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design

검색결과 1,160건 처리시간 0.023초

AI 군집 알고리즘을 활용한 학업 성취도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Data Using AI Cluster Algorithms)

  • 구덕회;정소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005-1013
    • /
    • 2021
  • 코로나 19가 장기화되면서 기존 학력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담임교사에게 학업 성취도 분석을 통해 학년 및 학급 내 학력 격차 실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력 격차를 개선하기 위한 수업 설계 및 방안 탐색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학생들의 학년 초 국어, 수학 진단평가 점수 데이터를 K-means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클러스터로 시각화하였으며, 그 결과 유의미한 군집이 형성된 것을 확인했다. 또한, 교사 인터뷰 결과를 통해서 학생의 학습 수준 및 학업 성취 확인, 개별 보충지도 및 수준별 학습과 같은 수업 설계 등 학력 격차 개선에 본 시스템이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곧, 학업 성취도 데이터 분석 시스템이 학력 격차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가 담임교사에게 학년 및 학급 내 학력 격차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학력 격차 개선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초등학생 시력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 of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 오진주;신희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97-405
    • /
    • 2001
  • The vision disturbances of school- age children has been recognized as and important school health problem. As the visual disturbances of the school-age children is recognized as the nation's health problem.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visual health should be emphasized. Recently, eyeball movement and other visual health management method has been introduced for prevention or recovery of decrease in visual acuity. But, the effect of eyeball movement was not confirmed yet. And, the controversy around the treatment effect is continued. The decrease of visual acuity is one of the important school health problem as well as it causes discomfort in daily life of the students. So,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subject for school health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visu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program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ed of the intervention for visual health. The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the program was initiated by the schoo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for study which examined the effect of the visu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742 children (experimental group: 398; control group: 344). The experiment was composed of health education and eyeball movement. Health education was provided 5 times to the children in the class room.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exercised eyeball movement in the class, watching video for 10 minutes two times a day. The exercise was continued for 10 week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hange of visual acuity Before the intervention, mean of the visual acuity was .86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91 for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mean of visual acuity was .95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90 for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visual acu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2) change of refr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327 eyes (41.08%) were normal vision and 469 eyes (58.98%) were eyes of refraction errors, 38.82 % of the total eyes were myopia.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efraction in the children with myopia after the intervention. 3) Awareness of visual acuity, change of knowledge, behavior. and attitude (1)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visual acuity (experimental group: 70.10%. control group: 50.97%, p<.01). (2)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knowledge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pp<.01).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sual health behavior after the intervention. (4)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attitude related to visual health in the experimental group ( pp<.05). 4)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subjective discomfort of the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objective eye symptom after the intervention. Even though there was no effect in the visual acuity and the change of the refraction. subjective visual health as well as the attitude and knowledge' of the children and parents toward visual health was improved significantly. Also,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intention of change and the awareness for the visual health management.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educational strategies for visual health promotion should be developed and examined for the visual health promotion of the students.

  • PDF

기업현장교사 및 기업교육의 만족도가 도제교육 만족도와 직무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 - NCS 직무표준과 사업단 유형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rporate field teacher and corporate education satisfaction on apprenticeship education satisfaction and student job competency - Focusing on NCS job standards and apprenticeship school project group types -)

  • 김유정;홍섭근;김인엽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1호
    • /
    • pp.83-94
    • /
    • 2023
  • 본 연구는 기업현장교사 및 기업교육 만족도가 도제교육 만족도 및 학생의 직무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NCS 직무 표준 및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사업단 집단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기·전자 및 음식서비스 분야에서 기업현 장교사의 만족도는 학생의 직무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나, 경영·회계·사무와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기업교육 만족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단 유형별 분석에서는 공동실습유형과 산업계 주도 유형에서 기업현장교사의 만족도가 직무역량 향상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거점학교형과 단일학교 유형에서는 기업교육 만족도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현장교사의 역량에 대한 재정의와 더불어 역량 제고에 정책적인 고민이 필요하며, 사업단 유형과 NCS 직무 표준 분류 간의 연관성을 염두에 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계획의 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교사보조로봇의 외형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 체형에 따른 인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ternal Form Design Factors of Teaching Assistant Robots for the Elementary School - With Emphasis on the Impression According to Body Feature -)

  • 유혜진;곽소나;김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107-11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보조로봇의 역할에 적합한 인상을 찾고, 그러한 인상을 발현하는 체형적 특징을 밝혀내어 교사보조로봇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교사보조로봇의 역할 이미지를 문헌과 요인분석을 통해 얻고, 인간의 체형요소로부터 교사보조로봇의 체형요소를 8가지로 구성하였다. 체형요소에 따라 변화된 삼차원 로봇 외형 샘플이 제작되어 실측 크기로 벽에 투영되었으며, 교사보조로봇의 주사용자인 아동이 로봇 샘플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교사보조로봇의 역할 이미지, 연령과 성별에 관한 형용사, 선호도, 교사보조로봇으로서의 적합도였으며, 평가 결과는 분산분석, 상관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로부터 아동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역할 이미지에 관련이 있는 요소는 머리길이의 비율, 키, 가슴둘레의 비율, 허리둘레였다. 이 중 키와 허리둘레는 다른 요소에 비해 중요도가 높았으며, 특히, 허리둘레는 모든 역할 이미지에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다정하고 친절한 인상을 발현하고자 할 때는 허리둘레에 따라 머리길이의 비율을 조절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사보조 로봇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 PDF

