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tongu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인터넷 기반 멀티 전자침 구현 (Implementation of Multi Electronic Acupuncture based on Internet)

  • 홍유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97-202
    • /
    • 2014
  • 한의학에서는, 한의사가 환자의 질병 상태를 판단하기위해서, 환자의 혀 상태를 관찰 하는 것을 중요하게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방 치료에서 가장 많이 사용 하고 있는 맥진 및 설진 방법을 이용하여서 스마트폰 기반 한방 전자 침을 개발 하였다. 기존의 주관적인 진단을 객관화 및 과학화 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한의원에서, 잘못된 진단 없는 객관적인 판단을 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에서, 퍼지 논리와 추론을 사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 자동 판단 및 지능형 전자침 키트를 완성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지능을 이용한 전자침이 기존의 방법보다 효율적인 것을 입증하였다.

스마트 설진 전자챠트 시스템 (Smart Tongue Electronic Chart System)

  • 홍유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43-249
    • /
    • 2012
  • 요즈음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을 구축하는 한방 병원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질병을 과학적으로 진단하기위해서, 한방 병원에서는 맥진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한방 진료 체제는 아직까지 정확한 병명을 유추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맥진 및 설진을 동시에 사용 가능한 EMR 챠트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 지능형 전자 챠트 시스템을 이용한 EMR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 EMR을 설치한 병원이 기존의 병원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휴대폰을 이용한 지능형 의료진단 시스템 (Intelligence Medical Diagnosis System using Cellular Phone)

  • 홍유식;이상석;남동현;이우범;최종구;송영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13-21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퍼지 규칙을 이용한 설진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건강한 사람의 혀가 붉은 색이고 설태가 적다. 그러나 질병에 걸리면, 혀 색깔은 붉은색에서 흰색이나 파란색 혹은 검정색으로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혀의 색깔 및 설태를 분석하면 환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의료 진단 시스템은 자동으로 자신을 환자의 질병의 증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적 조건, 질병 조건, 연령 조건에 기초하여 최적의 침술 시간을 계산을 산출할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개발된 의료 진단 시스템을 사용하여 관리 전자 침술보다 기존의 방법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휴대용 전자 혀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E-Tongue System using Neural Network)

  • 정영창;김동진;김정도;정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49-158
    • /
    • 2005
  • 본 논문은 이온 선택성 전극을 모듈화한 MACS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었고, PDA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된 데이터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분석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MACS는 ${NH_4}^+$, $Na^+$, $Cl^-$, ${NO_3}^-$, $K^+$, $Ca^{2+}$, $Na^+$, pH의 7종의 이온 선택성 전극을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초기화 및 교정과정과 완충용액에 의한 안정화 과정을 거친 후 MACS로 시료에 대한 각각의 이온선택성 전극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렇게 각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회로망 알고리즘으로 측정된 시료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실험은 분류가 어렵다고 알려진 고급양주와 저급양주를 분류하는 것으로 진행되었으며, 성공적이며 우수한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이로부터 사용된 알고리즘이 휴대용 전자혀 시스템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혔으며, 실제 휴대용 전자혀 시스템에 간단한 학습에 의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데이터 증강을 이용한 혀 영역 분할 성능 개선 (Enhancement of Tongue Segmentation by Using Data Augmentation)

  • 진홍;정성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13-322
    • /
    • 2020
  • 많은 양의 데이터는 딥 러닝 모델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고 과적합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자동 혀 분할에서, 혀 영상 데이터 세트를 실제로 수집하고 라벨링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므로 많은 양의 혀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기 쉽지 않다. 데이터 증강은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고 레이블 보존 변환을 사용하여 학습 데이터 세트를 확장하고 학습 데이터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미지 자르기, 회전, 뒤집기, 색상 변환과 같은 7 가지 데이터 증강 방법을 사용하여 확장된 혀 영상 학습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였다. 데이터 증강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InceptionV3, EfficientNet, ResNet, DenseNet 등과 같은 전이 학습 모델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데이터 증강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혀 분할의 정확도를 5~20% 향상시켰으며 기하학적 변환이 색상 변환보다 더 많은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하학적 변환 및 색상 변환을 임의로 선형 조합한 방법이 다른 데이터 증강 방법보다 우수한 분할 성능을 제공하여 InveptionV3 모델을 사용한 경우에 94.98 %의 정확도를 보였다.

