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lifestyle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7초

Zolpidem Use and Risk of Fracture in Elderly Insomnia Patients

  • Kang, Dong-Yoon;Park, So-Young;Rhee, Chul-Woo;Kim, Ye-Jee;Choi, Nam-Kyong;Lee, Joong-Yub;Park, Byung-Joo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5권4호
    • /
    • pp.219-226
    • /
    • 2012
  • Objectives: To evaluate the risk of fractures related with zolpidem in elderly insomnia patients. Methods: Health claims data on the entire South Korean elderly population from January 2005 to June 2006 were extracted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base. We applied a case-crossover design. Cases were defined as insomnia patients who had a fracture diagnosis. We set the hazard period of 1 day length prior to the fracture date and four control periods of the same length at 5, 10, 15, and 20 weeks prior to the fracture date. Time independent confounding factors such as age, gender, lifestyle, cognitive function level, mobility, socioeconomic statu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morbidity could be controlled using the case-crossover design. Time dependent confounding factors, especially co-medication of patient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adjusted by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estimated for the risk of fracture related to zolpidem. Results: One thousand five hundred and eight cases of fracture were detected in insomnia patients during the study period. In our data, the use of zolpidem increased the risk of fracture significantly (adjusted odds ratio [aOR], 1.72; 95% CI, 1.37 to 2.16).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benzodiazepine hypnotics and the risk of fractu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OR, 1.00; 95% CI, 0.83 to 1.21). Likewise,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tratified analysis with each benzodiazepine generic subgroup. Conclusions: Zolpidem could increase the risk of fracture in elderly insomnia patients. Therefore zolpidem should be prescribed carefully and the elderly should be provided with sufficient patient education.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과 인지기능 및 신체 건강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 집락 배정 설계 (Effects of a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o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ing, and Physical Health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Community: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박예리자;송경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15-52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CHPP) o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ing, and physical health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Methods: A randomized comparison of pre-and post-test design was used with 62 participants assigned to either an intervention (n=32 in seven clusters) or a control group (n=30 in seven clusters) in 14 areas of a town. The final sample included 30 intervention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CHPP for 10 weeks, and 26 control participants.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the CHPP weekly; they were provided with instructions about coping with their chronic illnesses, lifestyle modification, risk management, providing emotional support to each other, and floor-seated exercise, which they were encouraged to do three times a week in their homes. Result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depression (U=48.50, p<.001), cognitive functioning (U=2.50, p<.001), left arm flexibility (U=251.50, p=.023), right arm flexibility (U=225.00, p=.007), static balance (U=237.00, p=.012), and gait ability (U=190.50, p=.004).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grip strength and muscle mas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CHPP was overall effective at improving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ing, and physical functioning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could therefore be considered a positive program for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living alone.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Self-rated Health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 원종순;전혜진;이혜련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17-225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건강상태를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의 재가 노인으로,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질병, 투약, 우울, 불면증 등의 건강관련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혈압 측정 및 신체계측, 지질 및 공복 혈당을 측정하였다. 211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으로 건강한 편이라고 평가한 경우는 78.2%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된 요인은 질병(OR:10.83, 95% CI:2.47-47.43), 우울(OR=2.50, 95% CI=1.20-5.18), 운동(OR=3.01, 95% CI=1.40-6.47)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신체적 질병, 우울과 같은 정신 건강문제 뿐 아니라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을 고려한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변비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Constipation in the Elderly in Korea)

  • 이기란;김두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5호
    • /
    • pp.87-95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변비 비약물적 중재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노인 변비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여 노인 변비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개의 국내 검색엔진을 통해 2010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검색하였으며, 11편의 문헌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변비 비약물적 중재유형은 복부마사지, 발마사지, 지압, 뜸요법, 생활습관중재, 탄산수 섭취, 복합요법이 있었으며, 중재의 효과로 변비, 수면의 질, 우울을 확인하였다. 비약물적 중재 모두 노인 변비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발마사지, 지압의 경우 노인의 수면의 질, 우울에도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노인의 변비 관련 삶의 질을 확인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추후, 노인의 삶의 질을 고려한 변비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Transitional care for high-risk elderly patients pre/post discharge by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hospital and community pharmacy: a pilot study

  • Park, Mi Seon;Lee, Ji Hee;Lee, Heung Bum;Kim, Ju Sin;Choi, Eun Joo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7-36
    • /
    • 2022
  • Background: Medication-related problems (MRPs) frequently occur during the discharge period. Elderly patients, particularly, are at high risk for these problems due to polypharmacy and the us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nd implement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hospital and community pharmacies to address MRPs among high-risk elderly patients before/after discharge.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une and December of 2020. The inclusion criteria were patients with aged ≥65 years; residents of Jeonju; discharged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either on medication of exceeding 10 medications (or high-risk medications) after hospitalization through the emergency room, or having severe illness. Patients received medication reconciliation and counselling by hospital pharmacists before discharge and home-visit pharmaceutical care as follow-up by community pharmacists after discharge. Results: Twenty-two patients agreed to home-visit pharmaceutical services. Fifteen and 11 patients completed the first and second home-visit pharmaceutical care service, respectively. Forty-two MRPs were identified in 15 patients. The types of high-frequency MRPs were incorrect administration of drug, adverse drug reactions, medication non-compliance, drug-drug interactions, lifestyle modifications, and expired medication disposal. After consultation with the pharmacist, 34 out of 42 MRPs were resolved. Conclusions: Transitional care for high-risk elderly patients before and after discharge was successfully built and implemented through a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hospital and community pharmacies. This study suggests that home-visit pharmaceutical services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afe use of drug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however,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xpand on these findings.

