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capture detector (ECD)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2초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ly Dried Vegetables

  • Seo, Young-Ho;Cho, Tae-Hee;Hong, Chae-Kyu;Kim, Mi-Sun;Cho, Sung-Ja;Park, Won-Hee;Hwang, In-Sook;Kim, Moo-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145-149
    • /
    • 2013
  • We tested for residual pesticide levels in dried vegetables in Seoul, Korea. A total of 100 samples of 13 different types of agricultural products were analyzed by a gas chromatography-nitrogen phosphate detector (GC-NPD), an electron capture detector (GC-${\mu}ECD$), a mass spectrometry detector (GC-MSD), and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ltraviolet detector (HPLC-UV). We used multi-analysis methods to analyze for 253 different pesticide types. Among the selected agricultural products,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11 samples, of which 2 samples (2.0%) exceeded the Korea Maximum Residue limits (MRLs). We detected pesticide residue in 6 of 9 analyzed dried pepper leaves and 1 sample exceeded the Korea MRLs. Data obtained were then used for estimating the potential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the exposures to these pesticides. The estimated daily intakes (EDIs) range from 0.1% of the acceptable daily intake (ADI) for bifenthrin to 8.4% of the ADI for cadusafos. The most critical commodity is cadusafos in chwinamul, contributing 8.4% to the hazard index (HI). This results show that the detected pesticides could not be considered a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 Nevertheless, an investigation into continuous monitoring is recommended.

GC-ECD와 GC-MSD를 이용한 유니코나졸 잔류실태조사 (Monitoring of Uniconazole by Using GC-ECD and GC-MSD)

  • 김은정;홍채규;최수정;이윤정;황인숙;김무상;채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82-3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2년 1월부터 8월까지 농산물 중 엽채류에 대하여 GC-ECD 및 GC-MSD를 이용하여 uniconazole의 잔류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겨자채에 표준용액을 0.05, 0.5 mg/kg 농도로 하여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98.9%에서 109.4%까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012년 1월부터 8월까지 서울지역에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중 엽채류 3,632건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14건에서 uniconazole이 검출되었다. Uniconazole의 검출양은 0.098 mg/kg에서 2.2 mg/kg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시분석법으로 보다 효율적인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의 잔류농약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in school foodservice products in seoul, Korea)

  • 서영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4
    • /
    • 2014
  • 학교 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서울시내 초, 중, 고등학교 110곳에서 316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85종의 농약에 대해 GC-ECD, GC-NPD, GC-MSD 및 HPLC-UVD를 이용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26건의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취나물과 들깻잎에서 각각 57.1, 55.6%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농약 성분별 검출빈도는 프로시미돈, 엔도설판, 아족시스트로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종 이상의 농약이 동시에 검출된 것은 3건이었다. 그리고 검출된 시료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6건이었으며 시금치, 취나물, 양배추에서 엔도설판, 깻잎에서는 디니코나졸과 카보후란, 고추에서는 에토프로포스가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위해성 평가결과 들깻잎에서 검출된 카보후란의 hazard index가 3.8%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농산물들은 모두 2% 미만을 나타내어 위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은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농약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으로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가수분해 후 GC-ECD를 이용한 축산물 중 살균제 Prochloraz 및 그의 대사물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for fungicide prochloraz and its metabolites in animal commodities with GC-ECD after hydrolysis)

