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icity saving method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임플란트 환경에서 TENG 소자를 고려한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Energy Storage Monitoring System Architecture for Triboelectric Nanogenerator in the Implant Environment)

  • 박현문;황태호;김동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73-480
    • /
    • 2018
  • 2012년에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새로운 에너지 획득 방안인 TENG가 제시되었다. 동작에 따라 마찰 혹은 진동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TENG는 새로운 에너지 하베스팅의 발전방안으로 소자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하지만, TENG는 높은 전압(Voltage)과 낮은 전류(Current)의 문제를 지닌다. 이에 따라서 에너지의 저장과 변환을 위한 반도체 소자 혹은 회로적인 다양한 접근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5Hz 이하의 비규칙적인 발전에서의 변환 저장 기술은 이론적 연구보다 많은 경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발전 플랫폼을 저장 기술과 함께 대형동물의 움직임에 따른 발전소자의 실시간 발전 정보를 능동적 BLE 제어를 이용하여 송수신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조경용 식생매트의 열전도율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for Planting Mats of Landscaping)

  • 차욱진;양건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5-96
    • /
    • 2018
  • 선진국들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1997년 '교토의정서' 채택이후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 줄이기 위해 산업부문, 수송부문,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을 감축하여야 한다. 정부에서는 에너지 소비량 감축을 위한 각종 법령 및 행정규칙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을 감축하기 위하여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 따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시행하고 있다. 실내온도를 $28^{\circ}C$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량은 벽면녹화 및 옥상녹화 등으로 녹화된 건물이 녹화되어지지 않은 건축물에 비해 평균 30%의 전력사용량의 감소효과가 있다. 이렇듯 조경녹화에 대한 에너지 절감의 효과는 입증되고 있으나, 이러한 입증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적합한 방법이 아니기에 에너지 절감의 실효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 조경용 녹화가 에너지 절감에 따른 실효성을 가지려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4조'의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의 단열재료에 대하여 구성재료의 열전도율로 열관류율을 계산하여 '별표 1'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종류의 벽면녹화용 식생매트와 1종류의 복합매트(내부단열재+식생매트)를 제작하여 다양한 열전도율 측정 실험을 수행하고, 에너지 보존식을 이용하여 내부단열재 두께 등에 대하여 이론적인 계산을 하였다. 3종류의 식생매트의 열전도율은 0.130~0.157W/mk 정도로서 목재의 열전도율(0.170w/mk)보다 낮아 단열의 기능을 가지는 매트로써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복합매트는 내부단열재(그라스포, 폴리우레탄 등)의 두께를 조절하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단열기준 0.051W/mk에 적합한 식생매트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태양열 이용 해양온도차발전시스템의 성능 예측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Solar-Heating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SH-OTEC) in Korea)

  • ;이근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1호
    • /
    • pp.43-49
    • /
    • 2013
  •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해양온도차발전을 이용하는 것은 재생에너지를 이용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의 기후조건이 태양열 이용 해양온도차발전(SH-OTE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태양열 에너지는 제 2 의 열원으로 사용되었다. SH-OTEC 시스템에 사용할 가장 적합한 작동유체를 선정하기 위하여 여러 작동유체를 수치모사하였다. 해석결과, R152A 가 가장 적합한 작동유체로 나타났으며, R600 와 R600A 가 각각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집열판 출구온도를 $20^{\circ}C$ 증가하였을 때 집열판의 유효면적은 월평균 태양에너지 게인(gain)의 변화로 인하여 $50m^2$ 에서 $97m^2$ 으로 요동함을 볼 수 있었다. 2-4%의 전형적인 해양온도차발전의 효율은 태양열을 이용함으로써 연평균 효율은 6.23%까지 증가하였다.

연안지역 아파트의 전력소비량 실태조사 -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대한 사례연구 - (A Survey o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s of Apartments located at Coastal Area : Yeongdo-gu, Busan, Korea)

  • 황광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1-245
    • /
    • 2009
  • 도심지의 열섬(Heat Island)현상과 연안지역의 해풍(海風)의 영향 때문에, 부산, 인천, 목포 등 연안도시의 도심지역과 연안지역의 각 외기 상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외기조건은 건물의 냉방부하, 난방부하, 전력소비량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에너지절약을 위한 건물설계와 운전방법개발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위치한 건물의 에너지소비특성을 파악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역 아파트의 전력소비량에 주목하였고,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위치한 세대수가 100세대 이상인 22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기간별, 기능별 전력소비량을 조사하였다. 22개 아파트 전체의 세대내 최대전력소비량은 8월에 발생하고 있으나, 공용 최대전력소비량은 1월에 발생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한편 연안지역에서는 여름철에 해풍에 의한 자연환기로 인해 냉방용 전력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조사결과에서는 여름철에 최대부하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해풍에 포함된 염분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창문을 닫고 전기구동 에어컨으로 냉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동기와 조명기기의 에너지사용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EERS 절감량 산정을 위한 주요인자 도출 연구 (Study on Effective EERS Savings Calculating Method through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of Electric Motor & Lighting Devices)