전자혀를 이용한 객관적 상대 단맛 측정 (Objective and Relative Sweetness Measurement by Electronic-Tongue)

  • 박소연;나선영;오창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21-926
    • /
    • 2022
  • Astree사의 E-Tongue을 이용한 상대적 단맛 평가를 위하여 검토한 7개의 센서 중 PKS 및 NMS 센서가 1차로 선정되었다. PKS 및 NMS 센서를 이용해 설탕을 비롯한, 과당, 포도당 및 자일리톨, 5%, 10% 및 15% 용액을 분석한 결과, 자일리톨 및 과당의 농도 증가에 따른 PKS 센서 감응도의 변화가 미미하여, 최종적으로 NMS 센서를 단맛 측정 센서로 선정하였다. 이들 감미료의 농도 중 5% 용액을 모든 센서를 활용한 PCA(주성분 분석) 통계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에서는 DI (식별지수)값이 -0.1로 감미료 상호 간 구분이 힘들었으나, NMS 센서만을 이용한 상대적 센서 감응도는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과당 및 자일리톨의 상대적 센서 감응도는 각각 1.08 및 1.00으로 사람의 미각으로 측정한 문헌상 관능검사의 상대적 감미도 범위에 포함되었으나, 포도당의 경우는 0.99로 문헌상 상대감미도 0.5~0.75보다 높게 나타났다. 5%~15% 농도 범위에서 설탕 대비 3종 감미료에 대한 NMS 단일센서를 이용한 E-Tongue의 우수한 정밀성 (%RSD, 1.53~3.64%)을 고려할 때 향후 가당 음료 등에 대한 신제품 개발 및 품질관리 등에 관능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자혀를 이용한 수삼의 원산지 판별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s of raw ginseng using the electronic tongue)

  • 동혜민;문지영;이성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9-354
    • /
    • 2017
  • 전자혀 분석을 통해 국내산과 중국산 수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신속하고 정확한 판별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자혀를 이용하여 센서 감응도 값(raw data)을 분석한 뒤 taste screening하여 맛 스코어로 나타낸 결과, 국내산 수삼과 중국산 수삼은 감칠맛(UMS)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고 쓴맛(BRS)과 단맛(SWS)도 상대적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국내산 수삼이 중국산 수삼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감칠맛을 나타냈고, 쓴맛과 단맛은 그 반대로 나타났다. 판별함수분석 결과, DF1 (discriminant function first score) 상으로 국내산 수삼 그룹과 중국산 수삼 그룹이 구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Discriminant power 값은 UMS 센서가 0.522으로 두 그룹에 가장 큰 차별성을 부여했다. CDA(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분석 결과 두 수삼 그룹의 distance between centroids값은 2.7463으로 판별이 잘 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국내산 수삼 77점에서 67점이 국내산으로, 중국산 수삼은 77점 중 73점이 중국산으로 판별되어, 최종 판별정확도는 90.91%로 나타났다. 간단한 전처리 및 여러 가지 통계 처리를 통해 전자혀를 이용한 수삼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anges in Sensory Compounds during Dry Aging of Pork Cuts

  • Hwang, Young-Hwa;Sabikun, Nahar;Ismail, Ishamri;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79-387
    • /
    • 2019
  • The effects of dry-aging on changes in taste compounds and electronic taste sensing traits of pork were investigated. Ten pork belly and shoulder blade cuts were divided into wet-aging and dry-aging treatments and stored for 21 days at $2^{\circ}C$. The contents of nucleotides and free amino acids, and electronic tongue analysis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aging periods (1, 7, 14, and 21 days). The contents of inosine and hypoxanthine of dry-aged pork cuts increased more rapidly, and they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wet-aged pork cuts. Total free amino acids of dry-aged pork cuts were also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wet-aged pork cuts after 21 days of aging. Consequently, umami intensity of dry-aged pork cuts increased more rapidly and the valu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wet-aged pork during 21 days of aging. Results suggested that the better palatability of dry-aged pork cuts might be due to higher umami intensity in relation to higher contents of inosine, hypoxanthine, and free amino acids.

