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lipsoidal heigh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고온으로 가열된 고체 표면과 충돌하는 타원형 액적의 퍼짐 거동 (Spreading Dynamics of an Ellipsoidal Drop Impacting on a Heated Substrate)

  • 윤성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3호
    • /
    • pp.205-209
    • /
    • 2017
  • 고온으로 가열된 고체 표면 위를 타원형 액적이 충돌할 때, 구형 액적 충돌 거동과 다른 비축대칭적인 퍼짐 거동이 발생하여 반동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타원형 액적 종횡비가 퍼짐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충돌 거동은 동기화된 두 대의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두 측면에서 관찰하였고, 액적의 장축과 단축에서의 액적 퍼짐 너비를 각각 조사함으로써 퍼짐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종횡비가 클수록, 액적 단축의 최대 퍼짐 너비는 증가하는 데 반해, 액적 장축의 것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데, 이는 수축 과정에서 액적 정렬을 촉진하고 반동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액적 종횡비와 충돌 속도가 동시에 큰 영역에서 발생하는 반동 거동과 액적 분열 현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Geometric Geoid Determination in South Korea using GPS/Levelling Data

  • Yun, Hong-Sic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85-289
    • /
    • 1995
  • 본 논문은 GPS로부터 측정된 타원체고와 Spirit Levelling으로부터 측정한 정표고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지오이드를 결정하였다. 기하학적인 지오이드고의 계산을 위하여 88점의 GPS측정데이타를 사용하였으며, 지오이드고는 간단하게 타원체고와 정표고의 차이를 구하고 보간법에 의하여 지오이드면을 결정하였다. 또한 보간법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Minimum Curvature 방법과 Least Square Plane Fit방법을 사용하여 보간한 결과와 실측치를 비교하였으며, FFT를 적용하여 중력학적인 방법으로 결정한 지오이드고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s on the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 Jung, Sung Chae;Kwon, Jay Hyoun;Lee, Jisu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18
  •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spirit leveling, research on the determination of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derived orthometric height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most analyses were primarily performed inland.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the arrangement of control points, observation duration, and geoid model on the accuracy of the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have been analyzed to suggest the proper method to apply the determination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to the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wo known points located near the unknown points need to be fixed in the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Further, 3 cm level of accuracy can be achieved if the GNSS survey is performed over two days, for four hours per day. In terms of the geoid model, the latest national geoid model should be applied rather than the EGM08 (Earth Gravitational Model 2008) to minimize regional bias and increase accuracy.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apply the determination of the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technique as a method to connect with the islands because the vertical reference system used inland and that used for the islands in Korea are still different.

Lynx Mobile Mapper를 이용한 레이저스캐너 기반 차량 MMS의 캘리브레이션 (Calibration of Laser scanning Mobile Mapping System using Lynx Mobile Mapper)

  • 정태준;윤홍식;황진상;김용현;이하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7-208
    • /
    • 2010
  •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calibration of laser scanning MMS(Mobile Mapping System) using Lynx Mobile Mapper, a new MMS developed at Optech Incorporated. Laser scanning MMS could be defined as an integration of several subsystems. Subsystems are composed of laser scanner, gps receiver and antenna,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DMI(Distance Measurement Instrument). These are obtained 3D spatial information by direct-georeferencing technology. To obtain 3D spatial information, calibration of laser scanning MMS is required prior to operation system, it is similar to airborme lidar system. 145 checkpoints were used to accuracy estimation. The accuracy results are about 5cm(RMSE) for calibration in all directions(east, north, ellipsoidal height).

  • PDF

Network-RTK측량에서 심플렉스해법을 이용한 최적표고 결정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Height using the Simplex Algorithm in Network-RTK Surveying)

  • 이석배;어수창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1
    • /
    • 2016
  • GNSS/Geoid 측위 기술은 GNSS측량으로 결정한 타원체고와 지오이드모델에서 계산된 지오이드고를 이용하여 측정위치의 정표고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Network-RTK 방식에 의한 표고결정 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지역의 수준점에 대한 Network-RTK 측량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KNGeoid13 지오이드모델을 적용하여 Network-RTK에 의한 표고를 산출하고 현장최적화를 적용한 계산결과와 적용하지 않은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현장최적화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관측결과를 가지고 심플렉스법을 이용하여 최적표고값을 결정하였으며 이 결과를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점 성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최적화를 적용하지 않은 Network-RTK 관측의 표고 정확도의 평가결과 평균오차값은 0.060m, 표준편차는 0.072m 이었으며, 현장최적화를 적용한 Network-RTK 관측 표고정확도의 평균오차값은 0.040m, 표준편차는 0.047m 이었다. 모든 관측값을 선형화에 사용하여 최적표고를 구한 경우 Network-RTK 측량은 0.033m의 정확도로 표고산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NSS 안테나 위상중심변동에 레이돔이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adome Types on GNSS Antenna Phase Center Variation)

