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teacher

검색결과 1,571건 처리시간 0.026초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by Creative Problem Solving)

  • 홍순원;이용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33-24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igher grades in elementary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by creative problem solving. To verify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ix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 the experimental group is composed of thirty-two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Treffinger's CPS teaching model situation,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thirty-two students(control group) who were participated in teacher map based learning situation. During six weeks, the CPS teaming-based instruction was executed In th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teacher map based instruction in controled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compared 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compared t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reffinger's CPS teaching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eacher map based teaching model on science process skill.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curriculu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curriculum.

  • PDF

도서관학 5법칙으로 본 학교도서관 운영과 개선방안 - 부산 D초등학교 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 (A Study on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School Libraries with Viewpoint of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Focused on D Elementary School Library in Busan)

  • 이현숙;이용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71-190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학 5법칙을 통하여 초등학교 도서관 운영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범위를 부산지역으로 하여 초등학교 도서관 304곳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고, 심층조사를 위하여 부산의 D초등학교 도서관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운영 현황은 2016~2021년 동안의 도서관 보유, 사서교사 배치, 장서, 연간 이용, 예산, 좌석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히 정규직 사서교사 배치율이 10.5%에 불과해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함이 드러났다. 사례연구에서는 랑가나단의 도서관학 5법칙 중 제1법칙과 제3법칙을 중심으로 부산 D초등학교 도서관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제1법칙에서는 열람방식, 입지, 이용시간, 가구, 직원의 측면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제3법칙에서는 서가배열, 목록, 확장봉사, 도서선택 측면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특히 한 학기 한 권 읽기용 도서로 50권 이상 복본이 있는 도서가 전체 장서의 4.8%를 차지하여 불균형한 장서 구성의 문제를 보였다. 연구의 결과, 개선방안으로 '사서교사 배치 확대', '리모델링을 통한 독서환경 구축', '균형 잡힌 장서개발'을 제시하였다.

초등교사의 과학 PCK 개념화를 위한 시론(試論)적 고찰 - 교사의 전문지식과 기능 모델(합의 모델) 및 수정된 합의 모델의 복합적 관점 - (An Introductory Review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Elementary Teachers' Science PCK: Synthesized Perspective of the Teac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Model (Consensus Model) and the Revised Consensus Model)

  • 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1호
    • /
    • pp.201-217
    • /
    • 2024
  • 이 연구는 2012년 제1차 PCK 서밋에서 제안된 교사의 전문지식 및 기능 모델(합의 모델)과 2016년 제2차 PCK 서밋에서 제안된 수정된 합의 모델의 복합적 관점에 근거하여 2012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KCI 등재 학술지에 출판된 초등교사의 과학 PCK 연구 논문 11편을 심층 분석 및 재해석하여 초등교사의 과학 PCK 개념화를 위한 시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문헌에서 초등교사의 과학 PCK는 주로 Magnusson et al.(1999)의 PCK 요소에 근거하여 교사의 전문지식 기초를 분석하여 도출되었으며, 주제 수준 또는 교과 수준에서 '실행된 PCK' 또는 '개인적 PCK'로 분석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정서적 요인을 반영한 개인적 PCK 연구는 수정된 합의 모델의 관점에서 볼 때 '집합적 PCK'의 특성을 일부 포함하였다. 초등교사의 과학 PCK는 교사 개인의 경험에서 분석되는 실행된 PCK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관점에서 규정된 집합적 PCK 및 개인적 PCK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념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농어촌 지역 초등학교단위 교원연수 교육요구 분석 (Needs Analysis of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Rural Areas)

  • 이태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01-311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the needs analysis of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rural areas of Kyungki and Chungnam provinces. Using a modified survey, the Korean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Needs Assessment Survey (KSSDNAS), adapted from the Teacher Needs Assessment Survey (TNAS) developed by Gary M. Ingersoll et al. and the Korean Teacher Needs Assessment Survey (KTNAS) developed by K. Chung, the study analyzed 192 teachers' respons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one-way ANOVA were compu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needs. These involved "building learning objective and learning group "and" cooperation of classroom management and students' activity".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school-based staff development need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chool size or school location. Most of all, it may be suggested that active teachers can improve the achievement of their rural schools by rearrangement of the subject contents and by understanding their students in rural areas.

  • PDF

Requests for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of First Graders: Important of Emotional Support

  • Lee, Jae-Hee;Kim, Dae-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06-21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pecific needs of 1st graders for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does 1st grader want from parents? Research question 2. What does the 1st grader want for the homeroom teacher? There were 31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focus group interview. Requests for parents are summarized as 'what 1st graders want from parents', and requests for teachers are summarized as 'what 1st graders want from homeroom teacher'. As the detailed topics of 'What 1st graders want from parents' are 'I have too much work to do, so I want to reduce it', 'Don't just scold me' 'Like in kindergarten, play with me' and 'I'm so hard. Take care of me'. As the detailed topics of 'what 1st graders want from homeroom teacher.' are 'At first it was exciting', 'Scary teacher, I hate it', 'Friendly teacher, good', 'Teacher, please praise me' and 'Teacher, please teach me fun'. We revealed that the emotional support of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is important for 1st graders to successfully adapt to elementary school.