고등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개선 방안에 대한 질적 탐구 (Qualitative Inquiry on Ways to Improve Science Instruction and Assessment for Raising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on Science)

  • 곽영순;신영준;강훈식;이성희;이일;이수영;하지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7-34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과학중점고 학생들이 말하는 과학중점고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특성과 과학긍정경험의 관련성 및 과학긍정경험 유발요인과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전국 4개 권역에서 총 20명의 학생들과 5명의 담당 교사들이 심층면담에 참여하였으며, 먼저 학생 초점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그 이후 교사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결과를 토대로 과학긍정경험에 도움이 되는 교수학습 경험, 과학긍정경험에 도움이 되는 평가 경험, 과학긍정경험 제고를 위한 과학중점고 개선과 지원 방안을 탐색하였다. 심층면담에서 과학중점고 학생들과 교사들은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관심을 끌면서 수업을 진행해야 학생 참여도가 높아지고, 학생들이 주제를 정하거나 직접 탐구과정을 설계하는 실험을 통해 과학 흥미와 같은 긍정경험을 높일 수 있으며, 과학의 본질에 맞는 탐구실험 활동을 통해 과학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사고력 등의 역량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과학긍정경험 제고를 위한 과학중점고 개선과 지원 방안으로는 과학 시수 확보, 과학과 선택과목의 내용을 선택과 집중 형태로 재구조화, 과학고가 아니더라도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이 과학을 많이 배울 수 있도록 과학중점고 유지의 필요성 등이 제안되었다. 과학중점고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고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 제고에 주는 시사점과 일반고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에 따른 소비자 반응 탐색연구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SSM Regulation Law)

  • 남세현;조윤기;유정석;김동태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10호
    • /
    • pp.47-53
    • /
    • 2013
  • Purpose - Six months have passed since the amendment of the SSM regulation law; however, as yet, there is no confirmed research or report on the effects of this amendment, which are indefinite. Further, there have been no attempts to study the effects of the SSM regulation law from the consumers' viewpoint, which is important because consumers are the main agents that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amendment la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SSM regulation law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SSM regulation law on the changes in purchase behavi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initiated from four research problems that are linked to consumer reaction to the SSM regulation law.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consumers' reaction (perception, attitude, and perceived fairness) to the SSM regulation law? Research problem 2: How do the consumers' reactions to the SSM regulation law differ by consumers' characteristics? Research problem 3: Could the SSM regulation law change a consumer's purchase behavior? Research problem 4: Is it necessary to amend the SSM regulation law?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through the interview and survey of housewives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research problem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as a pilot study for the field survey. We interviewed three housewives, who were: an employed housewife, a full-time homemaker, and a manager of a housewife club, respectively. We then conducted a field survey of 232 housewives who were housewife club members or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Chunghcheong-do. Results - We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and analyzed it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still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large discount chains and SSM, which has been the case since the law was introduced. Second, perceived risk of consumer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markets and small neighborhood shops was low. Third, consumers think that amendments of the SSM regulation law are important, and they positively assess the satisfaction, necessity, and propriety of the law. Fourth, although the SSM regulation law caused inconvenience to consumers, this law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usage frequency and the use-behavior of large discount chains. Finally, consumers reacted very negatively to the toughening up of the SSM regulation law. Conclusions - In short, consumers still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SM regulation law. However, this act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use-behavior of large discount chains (General Super Market). Thus, policy making authorities require active communication and promotions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SSM regulation law. This study was of the nature of exploratory research, which did not focus on hypothesis testing, but on finding solutions to the research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is no more than a simple data analysis. Future studies should attempt to investigate the actual effects of the SSM regulation law, on the basis of sufficient literature review and real sales data.

경기도 초등학교 학생수 변화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change i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eonggi-do)

