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suicide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1초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임상적 특징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 신현우;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2호
    • /
    • pp.100-106
    • /
    • 2015
  • 연구목적 한국에서 자살률의 높은 상승은 주로 남성과 노인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의 자살률은 OECD 가입 국가들 중 가장 높았다. 이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2013년 6월과 2015년 7월까지 인제의대 일산백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한 총 336명의 20세 이상 성인과 노인 자살시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살시도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노인과 성인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연구기간 동안 71명의 노인, 265명의 성인 자살시도자들이 응급실을 내원하였다.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자살방법은 약물중독, 몸맴, 자상, 투신 순이었으며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치명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과거 정신과 장애는 노인 자살시도자들보다 성인 자살시도자들에서 더 흔하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 자살시도자들이 높은 치명도를 보이는 자살시도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효과적인 노인 자살방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국 노인의 자살에 대한 태도 - Q 방법론적 접근 - (Attitudes of Elderly Koreans toward Suicide - a Q-Methodological Approach -)

  • 조계화;이현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05-91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suicide attitudes among the Korean elderly. Method: The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irty-four selected Q-statements from 38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shape of normal distributionusing a 9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QUANL PC program. Result: Three types of suicide attitudes for research subjects in Korean elderly were identified. Type I is understanding suicide-self conquest and labor type, Type II is opposing suicide-family band foundation type, and Type III is sympathizing with suicide-painful situation escaping typ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three types of suicide attitudes among Korean elderly.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al attempter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n Korea: a retrospective study

  • Ji-Seon Jang;Wan-Seok Seo;Bon-Hoon Koo;Hey-Geum Kim;Seok-Ho Yun;So-Hey Jo;Dae-Seok Bai;Young-Gyo Kim;Eun-Jin Che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1권1호
    • /
    • pp.30-38
    • /
    • 2024
  • Background: Although Korea ranks first in the suicide rate of elderly individuals,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those who attempt suicide, with preventive measures largely based on population-based studies. We compared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individuals who attempted suicide with those of younger adul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after suicide attempts and identifi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ethality in the former group. Methods: Individual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after a suicide attempt from April 1, 2017, to January 31, 2020, were include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ge (elderly, ≥65 years; adult, 18-64 years). Among the 779 adult patients, 123 were elderly. We conducted a chi-square test to compare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between these groups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lethality in the elderly group. Results: Most elderly participants were men, with no prior psychiatric history or suicide attempts, and had a higher prevalence of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and attributed their attempts to physical illnesses. Being sober and planning suicide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is group. In the elderly group, factors that increased the mortality rate were biological male sex (p<0.05), being accompanied by family members (p<0.05), and poisoning as a suicide method (p<0.01). Conclusion: Suicide attempts in elderly individual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in younger adults and are associated with physical illness. Suicides in the former group are unpredictable, deliberate, and fatal. Therefore, tailor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ddr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are elderly and attempt suicide are required.

Determining Attributes of Suicide Attempts in Korean Elderly People: Emphasis on Attribute Selection Techniques

  • Bae, Eun Chan;Lee, Kun Ch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1-20
    • /
    • 2015
  • In order to prevent the elderly people from committing suicide attempts, it is necessary to verify attributes that affect the suicide attempts. It is noted tha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qualitative approaches, and simple correlation analyses to determine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suicide attempts in the elderly people. However, such previous approaches had led to insufficient performance when facing with complicated data sets. In this sense,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method in which attribute selection techniques are adopted to determine more relevant attributes of the suicide attempts occurring in Korean elderly people. To verify empirical validity of our proposed method, we use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2. Empirical results proved that the proposed attribute selection techniques showed better predictive effectiveness; 94.4% compared to the simple statistical methods. This study proposes a way to determining the elderly suicide and preventing it to happen.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1990년~2010년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Suicide Rates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Korea: centering around the Trend of Changes in 1990-2010)

  • 김형수;권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36-245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자살증가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거시적인 측면의 관점에서 노인자살률과 사회 경제적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노인자살의 이론적 배경은 사회학적 관점과 경제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노인자살률의 경제적 요인에는 경제성장률과 실업률 그리고 노인의 경제활동참가율과 상대적 빈곤율(소득불평등율)을 포함하며, 사회적 요인의 범주에 속하는 변수로는 사회복지지출비, 이혼율, 그리고 고령화비 증가율과 노인부양비를 포함한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노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을수록 노인자살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지출비가 낮을수록 노인자살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대적 빈곤율, 고령화비 증가율, 그리고 노인부양비는 공히 이들이 증가할수록 노인자살률도 동시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한국노인자살률의 지속적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서 거시적 차원의 사회 경제적 정책방안을 제언하였다.

