeds treated by them occasionally have not shown the same rate in indoor and field. The presowing treatments considering germination mechanism and factors affecting germination should be totally included in indoor experiments so that the results drawn could be reproduced in the field. Seed drying after the treatments and field conditions after sowing especially able to show Phytochromemediated responses related to light treatment must be determined prior to force the treatments to seeds. After set up these prerequisites to promote the rates of germination and emergence, many seed treatments proposed so far must be fixed how to be done; alone, sequential and simultaneous.

播種 前 담배 종자에 가하여지는 $GA_3$와 光質 處理가 幼苗 出睍과 生長에 미치는 影響 (Presowing Treatment Effects of GA3 and Light Quality on Seedling Emergence and Growth of Tobacco)

  • 강진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0-295
    • /
    • 1998
  • Presowing treatements to seed are reasonable for elevating the seedling production efficiency.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A_3$ [0 (water) : 0.01 mM] and light qulaity (red : white) simultaneously treated before sowing on seedling emergence and growth of tobacco (Nicotiana tabacum L.) cv NC 82 and Burley 21. Red or white light was illuminated 12 hours a day while seeds of the cultivars were imbibed with either water or $GA_3$ 0.01 mM for 3 days. Seedling emergence was measured up to 20 days after sowing but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dry weights were done 40 days. The seedling emergence rate of cv NC 82 was more affected by light quality and $GA_3$ pretreatments than that of cv Burley 21. Light quality more influenced the rate than $GA_3$ while red light or water imbibition enhanced the rates of the two cultivars compared to the other treatement. Although mean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per seedling were nearly equal between the treatements, red light declined leaf area per seedling of cv Burley 21 of which seeds were imbibed in water but white light decreased the areas of both cultiars of which seeds were soaked in $GA_3$solution. Shoot dry weight was greater in cv NC 82 but less in cv Burley 21 pretreated with red light, and root dry weight showed the reverse result in white light, meaning that presowing light and $GA_3$ treatments could be changed the seedling development and growth of tobacco.

  • PDF

Effect of Harvest Time on Seed Quality of Silage Corn Inbreds and Hybrids

  • Lee, Suk-Soon;Yun, Sang-Hee;Soo, Jung-Moon;Min, Hwang-Kee;Ryu, Si-Hwan;Park, Jong-Yeo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61-367
    • /
    • 2002
  •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of inbreds and hybrids in silage corn, the ears of sib-pollinated 'KS5', 'KS7rhm', and 'Ga209' and cross-pollinated 'KS5' $\times$ 'KS6' (Suwon19), 'KS7 rhm' $\times$ 'KSl17' (Suwonok), and 'Ga209' $\times$ 'DB544'(Kwanganok) were harvested at the one-week intervals from 4 to 10 weeks after silking.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for 'KS5', 'KS5' $\times$ 'KS6', 'KS7 rhm', and 'KS7rhm' $\times$ 'KS117' was 7 weeks after silking considering both emergence rate and plumule growth in cold test. Although earlier harvested seeds showed similar germination rate as the seeds harvested at the optimum time at $25^{\circ}C$, their emergence rate were lower in cold test. Seed weight and $\alpha$-amylase activity of earlier harvested seeds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of seeds harvested at the optimum time, while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were higher. However, the later harvested seeds showed lower germination rates at $25^{\circ}C$ and emergence rates in cold test probably due to the lower $\alpha$-amylase activity although they showed increased seed weight and reduced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In contrast, the emergence rate of 'Ga209' and 'Ga209' $\times$ 'DB544' in cold test increased up to 10 weeks after silking probably due to the increased seed weight and $\alpha$-amylase activity and reduced sugar and electrolyte leakages during the germination. The cross-pollinated F$_1$ hybrid seeds showed higher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s at $25^{\circ}C$ and in cold test, and higher plumule growth and $\alpha$-amylase activity compared to those of sib-pollinated inbreds.

가시오갈피의 $GA_3$처리에 따른 종자발아와 유묘생존 (Effects of $GA_3$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Rate of Acanthopanax senticosus Maxim.)

  • 이성호;임정대;김명조;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7-211
    • /
    • 2003
  • 가시오갈피의 종자번식에서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종자의 불량과 발아가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 최대한 많은 묘목을 얻기 위해서는 파종시기의 선택이 중요하다. 파종 전 종자처리를 통하여 성숙정도가 다른 가시오갈피의 파종 후 유묘출현율과 최종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5^{\circ}C$에서 145일 충적 저장한 가시오갈피 성숙종자의 개갑율은 16.6%로 매우 저조하였다. 2. 개갑종자의 기내발아실험에서 $GA_{3}$처리는 최고로 26.6%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발아는 동시기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3. 후숙처리후 10일간 저온 처리한 개갑종자에서 파종 전 $GA_{3}$처리는 유묘출현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으나 저온처리는 대체하지 못하였다. 4. 휴면타파를 위한 저온 충적저장전의 종자의 $GA_{3}$처리는 파종 시 개갑종자의 유묘출현율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5. 저온저장 40일 경과한 후 파종 전 $GA_{3}$처리는 비개갑종자에서는 유묘출현율과 생존율을 높였다. 개갑종자에서는 유묘출현율은 14.6% 증가하였지만 최종생존율은 오히려 9.4% 감소하였다.

볍씨 최아 및 최아 손상정도에 따른 초기생육변화 분석 (Ric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Seed Germination Length and Damage)

  • 최명구;정재혁;이현석;양서영;이충근;황운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3호
    • /
    • pp.183-189
    • /
    • 2021
  • 볍씨 종자의 최아정도 및 최아 손상정도에 따른 출현율 및 초기생육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볍씨 최아 길이가 길수록 출현율은 다소 감소하였으며 생육온도가 18℃ 이상으로 높을수록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최아 길이가 길수록 초장신장 속도가 감소하였으며 생육온도가 21℃ 이상으로 높을 시 최아길이 3 mm에서 초장이 크게 감소하였다. 3. 최아길이에 따른 엽수변화는 없었으나 줄기 두께 및 줄기 건물중, 뿌리 건물중은 최아길이가 길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최아 손상정도가 증가할수록 출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폭은 증가하으며 엽수변화는 없었으나 줄기 두께 및 줄기 건물중, 뿌리 건물중은 최아 손상도가 길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최아 길이 및 종자 손상정도별 뿌리 건물중과 줄기 건물 중 변화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