  • 윤용기;최기석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1호
    • /
    • pp.43-54
    • /
    • 2021
  • 경기도는 우리나라의 수도로써 지역별 인구 유출입 특성이 매우 판이하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경기도 각 지역별 학생수 증감추세 특성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 조사 분석해, 경기도 시군 지역별 특성에 맞는 학교수용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시작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30년간 경기도 31개 시군별 초등학교 재학생수를 조사하고, 개발요인을 분석한 결과 크게 신도시형과 원도시지역, 도농복합지역, 농촌지역으로 대별할 수 있고, 농촌지역은 도서벽지지역이나 접적지역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둘째, 기존의 57가지 유형에서 경기도 조사분석을 통하여 51가지 유형을 추가 발굴하여 총 108개 유형으로 세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신설학교 7개 단기형 중 Ns1형과 Ns2형이 전체 137학교 중 129개교(94.2%)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신설학교 19개 중기형 중 Nm7형이 92개교로 전체 285개교 중 32.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Nm12형이 33개교(11.6%), Nm5형과 Nm10형이 21개교(7.4%), Nm9형이 20개교(7.0%) 순으로 나타났다. 신설학교 41개 장기형 중 가장 많은 유형은 Nl13형으로 319개교 중 107개교로 33.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Nl29형이 27개교(8.5%), Nl26형이 20개교(6.3%), Nl25형이 16개교(5.0%) 순으로 나타났다. 기설학교 장기상승형 20개 유형 62개교 중 Ai19형은 14개교(22.6%), Ai8형은 12개교(19.4%)를 차지하고 있고, 기설학교 장기하락형 21개 유형에 전체 223개교 중 가장 많은 유형은 Ad5형으로 38개교(17.0%), 그다음으로는 Ad15형으로 36개교(16.1%), Ad10형은 34개교(15.2%), Ad7형은 20개교(10.0%), Ad8형은 18개교(8.1%)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기도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새로 나타난 17개 특이유형을 찾아내 그 발생 원인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초기상승 후 장기 하락의 학생수 감소증감 추세 패턴 보이는 기존의 1기 신도시와 2기 신도시의 특성은 향후 개발되는 3기 신도시의 신설학교 학생수 증감 패턴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나,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신도시지역, 원도시지역, 도농복합지역, 농촌지역, 도서벽지지역, 접적지역 등으로 세분하여 지역적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학교 신설, 이전, 통폐합, 통학구역 재조정, 리모델링, 적정화 사업 등 학교수용계획 전반에 걸친 경기도교육청의 정책과제 개발이 시급할 뿐만 아니라 향후 학교수용계획 담당 부서에서 학교 신설 시 학생수 증감 패턴 유형을 활용한 학교 신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마련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초등과학에서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mart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Focused on the unit of Solar System and Star)

  • 윤희건;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321-332
    • /
    • 2015
  • 본 연구는 '태양계와 별' 단원에 대한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과학 교과 내용 중 '태양계와 별' 단원을 선정하여 설계한 스마트러닝 수업은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공유하여 교사 및 학생 상호 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스마트러닝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와 개별면담 자료를 통해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업의 '참여도'와 '흥미도' 부분에서 만족도가 높았고 스마트기기의 사용으로 수업을 게임처럼 재미있게 생각하는 반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근거하여 다른 단원, 다른 주제에 대한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의 필요성, 스마트러닝이라는 새로운 수업방식으로 흥미와 태도를 이끌어 내기 보다는 과학에 대한 본질적인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과 같은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System for ICT Underachivers)

  • 장준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27-436
    • /
    • 2008
  • ICT 소양 학습이 교육과정에 도입되어 시행된 이래 10여년의 시간이 지나 학습 결과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ICT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교사가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 학습수준의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이다. ICT 교과의 특성은 도구교과와 단계별 소양교과이다. 이런 특성을 가진 교과는 학습부진아에 대한 문제가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ICT 학습부진아를 판별하기 위하여 판별도구를 개발하여 경기도 관내 4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고, ICT 학습 부진아로 판별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지도 실태 파악을 위하여 고양시 관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단계별 분석과정에서 도출한 결과를 적용하여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은 ICT 학습부진의 예방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판별검사모듈, 교수학습모듈, 피드백모듈 등으로 구성되는 웹기반시스템과 오프라인의 본시수업으로 구성된다.

  • PDF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STEAM교육 수업 방안 (A Study of STEAM Education for Elementary Science Subject with Robots)

  • 홍기천;심재국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3-91
    • /
    • 2013
  • 교육과학기술부는 2011년 융합형인재교육의 일환으로 STEAM교육을 발표하였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STEAM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가?"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상황제시를 위한 초등학교 5학년 과학의 광합성 단원의 내용과 "심해탐사로봇"이라는 창의적 주제를 가지고 로봇을 활용한 STEAM교육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13차시의 로봇 기초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10차시의 주제중심 로봇활용교육을 실시하였다. 로봇기초교육과정에서는 로봇을 제어할 때, 정규 수학 또는 과학과목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로봇활용교육과정에서는 산소센서를 이용한 광합성 이해,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 도출, 로봇 설계, 로봇 제작, 시연 및 발표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이 두 개의 과정에는 STEAM의 모든 요소가 포함되었다. 모든 수업이 끝난 후, 학부모와 학생들의 교사면담을 통해서 창의성, 학습태도, 학교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학교생활과 학습태도가 좋지 않은 학생들이 로봇경연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둠으로써, 학습의 자신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었다. 통계적인 수치를 기술하지는 않았지만 이 수업으로 인하여 STEAM교육을 위한 로봇활용교육이 창의 인성, 직업탐색등에 매우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