독거노인 자살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uicide Attempts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Focused on Senio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권오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5호
    • /
    • pp.207-21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s and non-attempt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90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descriptive analysis, mean comparison correlation analysis, and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PASW 20.0. To explain the suicide attempts of elderly persons who live alone, variables such as sex, age education level, monthly household income, religion, subjective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ADL/IADL, depression, hopelessness, social support, and stress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9.2 percent(64) of the elderly living alone had attempted suicide and 90.8 percent(626) had never attempted suicide. Second, monthly household income, hopelessness, and social support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ir suicide attempts. In other words,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had lower monthly household income, less social support, and greater feelings of hoprlessness had made more suicide attempts. As it is a cross-sectional research using data from non-probability sampling, this has a limitation in generality sampling, this ha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study result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longitudinal research using data from probability sampling is necessary.

노인의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uicide Attempt of the Elderly)

  • 배진희;엄기욱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427-144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자살에 대한 생각, 계획, 시도 경험 정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자살 완료와 가장 가까운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라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재가 노인 1,11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면접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대상 노인 중 20.2%가 자살을 생각해 보았다고 응답했고, 5.7%가 자살을 계획한 적이 있다고 하였고, 3.6%는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하였다. 자살 시도 영향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동거형태, 일역할 상실, 정서적 학대와 방임 피해 정도가 자살 시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자살예방정책이 노인자살률 감소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on Elderly Suicide Rate Reduction)

  • 이태호;허순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18-331
    • /
    • 2022
  • 세계적으로 높은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2004년 제1차 자살예방기본계획을 시점으로 하여 자살예방정책을 추진하여왔지만, 여전히 노인자살률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살문제 해결에 있어 지방 정부의 역할에 주목하고, 지역 단위의 자살예방정책과 노인자살률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5~2017년까지의 3개년 자료를 시군구 단위에서 분석하였다.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자 본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의료이용접근성 요인 등을 통제하고자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살률이 높은 지역에 자살조례 제정과 기초 자살예방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의 설치 등이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살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센터설립 후 경과기간이 길면 자살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살률은 지역의 복지정책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어 자살예방정책은 복지정책 강화와 연계하여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노인층과 노인층 자살률의 지역별 현황과 요인 및 정책과제 (The Regional Current Status and Factors of the Pre-Elderly/Elderly Suicide Rates and Policy Tasks)

  • 김형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91-298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집단(예비노인층과 노인층)의 지역별 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을 검토하고, 자살률과 사회 경제적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또 지역별 노인집단 자살률의 격차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노인집단 자살 예방서비스의 제공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2006-2015) 동안 통계청에서 발표한 지역별 노인집단 자살률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사회경제적 요인과 노인집단 자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복지예산비중, 이혼율, 경제활동 참가율, 재정자립도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연령대별과 지역특성별로 노인집단 자살률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노인층과 노인층의 자살예방을 위해 중앙정부의 자살예방 대책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와 예산지원 하에 지역차원에서의 연령대별 예방대책의 수립을 제언하였다.

노인 자살의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Elderly Suicide in Korea)

  • 홍시명;강영실;김헌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52-5761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노인자살 관련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노인자살 연구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인터넷 학술정보 사이트인 RISS(한국교육학술정보원), KISS(한국학술정보(주)), Nanet(국회도서관)을 이용하여 1996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논문 287편을 검색하였으며, 이 중 선정기준에 만족하는 국내 논문 184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논문들은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변수별 빈도와 백분율로 구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자살 연구들은 주로 사회복지영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연구 개념과 키워드는 기존의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 해주는 지표들(자살생각, 우울, 스트레스)이었다. 그러므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독거노인, 빈곤노인, 자살시도 고위험군인 남자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