  • 염지훈;최한호;이현웅;박성우;김창식;한승희
    • 에너지공학
    • /
    • 제28권3호
    • /
    • pp.34-41
    • /
    • 2019
  • 에너지절약보다 에너지절감이 강조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미국 및 주요 EU국가에서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에너지효율향상의무화제도(EERS)의 국내 도입은 필수적이며, EERS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절감량 측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국내 총 전력사용량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전동기와 조명기기는 제도 시행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국가에너지 효울향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 조명기기의 정확한 사용실태 파악을 위해 계량전송장치를 400여개 사업장에 설치 수집 분석하여 EERS 제도 도입에 따른 절감량 산정시 활용할 수 있도록 가동율, 부하율 등 주요인자를 실측에 입각하여 도출, 제시하고자 한다.

세탁 및 헹굼성능 향상 방안 연구 - 세제의 용해가 세탁 및 헹굼 성능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Improvement on Washing and Rinsing Efficiency - Effect of the dissolution of detergent on washing and rinsing efficiency -)

  • 이옥기;표상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30
    • /
    • 199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issolution of detergent on washing and rinsing efficiency, and the possibility of saving detergent in washing. Washing and rinsing efficiency were reviewed in three different ways : A method was to input dissolved detergent by the use of rapid detergent dissolution instrument, B method was to input dissolved detergent beforehand, and C method was to input undissolved deterg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 method > B method > C method was shown in detergency with washing time and three method's gaps were reduced because detergent dissolution effect was reduced by mechanical action in proportion of washing time. Especially, according to detergency of A method of 0.07% and C method of 0.1% was appeared approximately, saving detergent was expected by rapid dissolution of detergent. 2. A method > B method > C method was shown in detergency with washing temperature. As the washing temperature rose, the detergent reached chemically more activated state and become easily soluble. It resulted for the detergent to penetrate and adhere to laundry easily. 3. A method > B method > C method was shown in detergency with detergent concentration and C method was more sensitive than A, B method against change of detergent cocentration. Rapid detergent dissolution made it possible not only to enhance the washing efficiency but also to save the detergent because detergency of A method in low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at of C method. 4. A method $\geq$ B method > C method was shown in rinsing ratio with detergent input method. It indicated input dissolved detergent was advantageous in rinsing. 5. The result of anion surfactant concentration test of each process with detergent input method was shown like that A method In B method > C method in washing and reverse result was shown in rinsing. The anion surfactant concentration of C method was low during washing but high during rinsing. This was identical with previous results which shown the washing and rinsing efficiency improved with dissolved detergent usasge. 6. C method > B method > A method was shown in the degree of remaining detergent after rinsing. There was no remaining detergent after second rinsing in A and B method, but in C method four rinsings were required for the same result. Consequently, in A and B methods, less water and electricity were used, and less abrasion of cloth.

  • PDF

Off-gas Column Test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심층포기시스템의 산소전달 매개변수(α와 F)의 산정 (Evaluation of the Oxygen Transfer Parameters (α and F) of a Coarse Bubble Aeration System by Off-gas Column Test)

  • 김철웅;임세호;신동록;이지영;박재한;안윤희;고광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19-1122
    • /
    • 2006
  • Aeration by using diffusers usually requires approximately 50~90% of the total electricity needed to operate WWTP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ccurate evaluation of the oxygen transfer efficiency for an aeration system, and recommendation of a better alternative may help saving WWTP operational costs. Appropriate techniques and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have not been introduced in Korea. In this study, in-process analysis was performed for a coarse bubble aeration system by the off-gas method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in Korea. To accomplish this analysis, an off-gas test, unsteady-state clean water test and steady-state off-gas column test was conducted and comparisons to other aeration systems were made. The ${\alpha}$ and the F estimated from the results of the unsteady-state clean water test and the steady-state off-gas column test were 0.61 and 0.90 respectively in a coarse bubble aeration system. The comparison of P.E tube diffusers laid out single spiral roll and ceramic dome diffusers laid out full floor coverage showed that the oxygen transfer efficiency of the coarse bubble aeration system was less than or similar to other aeration systems. But, airflow rates per unit area were 4~5 times greater than other aeration systems. In regards to the oxygen transfer efficiency for airflow rates per unit area, a retrofit to higher efficiency diffusers was urgently needed. This study showed proved that off-gas methods can apply to evaluate diffuser performances to estimate operating factors and to compare other aeration system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