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iciting student thinki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나눗셈 알고리즘에 대한 학생 사고를 예비교사가 도출하기 :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르치는 것에 근접하기 (Pre-service teachers' eliciting student thinking about a long division algorithm: Approximation of teaching via digital simulation)

  • 권민성;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71-29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학생 사고를 도출하는 핵심 교수 관행에 근접하도록 돕는 디지털 시뮬레이션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초등 수학교육 방법론을 수강하는 13명의 예비교사들이 참여한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일반적인 질문에서 내용-특화된 질문을 제기하였으며, 학생들의 해결전략을 비교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이유로 시뮬레이션의 '일시 정지' 기능을 활용하였다. 예비교사들은 학생-아바타와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데 부담을 느꼈지만,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진정한 교수 경험으로 파악했으며, 그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Model Eliciting Activity(MEA)를 통한 초등 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Problem Solving through Model Eliciting Activity(MEA))

  • 윤진아;한금주;남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4-81
    • /
    • 2019
  • 본 연구는 MEA(Model Eliciting Activity)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과학영재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P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입학 선발과정에서 1차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통과한 40명의 초등과학영재를 대상으로 MEA활동을 실시하고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수행된 MEA활동은 'Coffee cup challenge'로 컵 도면을 활용하며 주어진 크기의 종이에 컵 옆면과 바닥을 가장 많이 배치하는 최적의 방법을 고안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학생들이 문제해결과정에서 그린 3가지의 그림과 그 그림에 대한 설명이 주요 데이터로 수집되었으며, 통계적(상관분석)과 질적 분석을 통해 1)직관적 사고와 시각적 표현 그리고 2) 분석적 사고와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1) 직관적 통찰은 시각적 표현능력과 전체 문제해결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분석적 사고와 정교화 과정이 의사소통능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EA활동이 스스로 아이디어를 구성하고, 다양한 해결방법을 찾아갈 수 있는 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초등과학영재들에게 반성과 사고를 촉진하고 학문적 연결과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주는 유용한 활동임을 고찰하였다.

수학 교사의 주목하기와 반응적 교수의 관계:모든 학생의 수학적 사고 계발을 지향하는 수업 상황에서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In the Context of Teaching for All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 김희정;한채린;배미선;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3호
    • /
    • pp.341-363
    • /
    • 2017
  • This case study contributes to the efforts on identify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wher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s central in instructional interactions. We firstly conceptualize responsive teaching as a type of teachers' instructional decisions based on noticing literature, and agree on the claim which teachers' responsive decisions should be accounted in classroom interactional contexts where teacher, students and content are activel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uilding on this responsive teaching model, we analyze classroom observation data of a 7th grade teacher who implemented a lesson package specifically designed to respond to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called Formative Assessment Lessons. Our findings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oticing and responsive teaching as: (a) noticing on students' current status of mathematical thinking by eliciting and anticipating, (b) noticing on students' potential conceptual development with follow-up questions, and (c) noticing for all students' conceptual development by orchestrating productive discussion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ctual teachable moments in the practice of mathematics teachers and explains what, when and how to support teachers to improve their classroom practice focusing on supporting all students' mathematical conceptual development.

Conceptualizing Teacher Candidates' Figured Worlds in Learning to Enact Core Practices

  • Pak, Byungeun;Lee, Ji-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5-152
    • /
    • 2019
  • This conceptual paper proposes a conceptualization regarding teacher candidates' experiences as learners during instructional activities implemented by teacher educators in practice-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 argue that the current learning cycle framework for teacher candidates to engage in core teaching practices does not fully address teacher candidates' own learning experiences as learners. To provide a rationale for our proposal, we examine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to enact core practices and suggest the need for integrating teacher candidates' experiences into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 We also draw on research on figured worlds as an effort to conceptualize teacher candidates' experiences coming from multiple figured world. We present some examples from our own mathematics methods courses to illustrate how this newly proposed framework can be used in practice and share remaining qu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