  • 박지수;최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2호
    • /
    • pp.153-159
    • /
    • 2020
  • 축산물 중 살균제 prochloraz 및 그의 대사체의 잔류량을 함께 정량분석할 수 있는 단성분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축산물 중 prochloraz의 잔류분의 정의가 'prochloraz와 2,4,6-trichlorophenol기를 포함하고 있는 대사산물의 합을 prochloraz로 함'이기 때문에 prochloraz 및 대사산물을 모두 2,4,6-trichlorophenol (2,4,6-TCP)로 분해시킨 후 GC/ECD로 정량하는 정밀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대표 축산물인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우유 및 계란 중 prochloraz 잔류분을 acetone으로 추출하고 2,4,6-TCP로 분해한 후 dichloromethane으로 분배하고 aminopropyl SPE로 정제한 다음 2,4,6-TCP를 정량하였다. 본 분석법을 통한 기기정량한계와 분석법정량한계는 prochloraz의 경우 각각 0.01 ㎍/mL과 0.02 mg/kg이었으며 2,4,6-TCP는 0.005 ㎍/mL과 0.01 mg/kg이었다. 2,4,6-TCP를 이용한 표준검량선은 0.005-0.2 mg/L 범위에서 결정계수(R2) ≥0.995으로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분석법의 회수율은 분석정량한계 및 정량한계의 10배 처리수준에서 실시하여 모두 90% 이상이었고 변이계수는 10% 이하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법은 축산물 중 prochloraz 및 대사체를 정량분석하는데 우수한 정확성 및 정밀도를 보였으며, 축산물 중 prochloraz 잔류분석을 위한 정밀시험법으로써 분석개발기준을 충족하였다.

Imidazole계 살균제 Prochloraz의 토양 중 잔류량과 반감기분석 (Determination of Residual Concentration and Half-life Time in Soils of Imidazole Fungicide Prochloraz)

  • 최용화;한성수;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15권1호
    • /
    • pp.67-71
    • /
    • 2002
  • Imidzole계 살균제 prochloraz의 토양(미사질식토) 잔류량 및 반감기를 전자포획검출기를 이용한 기페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토양시료는 acetone/hexane (1:1) 용매로 추출하였고, $LC-NH_2$ Sep-Pak 고체컬럼으로 분리하였다. 표준검정곡선의 감응함수는 0.05~1.00 ng 범위에서 Y = 268.8600X + 0.0664, $R^2=0.9998$ 이었다. 검출한계는 0.02 mg/mL 이었고, 회수율은 0.10 mg/L의 경우 97.3%, 0.40 mg/L의 경우 94.5% 이었다. 반감기는 실내토양에서 24.4일, 포장토양에서 7.6일 이었다.

유기염소계 살충제의 잔류분에 관한 연구 -3. 담배연작토양의 Heptachlor 잔류분에 관하여- (Studies on the Residues of Chlorinated Organic Insecticides -3. Heptachlor residues in soil 15 years after yearly treatment of the soil insecticide in a tobacco field-)

  • 박창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2호
    • /
    • pp.61-64
    • /
    • 1975
  • 담배연작지의 토양중 토양살충제로 처리한 Heptachlor의 잔류분을 GLC로 분석하였다. Heptachlor의 토양중 잔류분은 모두 0.010ppm에 미달하였다. 한편 담배 연작지에 재배된 무우, 배추의 Heptachlor잔류량은 0.01 ppm이하로, 이수준은 같은 해인 3971년도 전국에서 수집, 분석한 두 채소의 Heptachlor 잔류량과 대등하였다. 무우 및 배추로 흡수, 이행하는 Hheptachlor잔류량은 토양 중 등 살충치의 농도에 비례하지 않었다.

  • PDF

수질 시료 중의 Pesticide Priority Pollutants 동시분석에 관한 연구 (Simultaneous Analysis of Pesticide Priority Pollutants in Water Samples)

  • 김계영;김종혁;이석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90-598
    • /
    • 1993
  • 미국의 환경청이 지정한 129종의 priority pollutants 중 16종의 유기살충제를 대상물질로 선정하여 수질시료 중의 극미량 분석방법을 연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프-전자포획 및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SIM(selected ion moitoring)법을 검출방법으로 정하고, 시료용액의 추출 및 농축방법으로는 용매추출법(liquid-liquid extraction)과 고체상 추출법(solid-phase extraction)을 비교 연구하였다. 각 화합물들의 회수율, 상대표준편차 및 검출한계 등을 측정하여 EPA 분석법을 대체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PDF