노화불안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Bibliographic Analysis of Aging Anxiety and Lifestyle)

  • 박선하;박혜연;임영명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25-37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노화불안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핵심 단어들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화불안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 중 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연관성을 파악하는 인용분석과 키워드의 출현 횟수를 기준으로 연관성을 파악하는 동시출현단어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된 정보들을 군집화하고 도표화하기 위해 VOS viewer(version 1.6.13, Leiden University, Netherlands, 2020)를 사용하였다. 결과 : 논문의 연도별 발생빈도는 2017년까지 완만한 상승세를 나타내었으며 2018년부터는 급증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연구논문 학문 분야에서는 정신의학 분야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인용분석에서는 미국, 호주, 영국이 서로 높은 상호연관성을 나타냈으며, 주요 키워드에 대해 동시출현 단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화불안과 연관성이 높은 단어는 우울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노화불안과 라이프스타일 연구의 흐름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노화의 예방적 관점에서 라이프스타일이 갖는 중요성을 파악하고, 중재 및 관련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작업기반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Occupation Ba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for Health Management of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 신윤찬;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77-91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기반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은 해외 연구를 통해 효과가 확인된 라이프스타일 리디자인 프로그램(Lifestyle redesign program)을 기반으로 한 작업기반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을 그룹회기 12회, 개인회기 1회로 총 7주에 걸쳐 제공받았다.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작업균형, 시간사용, 활동참여 수준, 활동 수행도 및 만족도, 우울,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프로그램 전, 후로 진행하고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후기평가 시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여 참가자들이 생각하는 주관적인 프로그램의 타당성, 필요성, 효과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 초기평가와 후기평가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작업균형(p=.012)과 하위영역인 건강(p=.017), 관계(p=.012), 도전 및 흥미(p=.012), 자아정체성(p=.012)에 대한 작업균형 그리고 활동참여수준(p=.008), 활동 수행도(p=.012) 및 만족도(p=.008), 전반적인 건강관련 삶의 질(p=.034) 및 하위영역 중 신체적 건강(p=.041)이 향상되었으며, 여가(p=.008)와 휴식(p=.008)에 대한 시간사용에 변화가 있었고, 마지막으로 우울(p=.012)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결과 참가자들이 생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 타당성, 필요성, 효과성 모두 적절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작업기반 라이프스타일 중재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노인에게 충분히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재법으로 사료된다.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국내 연구동향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 양수경;고보숙;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31-143
    • /
    • 2019
  • 본 연구목적은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2000년~2018년 사이에 '치매예방', '치매예방 프로그램', '치매', '노인', '노인놀이'를 키워드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구글학술검색, DBpia, 한국학술정보(Kiss)에 게재된 노인들을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404편의 연구논문 중 자료의 분석기준과 방법에 따라 36편의 논문을 최종 선별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연구자료의 기본 구조와 프로그램 시행 구조를 가지고 있는 논문은 2012년~2018년 연구의 학술지 17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적연구방법을 적용한 경우는 25편으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시행 구조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결과, 진행 기관은 요양원(노인복지병원)이 11편이 가장 많았고, 참여노인의 성별은 여성노인이 남성노인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 연령은 65세 이상 연령대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예방 중재 프로그램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통합프로그램이 11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치매예방 프로그램 측정도구 및 효과성 분석 결과,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MMSE-K 도구가 16편의 논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프로그램은 인지기능에서는 10편의 연구에서 인지기능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인들을 위한 치매예방 교육이 단편적인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노인들의 인지기능 및 정신행동, 생활 습관 등에 영향을 주고, 건강한 노후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치매예방 프로그램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노년전기와 후기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Young and Old Old)

  • 최연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28-436
    • /
    • 2001
  • Purpose: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between the young old and the old old. Method: The subjects were a volunteer sample of 200 elderly in K city.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47 items). Life Satisfaction Scale(20 items) and Self-Esteem Scale(10 item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A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1)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t=2.479. p<05) in health-promoting behavior between the young old and the old old which showed, on an average. 3.306 points in the young old and 2.872 points in the old old. 2)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 t = 1. 530. p<05) in self-esteem between the young old and the old old which showed. on an average. 3.091 points in the young old and 2.981 points in the old old. Conclusion: The old old is less the level of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self-esteem than the young ol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prehensive health-promoting program in order to improve a healthy lifestyle for the old old.

  • PDF

전립선비대증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및 생활습관 요인 (Diet and Lifestyle Risk Factors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김은정;박혜숙;김혜숙;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3호
    • /
    • pp.249-258
    • /
    • 2007
  •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s one the most common prostate diseases in middle aged and elderly m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 and lifestyle risk factors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a community-dwelling free-living population group. The dietar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601 male subjects aged 50-79 years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mean age of the BPH group ($63.0{\pm}7.9$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BPH ($58.8{\pm}7.4$ years). Among many nutrients, the amount of animal fat intake was increased while that of carbohydrate intake decreased in subjects with BPH compared to those with non-BPH. In BPH subjects, the proportion of energy from fat was also greater than in subjects with non-BP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food consumption data showed that the consumption of total animal food was increased while that of mushrooms was decreased in patients with BPH compared to the subjects with non-BPH. The age-adjusted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s limits for BPH incidence in subjects whose milk and milk products, beverages and alcoholic liquors intake was greater than the median were 1.796 (1.167-2.782) and 1.738 (1.129-2.676)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in subjects whose intakes were below the median. These results may be applicable in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intervention and education program toward a reduction in the risk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