과학 수업에서의 실감형 콘텐츠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

  • 차현정;윤혜경;박정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480-50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경험이 많은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실감형 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인식과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 과학 수업에서 초등 교사는 주로 어떠한 실감형 콘텐츠를,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2)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은 무엇인지, (3)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위한 연수에서의 초등 교사의 요구 사항은 무엇인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교사는 주로 디지털교과서와 '사이언스레벨업'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실감형 콘텐츠를 사용하였고 콘텐츠 유형은 활용 목적에 따라 '탐구형', '방문형', '제작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실감형 콘텐츠 활용의 교육적 장점으로 과학 내용 이해에 도움, 흥미와 호기심 유발, 실재감을 통한 몰입을 언급하였다. 실감형 콘텐츠 사용과 관련된 어려움은 여러 가지가 언급되었으나 과학 수업 내용에 적합한 양질의 교육용 콘텐츠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사례의 예시가 부족하다는 점 등이 있었다. 셋째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사 연수와 관련해서 초등 교사들은 질 좋은 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구체적인 수업 사례 중심의 연수, 실감형 콘텐츠 유형별로 적용해 볼 수 있는 수업 모형의 제공, 필요한 기기의 구입, 사용, 관리 및 운영에 관련된 정보 안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초등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도와 활용도 (The Degree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Test)

  • 구영하;여태철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1호
    • /
    • pp.51-69
    • /
    • 2012
  • 이 연구는 학교에서 심리검사가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이용실태,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도와 활용도, 그리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심리검사의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초등학교에서 요구하는 검사도구의 방향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검사의 주요 활용목적은 검사종류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초등학교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검사는 진로 적성 검사, 인성 성격검사, 학습검사, 창의성검사, 지능검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심리검사와 관련하여 검사 매뉴얼 의존도가 높았으며 T점수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를 저해하는 요인에는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이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심리검사 도구에 대한 사전 교사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검사 활용도는 이해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교사의 이러한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검사 후 추후지도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요인이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검사 후 보다 구체적인 지도방법에 대한 안내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사의 상담관련 교육과정 이수 여부에 따라 심리검사의 이해도와 활용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교차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몇 가지 검사에 대해서 이해도에는 차이가 나타났지만 활용도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심리검사와 관련해서 교사 대상의 연수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에서 요구되는 검사도구에는 학습관련 검사와 부적응검사 등이 있었다.

  • PDF

생태 도시 개념을 적용한 도시 평가 지표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Environmental Evaluation Indicator and Its Application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based on the Eco-City Concept)

  • 장호창;남영숙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2호
    • /
    • pp.78-92
    • /
    • 2007
  • The purindicator and its appl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eco-city concept.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execute to erect eco-city concept, to develop urban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o surve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Daegu and to develop application of urban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erecting the eco-city concept and urban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as developed with 14 objects, such like that saving and sound circulation of water resource, sound atmosphere. Second, The result of survey, generally, teachers evaluated that Daegu has problems. The degree of interest of urban environmental problem of Daegu showed that each problem had relatively equal distribution. Teachers had positive response that the ecocity concept appli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had distinct tendency with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ecocity. Teachers indicated several problems in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hird, We develop application of indicator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e concluded that developing application of indicator will offer as follows: First, student and teacher can logically understand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Second, application of indicator had role of useful too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 PDF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 송근영;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265-287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연구경향을 교사지식의 개념,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내용영역의 측면에서 상세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4년(1999-2012) 동안 국내 수학교육 관련 9개 학술지에 게재된 교사지식에 관한 연구물을 대상으로 5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지식의 개념 중 PCK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 반면 PCK의 하위요소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주제는 교사지식의 실태 분석에 편중되어 있었고,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보다 다소 많았으며 혼합연구는 저조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 교사가 중등 교사보다 조금 많았고, 예비교사와 경력교사는 비슷하였다. 내용영역 측면에서는 초등은 수와 연산 영역이, 중등은 함수 영역이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추후 연구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충북 소외지역의 영재교육기관 운영에 있어 초등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및 지원 요구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lementary Teachers in the Management of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s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 최보미;정정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55-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iculties teachers face in the management of the elementary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of Chungbuk province. In this study, rural area was defined that the area where gifted education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or where gifted education service is restricted. The participants of the this study were three elementary gifted teachers who manag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is teaching science to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We collected data about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for the management of the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difficulty that teachers expressed was the lack of parental attention and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ceived different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ir area, experience, and environment. Teacher A is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managers, teacher B is the difficulty of student selection, teacher C is the most difficult factor in teacher quality management.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s also led to differences in the support improvements required by gifted class teachers in the rural area. Third, the three teachers commonly referred to difficulties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demanded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ifted class in the rural area and the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th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