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limination capacity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3초

제한된 수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수송문제의 분지한계법 (A Branch and Bound Algorithm for the Transportation Problem under Limited Company Owned Vehicles)

  • 진희채;박순달
    • 경영과학
    • /
    • 제10권1호
    • /
    • pp.207-21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branch and bound algorithm for the transportation problem with a limited number of company owned vehicles. First, we find an initial solution by solving quasi-assignment subproblem induced by relaxing constraints of the vehicle capacity and illegal tours elimination equations. Second, we build routing from the assignment, and if there is a routings which violates relaxed constraints, we introduce branches of the subproblem in order to remove it. After all branches are searched, we get the optimal solution.

  • PDF

Removal of Heavy Metals by Cladophora sp. in Batch Culture: The Effect of Wet-mixed Solidified Soil (loess) on Bioremoval Capacities

  • Kim, Jin-Hee;Lee, Kyung-Lak;Kim, Sook-Chan;Kim, Han-Soon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37-545
    • /
    • 2007
  • The heavy metal removal capacity of filamentous green alga Cladophora sp. cultured together with wet-mixed solidified soil (loess) was tested. A Cladophora sp. was cultured for 5d, with added Chu No. 10 medium, in stream water contaminated by hig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from a closed mine effluent. Heavy metal ion concentrations of the medium and in algal tissue were measured every day during the experiment. Dissolved metals (Al, Cd, Cu, Fe, Mn, Zn) in medium were rapidly removed (over 90% elimination) within 1-2d when alga and loess were added. Dissolved heavy metals dropped by only 10% when algae were cultured without loess. The Cladophora sp. accumulated much more heavy metals when cultured with loess than when the alga was cultured alone. Cladophora sp. exhibited a maximum uptake capacity for Al ($17,000{\mu}g^{-1}$ algal dry weight). The metal bioremoval capacities of the algae were in the order Al, Fe, Cu, Mn, Zn and Cd. The heavy metal removal capacity of Cladophora s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when wet-mixed solidified soil was added to culture media.

퇴비를 이용한 가솔린 오염토양증기추출 배가스의 바이오필터 처리 (Biofiltration of soil Vapor Extraction Off-gas from Gasoline Contaminated Soil Using a Compost)

  • 남궁완;박준석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5-33
    • /
    • 1999
  • 본 연구는 석유계탄화수소로 오염된 토양의 토양증기추출시 발생되는 가솔린 배가스의 바이오필터법 처리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바이오필터 충전물질로는 퇴비를 사용하였다. 약 50g/㎥(충전물질)/hr의 유입부하에서 TPH제거능력은 약 40g/$\textrm{m}^3$((충전물질)/hr를 나타내어 80%정도의 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자일렌은 BTEX중에서 제거효율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벤젠은 제거효율이 가장 낮아 최대제거능력은 약 1.5g/$\textrm{m}^3$(충전물질)hr이었다. 0.79g/$\textrm{m}^3$((충전물질)/hr미만의 부하량에서의 TMB(trimethylbenzene)와 나프탈렌의 제거효율은 95%이상이었다. 바이오필터법의 처리시 생물학적 반응에 의한 TPH와 BTEX의 제거효율은 약 80%이었다.

  • PDF

고농도 아연 조건에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장, 광합성 및 아연 제거능 (Growth, Photosynthesis and Zinc Elimination Capacity of a Sorghum-Sudangrass Hybrid under Zinc Stress)

  • 오순자;고석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143-1153
    • /
    • 2016
  • Plant biomass, photosystem II (PSII) photochemical activity, photosynthetic function, and zinc (Zn) accumulation were investigated in a 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times}$ S. sudanense) exposed to various Zn concentrations to determine the elimination capacity of Zn from soils. Plant growth and biomass of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decreased with increasing Zn concentration. Symptoms of Zn toxicity, i.e., withering and discoloration of old leaves, were found at Zn concentrations over 800 ppm. PSII photochemical activity, as indicated by the values of $F_v/F_m$ and $F_v/F_o$, decreased significantly three days after exposure to Zn concentrations of 800 ppm or more. Photosynthetic $CO_2$ fixation rate (A) was high between Zn concentrations of 100-200 ppm ($22.5{\mu}mol$ $CO_2{\cdot}m^{-2}{\cdot}s^{-1}$), but it declined as Zn concentration increased. At Zn concentrations of 800 and 1600 ppm, A was 14.1 and $1.8{\mu}mol$ $CO_2{\cdot}m^{-2}{\cdot}s^{-1}$, respectively. The patterns of stomatal conductance ($g_s$), transpiration rate (E), and water use efficiency (WUE) were all similar to that of photosynthetic $CO_2$ fixation rate, except for dark respiration ($R_d$), which showed an opposite pattern. Zn was accumulated in both above- and below-ground parts of plants, but was more in the below-ground parts. Magnesium (Mg) and iron (F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leaves of plants, and symptoms of Mg or Fe deficiency, such as a decrease in the SPAD value, were found when plants were treated with Zn concentrations above 800 pp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orghum-sudangrass hybrid is able to accumulate Zn to high level in plant body and eliminate it with its rapid growth and high biomass yield.