동물성과 식물성 시판 체다 치즈의 향미 특성 및 조직감 분석 (Sensory evaluation and texture of commercial dairy and vegan types of Cheddar cheese)

  • 권병수;이재헌;이광연;김서진;전남배;유홍훈;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85-592
    • /
    • 2021
  • 본 연구는 동물성과 식물성 시판 체다 치즈의 향미 특성과 조직감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코와 전자혀 및 TPA 분석을 이용하였다. Milky, dairy, buttery, creamy, nutty, fruity의 향미속성을 바탕으로 전자코 분석 결과 확인된 화합물 5종을 주요 향기성분으로 선정하였으며, 모든 시료에서 acetaldehyde, 2-methylbutanal 및 n-butanol이 검출되었으나, 2,3-pentanedione과 pentan-2-one은 DT1, VT1 및 VT3에서만 검출되었다. 주성분 분석 결과 VT간에 군집을 이루지 않고 분산되어 있어 동일한 타입 내 시료 간 향기의 유사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VT의 맛 패턴은 DT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DT와 VT 내 시료 간에도 맛 패턴이 원재료에 의해 구분되지 않았다. 시판 체다 치즈의 조직감 측정 결과는 경도, 부착성, 탄력성 및 응집성 항목에서 생산 원료의 타입에 따라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는 DT와 VT의 단백질 함량은 각각 18.0-20.0%와 1.0% 미만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동물성 치즈와 유사한 향미 특성과 조직감을 갖는 식물성 치즈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품질 지표 설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중국, 일본, 미국산 시판 사과식초의 관능적 품질 비교를 위한 SPME-GC/MS, 전자코 및 전자혀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ensory profiles of commercial cider vinegars from Korea, China, Japan, and US by SPME/GC-MS, E-nose, and E-tongue)

  • 조윤희;구송이;정남혁;까오야핑;김호진;정민희;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30-4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및 미국산 시판 천연발효 사과식초의 객관적인 향미특성 평가를 위해 SPME-GC/MS, 전자코, 전자혀 및 관능적 분석 특성을 비교하였다. SPME-GC/MS 분석결과, 시판 사과식초의 공통된 휘발성분은 acetic acid 외 isovaleric acid, octanoic acid, phenethyl alcohol, phenethyl acetate 등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한국산 식초에는 acid류가, 미국산 식초에는 acetic ester류가 주된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고, 중국산 식초에는 ethyl acetate 성분이 높은 비율로 확인된 반면, 일본산에서는 acetic acid 비율이 낮았다. 한국산 및 중국산 식초는 전자코 패턴에서 독립된 패턴으로 구분되었고, 모든 식초에서 높은 함량으로 분리된 성분은 Kovats 분석을 통해 acetic acid로 예측되었다. 중국산 및 일본산 식초는 전자혀 분석에서 각각 뚜렷한 맛 패턴의 분리를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신맛이 높게 평가된 식초는 전반적 기호도에서 비교적 높은 평점을 보여주었고, 관능적 냄새, 신맛 및 단맛 항목은 각각 전자코 분석의 PC1, 전자혀의 SRS sensor 및 SWS sensor 값과 $r^2=0.83$ 이상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시판 사과식초는 전자코 및 전자혀 패턴 분석을 통해 한국, 중국, 일본 및 미국산 시료로 구분될 수 있었고, 관능적 평점은 E-sense 분석결과와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어, 관능검사를 대체할 전자코 및 전자혀 분석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