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chromism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증기중합으로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전기 변색 특성 (Electrochromic Property of a Conductive Polymer Film Fabricated with Vapor Phase Polymerization)

  • 이지예;김유나;김은경
    • 멤브레인
    • /
    • 제20권1호
    • /
    • pp.8-12
    • /
    • 2010
  • 전도성 고분자 중 안정성이 높은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을 이용하여 전기변색 박막을 제조하고 박막제조 방법에 따른 전기변색 특성을 연구하였다. PEDOT 박막은 전기중합법과 증기중합법에 의해 제조되었고, 두가지 방법 모두 도핑되지 않은 중성 상태에서 짙은 푸른색을 띠는 박막으로 제조되었다. 전기변색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와 Cyclic voltammetry가 사용되었으며, 산화/환원 시 표면은 AFM으로 관찰되었다. 전기 중합법으로 제조된 PEDOT 박막에 비해 증기중합에 방법에 의해 제작된 PEDOT 박막의 표면이 거칠기 50 nm 이내로 균일 하였다. 특히 증기 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 변색 소재의 특성도 응답성 1.5초 이내, 49%의 투과율 차이, 402의 변색 효율을 보여 박막의 특성 향상으로 전기변색특성이 향상 된 결과를 보였다.

Effects of Pre-reducing Sb-Doped SnO2 Electrodes in Viologen-Anchored TiO2 Nanostructure-Based Electrochromic Devices

  • Cho, Seong Mok;Ah, Chil Seong;Kim, Tae-Youb;Song, Juhee;Ryu, Hojun;Cheon, Sang Hoon;Kim, Joo Yeon;Kim, Yong Hae;Hwang, Chi-Sun
    • ETRI Journal
    • /
    • 제38권3호
    • /
    • pp.469-478
    • /
    • 2016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reducing Sb-doped $SnO_2$ (ATO) electrodes in viologen-anchored $TiO_2$ (VTO) nanostructure-based electrochromic devices. We find that by pre-reducing an ATO electrode, the operating voltage of a VTO nanostructure-based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lowered; consequently, such a device can be operated more stably with less hysteresis. Further, we find that a pre-reduction of the ATO electrode does not affect the coloration efficiency of such a device. The aforementioned effects of a pre-reduction a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 pre-reduced ATO electrode is more compatible with a VTO nanostructure-based electrochromic device than a non-pre-reduced ATO electrode, because of the initial oxidized state of the other electrode of the device, that is, a VTO nanostructure-based electrode. The oxidation state of a pre-reduced ATO electrod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operation of a VTO nanostructure-based electrochromic device because it strongly influences charge movement during electrochromic switching.

리튬이온이 첨가된 프루시안 블루의 전기변색 특성 연구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Li+-Modified Prussian Blue)

  • 유성종;임주완;박선하;원호연;성영은
    • 전기화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6-131
    • /
    • 2007
  • [ $Li_+$ ]를 기반으로 하는 비수용액 전해질에서 Prussian blue가 degradation이 없이 구동할 수 있도록 소재를 design하고 제조하여 전기화학적 변색특성을 연구하였다. Prussian blue는 ITO가 코팅되어 있는 유리판위에 일정전류-전착법으로 코팅을 했고, 이 때 사용된 코팅 용액은 $FeCl_3,\;K_3Fe(CN)_6$을 deionized water에 녹이고, HCl, KCl, LiCl을 각각 넣었다. 전기화학적 변색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continuous와 pulse potential cycle 하는 동안 transmittance 변화를 in-situ He-Ne las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electroactive layer thickness를 통해 degradation된 정도를 실험하였다.

전기화학 기반의 전기 변색 센서 연구 동향 (Recent Advances in Electrochromic Sensors)

  • 서민지
    • 전기화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5-133
    • /
    • 2022
  • 현장 진단 검사가 가능한 센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동성과 편리성이 개선된 센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센서들 중에서도, 전기 변색 물질을 도입하여 분석 물질의 존재 유무 및 농도를 색 변화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전기 변색 센서들은 기존의 전기화학 센서 및 비색 센서의 강점들을 합친 형태의 센서로 각광받고 있다. 전기 변색 센서들은 기존 센서들에 비해 소형화 및 단순화하기 용이하며, 결과 해석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넓은 범위의 분석 물질들에 대해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전기 변색 센서를 유연한 기판 위에 형성하거나, 센서 자체에서 자가 발전이 가능하도록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어 분석 물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웨어러블 센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리뷰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 변색 센서들을 주요 전략 및 특징에 따라 나누어 그 원리 및 응용을 소개하였다.

e-beam 증발법으로 제조된 비정질 WO3박막과 전해질 계면으로 삽입되는 리튬의 층간 반응에 관한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 on Lithium Intercalation into the Interface between Organic Electrolyte and Amorphous WO3 Thin Film Prepared by e-beam Evaporation Method)

  • 민병철;손태원;주재백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1022-102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1M $LiClO_4/PC$ 유기 용액 중에 존재하는 리튬 이온의 층간 반응에 의하여 전기 발색 현상을 나타내는 전자-선 증발법으로 제조된 비정질의 텅스텐 산화물 박막과 전해질 계면에서의 전기화학적 특성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음극 Tafel 분극법, 순환 전류-전위법 및 전기량 적정법 등의 전기화학 측정법과 X선 회절 분석법을 이용한 박막의 결정 상태 조사 등이 수행되었다. 특히 다중 순환 전류-전위 곡선으로부터 리튬 이온의 층간 반응은 발색 반응에 대한 인가 과전압이 약 1.0V 이내에서는 안정된 소 발색의 가역적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발색 반응에 대한 인가 과전압이 1.5V일 때는 발색 시 삽입된 박막 내부의 리튬이 소색 시 완전히 빠져 나오지 못하여, 박막 내부에 리튬이 축적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적은 순환 횟수임에도 불구하고 소 발색의 전류 밀도가 감소되는 것이 조사되어 발색에 필요한 인가 과전압의 한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RF 스퍼터링에 의해 제조된 Li-Ni-O 박막의 전기변색 특성 (RF Sputtered Lithium Nickel Oxide Films and Their Electrochromism)

  • 김영일;김배환;최진호;;박남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594-599
    • /
    • 1997
  • RF 스피터링법을 써서 $Li_{2x}Ni_{1-x}O$ 박막을 제조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기판의 온도$(50/230^{\circ}C)와$ 분위기 $(Ar/O_2)$를 변수로써 막의 미세구조를 조절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막 구조 분석에 의해 낮은 기판 온도와 $O_2$ 조건에서 막의 조성입자가 작아짐을 관찰하였고, $50^{\circ}C/O_2$ 하에서 얻이진 $Li_{2x}Ni_{1-x}O$ 박막은 약 $80\AA$ 크기의 입자로 이루어져 있었다. 전기화학적 조건 하에서 $Li_{2x}Ni_{1-x}O$ 박막의 변색현상을 조사한 결과, 박막의 미세구조 발달에 의해 $Li^+$ 이온의 가역적 수용량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전기변색 기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엇다. 50 $^{\circ}C/O_2$ 하에서 얻어진 170 nm 두께의 $Li_{2x}Ni_{1-x}O$ 박막은 30 mC/$cm^2$$Li^+$ 이온 수용력과 함께 약 1.3의 흡광밀도(OD)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