TiO2를 코팅한 다공판을 설치한 원통형 UV 반응기에 의한 아세톤, 톨루엔, 메틸메르캅탄 단일 증기 및 2성분 혼합증기의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Single and Binary Vapors of Acetone, Toluene, and Methyl Mercaptan by Cylindrical UV Reactor Installed with TiO2-Coated Perforated Plane)

  • 전진우;감상규;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7-322
    • /
    • 2015
  •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oluene, acetone, and methyl mercaptan (MM) by UV reactor installed with $TiO_2$-coated perforated plane were studied. The removal efficiency of single toluene, acetone, and MM vapor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xygen concentration,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inlet concentration. Elimination capacity of single toluene, acetone, and MM vapor was obtained to be $628g/m^3{\cdot}day$, $1,041g/m^3{\cdot}day$, and $2,158g/m^3{\cdot}day$, respectively. Also,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binary vapor consisted of toluene and acetone, toluene and MM, acetone and MM were observed. Elimination capacity of toluene mixed with acetone, toluene mixed with MM, acetone mixed with toluene, acetone mixed with MM, MM mixed with toluene, and MM mixed with acetone was $327g/m^3{\cdot}day$, $512g/m^3{\cdot}day$, $128g/m^3{\cdot}day$, $266g/m^3{\cdot}day$, $785g/m^3{\cdot}day$ and $883g/m^3{\cdot}day$,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acetone was higher than MM in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toluene, the inhibitory effect of toluene was higher than MM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acetone,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toluene was higher than acetone in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MM.

서로 다른 공극률의 망상형 폴리우레탄들이 충전된 바이오필터에서 톨루엔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Toluene in Biofilters Packed with Reticulated-PU-Foams of Different Porosities)

  • 명성운;남윤수;이용우;최호석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448-454
    • /
    • 2003
  • 세 가지 다른 공극률을 가진 담체를 충전한 바이오필터에서 기상의 톨루엔 제거실험을 수행하였다. 유입 유량과 유입 농도의 변화에 따른 바이오필터의 제거성능을 조사하고 공극률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15일 동안 수행된 실험을 통해 빠른 환경변화에 대한 각 바이오필터의 동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바이오필터 설계에 중요한 변수인 제거량은 BF2 (25 PPI)가 115g/㎥h로 가장 큰 값은 나타내었다. 이는 제거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미생물 균체량이 초기 고정화 단계에서 각 바이오필터가 공극의 크기별로 각각 다른 부착 특성을 가져서 그 양과 수분 함량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과도한 바이오매스의 축적은 바이오필터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초기에 담체의 공극률이 장기적인 바이오필터 운전에 있어서 일정한 공기 흐름을 주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폴리우레탄 폼 담체는 균일하고 충분한 공극을 제공하므로 미생물의 흡탈착이 유리하고 충분한 미생물 서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미생물을 담지할 수 있어 단일 담체로 상업적 적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기상 톨루엔의 생물학적 여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Biofiltration of Toluene Gas)

  • 홍성도;명성운;최석호;김인호;이현재;구본탁
    • KSBB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469-473
    • /
    • 2000
  • 본 연구는 실험실 규모의 biofilter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혼합되어 있는 대표적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toluene기체를 제거하는 실험이다. 생물여과실험은 일반적인 조건하에서 오 염된 공기를 바이오필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흐르게 하 여 수행하였다. 반웅기 컬럼의 내부는 peat와 calstone (부피 비 5:3) 혼합물로 충진 되었으며, 충진재는 반응기에 채우기 전에 미생물 (Pseudomonas putida type A)과 잘 혼합하였다. 접종된 미생물은 충진 고체충에 고정화되어 생물막을 형성하 게 된다. 바이오필터는 다양한 툴루엔 농도와 유속조건에서 약 90일 이상 운전 되었으며, 최대 제거량은 유입 toluene량 $30 g/m^3hr$에서 $20 g/m^3hr$임을 알 수 있었다. 오염왼 공기는 체류시간 1-2 min에서 제거율이 20-90%끼지 변화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한편 운전중에 발생하는 압력강하는 $1.062 cmH_2O/m$ 정도로서 반응기 전체를 통하여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낮았다.