  • 윤성현;이흥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21
    • /
    • 2020
  • 본 연구는 위성기준점 안테나 보호를 위해 설치한 레이돔이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안테나 위상중심변동과 정밀 기선해석으로 추정한 동적 좌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위성기준점에 설치된 Trimble과 Leica 계열 안테나를 대상으로 레이돔 미설치(NONE)를 포함해 SCIS, SCIT, TZGD에 대한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s) 변동모형으로부터 위성 신호 입사 방향에 따른 위상중심 변동 보정량을 계산해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NONE을 기준으로 레이돔을 적용한 변동 보정량 차이는 수평 방향에서는 1mm 내외로 제한적이었지만 높이 방향은 수 밀리미터에서부터 최대 7mm까지 나타났다. 비교 대상 레이돔 중 SCIT가 높이 방향 위상중심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레이돔 미설치와 비교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L1과 L2 신호의 보정량 차이 방향이 반대되는 특징을 보였다. 위성기준점 7개소 관측데이터의 기선해석에 각기 다른 레이돔 변동모형 적용으로 동적 좌표를 추정·비교한 결과 최근 위성기준점에 설치한 SCIS가 비교 대상 레이돔 중 가장 큰 영향인 평균 3.4mm 편의를 나타내었다. 반면, IGS 모형 비교에서 레이돔 미설치 대비 높이 방향에 가장 큰 보정량 차이를 나타낸 SCIT 모형은 타원체고 추정에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 1.4mm 편의 경향을 보였다.

국가기준점 망조정을 위한 GPS 3등기준점 기선해석 (Baseline Analysis for $3^{rd}$ order GPS Network Adjustment)

  • 이영진;정광호;권찬오;송준호;조준래;남기범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
    • /
    • 2007
  • The GPS baseline processing and the network adjustment was required a preliminary classification and check for effective work because the observation data of GPS $3^{rd}$ order control points are enormous attain to about 12,000 points. Particularly, in baseline processing and network adjustment a inaccuracy GPS antenna heights and point names yield a gross error or a S/W computation error. For the baseline processing of observation data, the related all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were required a final check. The factor occurring a error, in GPS the baseline processing, were inspected variously after a checking observation data. Also, baseline processing method of GPS $3^{rd}$ order control points were commented and the analysis carry out a results with a experiment. The ellipsoidal distance and height of duplication baseline was compared between adjoin campaign areas for a accuracy analysis of baselin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result, the mean is about 1cm for horizontal direction and about 2cm for vertical direction.

  • PDF

국가기준점 망조정에 관한 연구 - EDM 관측지역 (The Korean Geodetic Network Adjustments for EDM Area)

  • 양효진;최윤수;권재현;김동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93-398
    • /
    • 2007
  • 국가 기준측지계가 세계측지계로 변경됨에 따라 모든 국가기준점의 좌표를 기존의 동경측지계에서 세계측지계로 변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삼각점자료 중에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EDM 단일 관측지역의 세계측지계 좌표를 산정하였다. 이전의 정밀 2차 데이터 셋을 확보하여 이설자료를 조사 및 검증하여 데이터 셋에 갱신하고, 새로운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 셋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고시한 변환파라미터를 이용하여 KGD2002 좌표계로 변환하였으며, EGM96 모델을 이용하여 지오이드고를 산정하고, 이전에 보정하지 않았던 지오이드고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보정하였다 보정된 자료를 데이터 셋에 반영하고, GPS 2등 및 GPS망과 EDM망의 경계부분의 GPS 3등 기준점을 확보하여 경위도(BL) 망조정을 수행하여 최종 성과를 산출하였다. 최종 망조정 결과 표준편차(Mo)가 최소 1.37", 최대 2.13"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산출된 성과는 국가기준점성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의 GPS/Levelling 지오이드와 PNU95 지오이드 (Comparison of GPS/Levelling Geoid with PNU95 Geoid in Cheju Island)

  • 최광선;박재희;홍순헌
    • 지구물리
    • /
    • 제3권1호
    • /
    • pp.13-24
    • /
    • 2000
  • 제주도 내의 13개의 수준점에서 GPS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의한 GPS/Levelling 지오이드와 PNU95 지오이드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GPS의 측정결과 각. 수준점의 타원체 높이를 ${\pm}3\;cm$ 이내의 정밀도로 측정하였다. 계산된 GPS/Levelling 지오이드는 제주도의 지형 변화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제주도에서 지오이드와 지형의 상관식은 다음과 같다. $$N\;=\;0.001082\;{\times}\;h\;+\;25.458\;{\pm}\;0.227\;s.d.$$ 계산된 GPS/Levelling 지오이드와 PNU95 지오이드는 잘 일치하고 있으며 두 지오이드의 RMS 차이는 0.14 m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