Residues of Diazinon in Growing Chinese cabbage: A study Under Greenhouse Conditions

  • Khay, Sathya;El-Aty, A.M. Abd;Lim, Kye-Taek;Shim, Jae-H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4-179
    • /
    • 2006
  • Chinese cabbage, Braccica campestris has long been consumed as a staple food for Koreans in various forms of fresh, salted, and fermented Kimchi. Cultivation of the crop under greenhouse has become a general practices to fulfill its off-seasonal consumer's demand. However, agricultural practices of the crop have always accompanied with heavy applications of pesticides caused by severe outbreaks of diseases and pose under warm and humid circumferences. Since dissipation patterns of pesticide residues in/on the crop under greenhouse conditions at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open-air, changes of diazinon, O,O-diethyl O-2-isopropyl-6-methylpyrimidin-4-yl phosphornthioate, in/on the Chinese cabbage applied by foliar spraying under greenhouse were studied. Diazinon 34% EC was applied with dilution of recommended and double dose to the crop. The shoots of crop were harvested immediately after this application and at regular intervals over a 10-day. After sample preparations, the diazinon residue wa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equipped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GC/ECD). Initially deposited amount of the chemical in/on the crop right after applications with recommended and double doses were 8.3 and 15.2 mg/kg, respectively. The residue levels after 10 days of application were 0.03 and 0.09 mg/kg with 1.3 and 1.5 days of half-life in/on the crop, respectively. In consequent 10 days of pre-harvest interval (PHI) for diazinon EC formulation in/on Chinese cabbage under greenhouse condition was fulfill maximum residue level set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0.1 mg/kg).

감마선 조사에 의한 감귤의 잔류농약 저감화 연구 (Study on Diminu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Citrus Fruits by γ-Irradiation)

  • 양희선;박용대;진창현;최대성;정일윤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9-24
    • /
    • 2009
  • The citrus fruits were irradiated at different doses (25~200 kGy) to remove pesticides such as diuron, dichlorbenil, trifluralin, dimetoate, chlorothalonil, fenitrothion, bromacil, phenthoate and norflurazon, and the rates of degradation were detected by using gas chromatography electron capture detector (GC-ECD). The limit of detection (LOD) was in the range of 0.007~0.105 ppm.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in the range of 0.024~0.352 ppm, and the recoveries of 9 pesticides were in the range of 71.5~106.5%.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gamma}$-irradiation was effective method to remove pesticides such as diuron, dichlorbenil, trifluralin, dimetoate, chlorothalonil, fenitrothion, and norflurazon. However, the bromacil and phenthoate showed lower removal rates in the rate of 40.5 and 54.8%, respectively, at 200 kGy irradiation.

경기도내 유통 수입과실류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imported fruits circulated in Gyeonggido)

  • 조윤식;강정복;김양희;정진아;허정원;이소현;임영식;배호정;강흥규;이정희;정은숙;이병훈;박용복;이정복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5-201
    • /
    • 2012
  •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유통 중인 수입과실류에 대한 잔류농약 분석을 수행하였다. 총 22품목 124건의 시료를 구입하여 GC/NPD-ECD, TOF/MS, UPLC/PDA 및 HPLC/FLD, LC/MS/MS를 이용하여 218종 잔류농약을 동시 다성분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18건의 과실에서 잔류농약이 0.003~0.3 mg/kg 범위로 검출되었으나 기준초과 시료는 없었다. 과실의 부위별 특성에 따른 잔류농약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농약이 검출된 과실류 중 14건에 대하여 분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과피 14건에서 0.03~1.5 mg/kg, 과육의 경우 2건에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모두 잔류농약허용기준 이내에서 검출되어 정상적인 방법으로 섭취할 경우 위해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미량이라도 장기간 섭취시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며, 검출빈도가 높은 성분들이 검출되므로 수입과실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