  • PDF

Biofilter에서 체류시간이 혼합 벤젠과 에틸렌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dence time on Mixed Benzene and Ethylene Degradation in Biofilters)

  • 김종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1호
    • /
    • pp.42-47
    • /
    • 2003
  • 토양 및 지하수 복원 과정에서 벤젠과 에틸렌이 혼합되어 배출될 경우 이를 biofilter에 의해 처리한 결과, 에틸렌은 생분해가 잘 되지 않는 화합물인데도 불구하고 체류시간이 10~15분에서는 96%이상 높은 생물학적 처리를 보여 biofilter운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2~15분 체류시간에서 혼합 VOCs중 벤젠은 모든 조건에서 100% 제거되었다. 체류시간이 15분일 경우 벤젠과 에틸렌의 최대 제거능은 각각 4.3과 1.4g/$\textrm{m}^3$hr로서 벤젠이 에틸렌에 비해 3배 정도 컸다. 체류시간이 작을수록 에틸렌 분해율 감소로 인하여 이산화탄소 발생도 감소함을 발견하였으며 벤젠과 에틸렌이 모두 제거되는 운전에서 최고 이산화탄소 발생률은 3,169 [mg-$CO_2$/(g-${C_2}{H_4}$${C_6}{H_6}$)]이었다. 벤젠 산화 미생물은 Bacillus mycoides와 Pseudomonas fluorescens로 동정되었고, 에틸렌 산화 미생물은 Pseudomonas putida와 Pseudomonas fluorescens로 각각 동정되었다.

바이오필터시스템을 이용한 암모니아 함유 악취폐가스 처리 (Treatment of Malodorous Waste Air Containing Ammonia Using Biofilter System)

  • 이은주;박상원;다오빈남;정찬홍;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391-39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퇴비공장 또는 공공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폐가스의 대표적인 제거대상 오염원인 암모니아의 효율적 처리를 위하여, 여러 운전 조건 하에서 동 부피의 폐타이어담체와 compost를 충전하고 반송슬러지를 고정한 바이오필터의 암모니아 제거 특성을 조사하고 바이오필터공정의 적정운전조건을 구축하였다. 암모니아를 함유한 폐가스의 처리를 위하여 바이오필터를 30일(2회/1일의 회수로 총 60회 실험) 동안 약 $30^{\circ}C$의 온도조건 하에서 암모니아부하를 $2.18g-N/m^3/h$부터 $70g-N/m^3/h$ 까지 증가시키면서 운전하였다. 바이오필터를 가동하여 I부터 IV 단계까지는 암모니아 제거율이 거의 100%로서, 암모니아부하가 $17g-N/m^3/h$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암모니아가 제거되었으나, 바이오필터 운전 V 단계에서 암모니아부하를 약 $35g-N/m^3/h$로 증가시켰을 때에 암모니아제거율은 약 80% 정도로 급락하여 암모니아 제거용량이 약 $28g-N/m^3/h$이었다. 그러나 바이오필터 운전 VI 단계에서 암모니아부하를 약 $70g-N/m^3/h$로 두 배로 증가시켰을 때에도 암모니아제거율은 80%를 유지하여 최대암모니아 제거용량이 약 $55g-N/m^3/h$에 달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최대 암모니아 제거용량은, 분뇨슬러지를 유기담체인 rock wool에 접종하고 Kim 등에 의하여 수행된 바이오필터실험의 최대 암모니아 제거용량인 $1,200g-N/m^3/day$(i.e., $50g-N/m^3/h$)보다 다소 우월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암모니아 질소 임계부하는 Kim 등에 의하여 수행된 바이오필터실험의 암모니아 질소의 임계부하인 $810g-N/m^3/day$(i.e., $33.75g-N/m^3/h$)에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최대 암모니아 제거용량이 Kim 등보다 우월한 이유는 Kim 등에 의하여 사용된 미생물담체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미생물담체인 폐타이어담체의 코코넛 활성탄분말로 도포된 표면 및 발달된 내부공극이 각각 질산화 및 탈질 미생물이 고정화되기 더욱 쉬운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종속영양세균과 독립영양세균을 고정화한 Polyurethane Biofilter의 돈분뇨 악취제거 (Removal of Malodorous Gases from Swine Manure by a Polyurethane Biofilter Inoculated with Heterotrophic and Autotrophic Bacteria.)

  • 이연옥;조춘구;류희욱;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97
    • /
    • 2002
  • Removal of malodorous gases from swine manure by a polyurethane biofilter inoculated with heterotrophic and autotrophic bacteria was investigated.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other gases could be efficiently treated at 3~3.6 second of empty bed retention time by the polyurethane biofilter. In the range of SV $200~l,200h^{-1}$ ,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odor was about 89% when the odor unit of inlet gas was below 4100. Odor elimination capacity of the polyurethane biofilter was$ 1.8$\times$10^{5}$ $~5.0$\times$10^{7}$OUㆍm$^{-3}$$h^{-1}$ that were 84~90% of the inlet load. The critical loads of $NH_3$ and $H_2$S, which mean 97% removal with respect to the inlet loads, were 31 and $27 g.m^{-3}$$h^{-1}$ , respectively. The maximum elimination capacities of $NH_3$ and $H_2$S were 56 and $157 gㆍm^{-3}$ ㆍh$^{-1}$ , respectively. Although the removability for$ NH_3$ and $H_2$S was not influenced by $H_2$S$NH_3$ ratio (ppmv/ppmv), the $H_2$S removability was inhibited by high $H_2$S concentration more than 80 ppm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